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지진)] [include(틀:대한민국 주요 지진)] ||<-4> '''{{{#fff {{{+1 1963년 영덕-포항 해역 지진}}}}}}''' || ||<|2> {{{#fff '''발생'''[br]^^(UTC+9)^^}}} || '''{{{#fff 1차}}}''' ||<-2> 1963년 9월 6일 15시 03분 51 ~ 56초 || || '''{{{#fff 2차}}}''' ||<-2> 1963년 9월 7일 10시 16분 57초 ~ 17분 12초 || ||<|6> '''{{{#fff 진앙}}}''' ||<|3> '''{{{#fff 1차}}}''' ||<-2>[include(틀:지도, 장소=36.3347N 130.5397E&zoom=6, 너비=100%, 높이=240px)] || ||<-2>USGS: 36.341°N 130.665°E[br]JMA: 36.357°N 130.429°E[br]NK: 36.30°N 130.40°E[br]ISC: 36.3406°N 130.6648°E || ||<-2>한국 중앙관상대[* 현 기상청]: 경상북도 울진 약 40km 해역[* 당시 지진 관측 장비가 부족하였기 때문에 신뢰하기 어렵다.] [br]USGS: 경상북도 포항시 동북동쪽 약 121km 해역 [br]JMA: 경상북도 영덕군 동쪽 약 96km 해역 [br]NK: 경상북도 포항시 동북동쪽 96km 해역 [br]ISC: 경상북도 영덕군 동쪽 약 117km 해역 || ||<|3> '''{{{#fff 2차}}}''' ||<-2>[include(틀:지도, 장소=36.3519N 130.5579E&zoom=6, 너비=100%, 높이=240px)] || ||<-2>USGS: 36.383°N 130.538°E[br]JMA: 36.163°N 130.524°E[br]NK: 36.30°N 130.40°E[br]ISC: 36.3833°N 130.5376°E[br]KIGAM: 36.53°N 130.79°E || ||<-2>USGS: 경상북도 포항시 동북동쪽 약 111km 해역 [br]JMA: 경상북도 포항시 동북동쪽 약 105km 해역 [br]NK: 경상북도 포항시 동북동쪽 약 96km 해역 [br]ISC: 경상북도 영덕군 동쪽 약 106km 해역[br]KIGAM: 경상북도 영덕군 동북동쪽 약 128km 해역 || ||<|2> '''{{{#fff 진원의 깊이}}}''' || '''{{{#fff 1차}}}''' ||<-2>USGS: 20.3km[br]JMA: 33km[br]ISC: 20.3km || || '''{{{#fff 2차}}}''' ||<-2>USGS: 26.6km[br]JMA: 12km[br]ISC: 26.6km[br]KIGAM: 38km || ||<|2> [[리히터 규모|'''{{{#fff 규모}}}''']] || '''{{{#fff 1차}}}''' ||<-2>USGS: M,,w,, 5.8 [br]JMA: M,,j,, '''6.0''' [br]NK: M,,L,, '''6.3''' [br]ISC: M,,s,, '''6.0''' || || '''{{{#fff 2차}}}''' ||<-2>USGS: M,,w,, 5.8 [br]JMA: M,,j,, '''6.2''' [br]NK: M,,L,, '''6.3''' [br]ISC: M,,s,, '''6.0'''[br]KIGAM: M '''6.6''' || ||<-2><|10> [[진도(지진)|'''{{{#fff 진도(JMA)}}}''']] ||<-2> {{{#fff '''한국 중앙관상대 발표 기준'''}}} || || {{{#000 '''4'''}}} || 진앙과 가까운 동해안 지역 || || {{{#fff '''3'''}}} || 서울, 강릉, 대구, 울산, 포항, 영주 || || {{{#fff '''2'''}}} || 부산, 마산, 추풍령 || ||<-2> {{{#fff '''일본 기상청 발표 기준(1차)'''}}} || || {{{#fff '''3'''}}} || [[시마네현|시마네]] || || {{{#000 '''1'''}}} || [[오카야마현|오카야마]], [[야마구치현|야마구치]], [[나가사키현|나가사키]], [[오이타현|오이타]] || ||<-2> {{{#fff '''일본 기상청 발표 기준(2차)'''}}} || || {{{#fff '''3'''}}} || 시마네 || || {{{#000 '''1'''}}} || 야마구치, 나가사키 || ||<-2> '''{{{#fff 여진}}}''' ||<-2> 유감 여진 약 2일 지속 || ||<-2> '''{{{#fff 재산피해}}}''' ||<-2> 일부 건물 벽 균열, 유리창 파손 등 || [목차] [clearfix] == 개요 == [[https://earthquake.usgs.gov/earthquakes/eventpage/iscgem873024/executive|USGS 전진]][[https://earthquake.usgs.gov/earthquakes/eventpage/iscgem873029/executive|USGS 본진]] [[https://www.data.jma.go.jp/eqdb/data/shindo/index.html#19630906150347|JMA 전진]][[https://www.data.jma.go.jp/eqdb/data/shindo/index.html#19630907101654|JMA 본진]] 1963년 영덕-포항 해역 지진은 1963년 9월 6일과 7일 일어난 두 차례의 강진이다. 진앙은 영덕-포항 동쪽 약 110km 해역으로 먼 편이었지만, 큰 규모 탓에 거의 전국적인 흔들림을 감지했다. 전진으로 추정되는 1차 지진은 1963년 9월 6일 15시 03분 51에서 56초 사이에 발생했다. USGS에서 발표한 규모는 '''M5.8''' 이었으며, 일본 기상청과 ISC의 경우 {{{#brown '''M6.0'''}}}, 북한의 조선지진연구소에서 발표한 규모는 {{{#brown '''M6.3'''}}}이었다. 본진으로 추정되는 2차 지진은 1963년 9월 7일 10시 16분 57초에서 17분 12초사이에 발생했다. USGS에서 발표한 규모는 1차 지진과 동일한 '''M5.8''', ISC 역시 1차 지진과 동일한 {{{#brown '''M6.0'''}}}, 북한의 조선지진연구소 역시 1차 지진과 동일한 {{{#brown '''M6.3'''}}}으로 분석했다. 다만 일본 기상청의 경우 1차 지진보다 강한 {{{#brown '''M6.2'''}}}로 발표했다. 2차 지진의 경우 한국지질자원연구소(KIGAM)의 지오빅데이터 오픈플랫폼에서 발표한 규모가 존재한다. 해당 데이터에 따르면 KIGAM는 2차 지진의 규모를 무려 {{{#brown '''M6.6'''}}}으로 보고있다. 이는 20세기 이후 관측된 한반도 인근 동해에서 발생한 유감지진 중 가장 큰 규모이다. == 피해 == 상대적으로 먼 해역에서 발생한 지진이었으나, 규모가 컸기 때문에 일부 피해가 발생했다. 과거 신문기사에 실린 피해기록은 다음과 같다. * 6일에 발생한 1차 지진으로 인해 서울의 동방생명 빌딩 2,3 층에 균열이 발생했다. 4층에 사무원들은 심한 진동에 업무를 중지했다. 서울 광화문에 있는 우체국 역시 책상과 의자가 흔들릴 정도의 진동을 느꼈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309060032920101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3-09-06&officeId=00032&pageNo=1&printNo=5498&publishType=00020|#]] * 6일에 발생한 지진으로 강릉 등 일부 지방에서 유리창이 파손됐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309070020920700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3-09-07&officeId=00020&pageNo=7&printNo=12881&publishType=00020|#]] 그 외 신문 기록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309070032920702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3-09-07&officeId=00032&pageNo=7&printNo=5499&publishType=00020|#1]][[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3090800239107022&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63-09-08&officeId=00023&pageNo=7&printNo=13032&publishType=00010|#2]][[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3091300329205006&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3-09-13&officeId=00032&pageNo=5&printNo=5504&publishType=00020|#3]] == 전진과 여진 == 북한의 조선지진연구소의 기록에 따르면 2차례의 강진이 발생하기 전 최소한 2회 이상의 전진이 발생했다. * 1963년 4월 16일 01시 58분 22초 규모 3.8 * 1963년 9월 1일 22시 19분 15초 규모 4.4 여진의 경우 규모나 위치 기록이 남아있지 않다. 다만 당시 신문기사에 실린 내용을 볼 때 최소한 이틀 이상 유감 여진이 발생했다. * 9월 8일 최대 진도 2(경진)의 여진이 발생했다. 진앙과의 거리상 최소한 규모 4.0 이상의 여진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309090020920701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3-09-09&officeId=00020&pageNo=7&printNo=12882&publishType=00020|#]] == 한국 중앙관상대(현 기상청)의 대응 == 당시 한국의 중앙관상대는 지진을 관측하기는 했지만, 정확한 규모나 위치를 발표하지는 못했다. 6.25전쟁 이후 지진 관측 시설이 모두 파괴된 상황에서 1963년에 미국의 지원을 받아 서울에 지진 관측 시설을 겨우 설치했던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그래도 관측 시설이 있었기 때문에 규모 정도는 추정이 가능했으나, 당시에 인화지를 꺼내 현상할 비용이 없어서[* 당시 신문기사에 따르면 인화지 가격이 비쌌다고 한다.] 제대로된 강도 분석조차 못했다고 한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3090700209207003&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3-09-07&officeId=00020&pageNo=7&printNo=12881&publishType=00020|#]] == 관련 문서 == ||<-5>
{{{#ffffff '''별도의 문서가 존재하는 한반도 지진''' }}} || || [[1960년 길주 해역 지진]] || {{{+1 → }}} || ''' [[1963년 영덕-포항 해역 지진]] ''' || {{{+1 → }}} || [[1973년 나진 해역 지진]] || [include(틀:지진/한반도 계기관측 규모 순위)] [include(틀:지진/20세기)] [[분류:1963년 지진]][[분류:지진/대한민국]][[분류:영덕군의 사건사고]][[분류:포항시의 사건사고]][[분류:나무위키 지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