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1 {{{#FFFFFF '''1945년 프랑스 국민투표'''}}}}}} || ||<-3> {{{#!wiki style="margin: -7px -12px" || {{{#!wiki style="margin: 0 -10px; font-size: .8em" [[1870년|1870.]] [[9월 4일|09. 04.]]}}}[[1870년 프랑스 국민투표|1870]]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nt-size: .8em" [[1945년|1945.]] [[10월 21일|10. 21.]]}}}'''1945'''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nt-size: .8em" [[1946년|1946.]] [[5월 5일|05. 05.]]}}}[[1946년 5월 프랑스 국민투표|1946. 05.]] ||}}} || || {{{#002395,#5650CC '''사유'''}}} ||<-2>제헌 의회 구성과 임시헌법 제정을 위한 헌법상 절차 || || {{{#002395,#5650CC '''투표율'''}}} ||<-2>79.8% || ||<-3> {{{#FFFFFF '''제헌 의회 구성을 위한 국민투표'''}}} || ||<-2> {{{#!wiki style="padding: 2px 3px; display: inline; background: #00009f;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color: #FFFFFF" '''찬성'''}}} || {{{#!wiki style="padding: 2px 3px; display: inline; background: #df0000;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color: #FFFFFF" '''반대'''}}}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9f 96.4%, #808080 96.4%, #808080 96.4%, #df0000 96.4%)" }}} || ||<-2> '''96.4%''' || 3.6% || ||<-3> {{{#FFFFFF '''임시헌법 제정을 위한 국민투표'''}}} || ||<-2> {{{#!wiki style="padding: 2px 3px; display: inline; background: #00009f;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color: #FFFFFF" '''찬성'''}}} || {{{#!wiki style="padding: 2px 3px; display: inline; background: #df0000;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color: #FFFFFF" '''반대'''}}}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9f 66.5%, #808080 66.5%, #808080 66.5%, #df0000 66.5%)" }}} || ||<-2> '''66.5%''' || 33.5% || ||<-3> {{{#FFFFFF '''결과'''}}} || ||<-3> 제헌의회 구성을 위한 총선 실시 || [목차] [clearfix] == 개요 == 1945년 10월 21일 [[프랑스 공화국 임시정부]]에서 실시된 [[국민투표]]로 79.8%의 투표율을 기록하였다. [[1945년 프랑스 제헌의회 선거|제헌의회 구성을 위한 총선거]]와 동시에 실시하였다. == 배경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프랑스 공화국 임시정부)]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제2차 세계 대전)] [[샤를 드골]]을 수장으로 하는 [[자유 프랑스]]는 1944년 6월 3일 프랑스 공화국 임시정부를 구성하고 파리를 해방시켜 [[프랑스 제4공화국]]이 출범할 때까지 프랑스의 통치를 맡았다. 임시정부는 [[비시 프랑스]] 치하에서 [[나치 독일]]에 부역한 인물들을 대대적으로 숙청하였고 [[비시 프랑스]]에 의해 실시된 모든 법령과 행정을 무효화시켰다. 임시정부는 [[프랑스 제3공화국]]을 존속시킬지, 그리고 새로운 제헌의회를 구성할지 여부를 국민투표에서 묻고자 했다. == 투표 결과 == ||<-2> '''{{{#ffffff 1945년 프랑스 국민투표 (제헌의회 구성 여부)}}}''' || || '''{{{#ffffff 찬성}}}''' || '''96.4%''' || || '''{{{#ffffff 반대}}}''' || 3.6% || ||<-2> '''{{{#ffffff 1945년 프랑스 국민투표 (임시헌법 실시 여부)}}}''' || || '''{{{#ffffff 찬성}}}''' || '''66.5%''' || || '''{{{#ffffff 반대}}}''' || 33.5% || 제헌의회 구성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에서는 프랑스의 국민들이 제헌의회를 구성하고 [[프랑스 제3공화국]]을 종식시키는 데 찬성하였다. 한편 같은 시기에 실시된 제헌의회 구성을 위한 총선거에서는 드골이 이끄는 자유 프랑스 진영이 아니라 공산주의 계열이 대거 압승을 거두어 드골의 임시정부와 마찰을 빚게 되었다. [[분류:1945년/사건사고]][[분류:프랑스의 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