||<-2> {{{#fff {{{+1 '''1968년 말리 쿠데타'''}}}[br]1968 Malian coup d'état}}} || ||<-2> '''{{{#fff 일시}}}''' || ||<-2> [[1968년]] [[11월 19일]] || ||<-2> '''{{{#fff 장소}}}''' || ||<-2> [[말리|[[파일:말리 국기.svg|width=23]] 말리 전역]] || ||<-2> '''{{{#fff 원인}}}''' || ||<-2> 사회주의 정부의 정책으로 인한 경제 위기[br]케이타 대통령의 의회 해산 || ||<-2> '''{{{#fff 유형}}}''' || ||<-2> [[쿠데타|군사반란(군사 쿠데타)]] || ||<-2> '''{{{#fff 교전국}}}''' || || [[말리|[[파일:말리 국기.svg|width=23]] 말리 정부]] || [[말리군|[[파일:말리 국기.svg|width=23]] 말리군 하급 장교]] || ||<-2> '''{{{#fff 지휘관}}}''' || || [[말리|[[파일:말리 국기.svg|width=23]]]] [[모디보 케이타]] ||<^|1> [[파일:말리 국기.svg|width=23]] [[무사 트라오레]] || ||<-2> '''{{{#fff 병력}}}''' || || 불명 || 불명 || ||<-2> '''{{{#fff 결과}}}''' || ||<-2> 쿠데타 성공[br]정부 관료 구금[br]군사 정권 수립 || [목차] [clearfix] == 개요 == [[1968년]] [[11월 19일]], [[모디보 케이타]] 정권에 대한 불만을 품고 일으킨 [[쿠데타]]. == 배경 == [[말리]]의 독립을 주도한 모디보 케이타 대통령은 [[1960년]]부터 [[사회주의]] 정권을 수립해 국정운영을 해왔다. 그러나, 그가 시행한 사회주의적 정책들은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져 경제 위기를 불러일으켜왔다. 결국 [[1966년]], 헌법 효력을 정지시켰고 의회를 해산했다. 이에 대한 국민들의 반발은 더욱 심해져갔고, 결국 [[무사 트라오레]]를 비롯한 [[말리군]]의 하급 장교들이 쿠데타를 계획하게 된다. == 결과 == [[모디보 케이타]] 대통령은 축출되었고,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게 된다. 그러나, 전 정부의 경제적 실책으로 인한 문제가 너무 컸던 나머지 이를 바로 해결하지 못하고 1968년 흉작으로 인해 경제는 더욱 위기에 빠지게 된다. 케이타를 비롯한 여러 관료들은 [[키달]]과 [[타우데니]]에 위치한 교도소에 수감되었으며, 케이타는 [[1977년]] 감옥에서 사망한다. [[무사 트라오레]]와 13명의 장교들은 군사정권을 세웠고, 트라오레는 국가해방군사위원회의 의장으로 뽑혔다. 트라오레는 국민들에게 민주주의와 자유 선거를 약속했으나 이행하지는 않았다. [[1969년]], 트라오레는 대통령임을 선언하고 [[1991년 말리 쿠데타]]가 일어나기 전까지 말리의 국정을 운영했다. [[분류:1968년/사건사고]][[분류:말리 쿠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