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1938 FIFA 월드컵 프랑스)] ||<-5>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ffffff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 || || 토너먼트 || 15강 ||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8강 이후|8강 이후]] ||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1938년 월드컵]]의 경기 중, 1라운드(15강)을 정리하는 페이지. 이 대회는 앞에서 서술하였듯이 모든 경기가 녹아웃 토너먼트의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만일 경기에서 무승부가 나올 시에는 30분간의 연장전을 치렀으며 연장전 이후에도 승부가 안 날 시에는 재경기를 치렀다. 재경기는 9경기, 10경기 등으로 표시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의 경기의 순서는 시작 시간의 순서에 따랐고, 시작 시간이 같을 시에는 토너먼트의 최종 결과를 최대한 따를 수 있게 기술하였다. 5경기의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오스트리아]]를 제외[* 당시의 팀 전력으로 추측해보면 오스트리아가 [[시드]]를 받을 가능성이 높았으므로 오스트리아를 왼쪽에 표기했다. 실제로는 오스트리아의 기권으로 이 경기에만 시드가 배정되지 않았다.]하고 표의 왼쪽에 있는 국가대표팀은 [[시드]] 배정국이다. [목차] == 1라운드 == === 1경기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 1 vs 1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스위스]] === || 경기장 ||<-2> 파르크 데 프랑스[br][[파리(프랑스)|파리]] - [[프랑스]] || || 경기일 ||<-2> 1938년 6월 4일 17:00[br](1938년 6월 5일 00:00) || || 국 가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의 선수 명단에서 *가 붙은 선수들은 원래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오스트리아]] 선수들이었다][br][[파일:나치 독일 국기.svg|width=30]] ||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스위스]][br][[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30]] || || 득 점 || 1 || 1 || || 득점자 || [[요제프 가우헬]] (29') || [[앙드레 아베글렁]] (43') || || {{{#000000 '''라인업''' }}} || {{{#000000 '''이름''' }}} || {{{#000000 '''비고''' }}} || {{{#ffffff '''라인업''' }}} || {{{#ffffff '''이름''' }}} || {{{#ffffff '''비고''' }}} || ||<|11> 선발 || 루돌프 라프틀* || GK ||<|11> 선발 || [[빌리 후버]] || GK || || [[빌리 슈마우스]]* || || [[세베리노 미넬리]]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 || [[파울 야네스]] || || [[아우구스트 레만]] || || || [[안드레아스 쿠퍼]] || || [[시리오 베르나티]] || || || [[알빈 키칭거]] || || 에르네스트 뢰르처 || || || [[한스 모크]]*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 헤르만 슈프링어 || || || [[루돌프 겔레슈]] || || [[라우로 아마도]] || || || [[빌헬름 하네만]]* || || [[앙드레 아베글렁]]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에른스트 레너]] || || 오이겐 발라셰크 || || || [[요제프 가우헬]]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조르주 에비]] || || || 한스 페서* || {{{#red '''■'''}}} 96' || [[프레디 비켈]] || || ||<|11> 교체 || [[프리츠 부흐로]] || GK ||<|11> 교체 || 레나토 비초체로 || GK || || [[한스 야코프]] || GK || [[에르빈 발라비오]] || GK || || [[라인홀트 뮌첸베르크]] || || 아돌프 슈텔처 || || || [[루트비히 골트브루너]] || || [[알베르 갱샤르]] || || || [[야코프 슈트라이틀레]] || || 오스카 라우흐 || || || 슈테판 스쿠말* || || [[레오폴트 킬홀츠]] || || || 프란츠 바그너* || || [[알레산드로 프리제리오]] || || || 레오폴트 노이머* || || 에우겐 루프 || || || [[오토 지플링]] || || 툴리오 그라시 || || || [[요제프 슈트로]]* || || 폴 에비[* 조르주 에비의 형.] || || || [[프리츠 스체판]] || || 프리츠 바그너 || || ||<-30> {{{#000000 '''독일 선발명단'''[br][[파일:나치 독일 국기.svg|width=30]]}}} || ||<-30> GK[br]루돌프 라프틀* || ||<-15> FB[br][[파울 야네스]] ||<-15> FB[br][[빌리 슈마우스]]* || ||<-10> HB[br][[안드레아스 쿠퍼]] ||<-10> HB[br]'''[[한스 모크]]'''* ||<-10> HB[br][[알빈 키칭거]] || ||<-6> FW[br][[에른스트 레너]] ||<-6> FW[br][[루돌프 겔레슈]] ||<-6> FW[br][[요제프 가우헬]] ||<-6> FW[br][[빌헬름 하네만]]* ||<-6> FW[br]한스 페서* || ||<-30> VS || ||<-6> FW[br][[조르주 에비]] ||<-6> FW[br]오이겐 발라셰크 ||<-6> FW[br][[프레디 비켈]] ||<-6> FW[br][[앙드레 아베글렁]] ||<-6> FW[br][[라우로 아마도]] || ||<-10> HB[br]에르네스트 뢰르처 ||<-10> HB[br][[시리오 베르나티]] ||<-10> HB[br]헤르만 슈프링어 || ||<-15> FB[br][[아우구스트 레만]] ||<-15> FB[br]'''[[세베리노 미넬리]]''' || ||<-30> GK[br][[빌리 후버]] || ||<-30> {{{#ffffff '''스위스 선발명단'''[br][[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30]]}}} ||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1938 프랑스 월드컵]]의 개막전. 4월에 있었던 [[오스트리아 병합|안슐루스]]로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은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오스트리아 국가대표]] 선수들의 상당수를 스쿼드에 넣었다. 비록 오스트리아의 노장 [[마티아스 신델라]]가 스쿼드에 들어가지는 않았지만 당시 잘 나가던 분더팀 오스트리아 국가대표 선수들 5명이 베스트 11에 들어간 터라 독일은 충분히 강력해보였다.[* 신델라는 [[오스트리아]]가 [[나치 독일|독일]]에 합병이 되기 1년 전인 1937년 오스트리아 대표팀으로는 생애 마지막 시합을 뛰었고 안슐루스 이후에도 나치 독일에 의해 국가대표 소집 요청을 받았지만 거절했다.] 겉보기엔 그랬다. 하지만 당시 독일의 정치인들과 [[독일 축구 연맹]]은 독일의 선발 명단에 독일과 오스트리아 선수들의 비율을 6대5나 5대6으로 비슷하게 맞추길 원했는데 이유는 독일과 오스트리아가 외부적으로 화합한 것처럼 보여야한다는 것이었다. 바로 이것이 문제였다. 양국 선수들간의 플레이 스타일 차이도 컸고 오스트리아 선수들이 독일에 감정이 좋았을 리가 없었는데 그렇다고 독일 선수들 역시 오스트리아 선수들을 포용하려 들지도 않았으니 갈등의 수위도 상상이상이었다.[* [[1974 FIFA 월드컵 서독|1974년 월드컵]] 때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네덜란드]]에도 이때의 독일보다 규모는 작지만 비슷한 문제가 있었다. 당시 네덜란드의 감독 [[리누스 미헬스|리뉘스 미헐스]]는 자신의 [[페르소나]] [[요한 크루이프|요한 크라위프]]에 선택과 집중을 택했고 크라위프와 불편한 관계였던 [[빌리 판데르카윌런]]과 [[얀 판베베른]]을 대표팀에 부르지 않는 것으로 해결했다.] 하지만 주어진 시간은 리그도 진행[* 1938년 독일 전국 챔피언십은 1938년 3월말부터 진행되었고 4강까지 진행되고 나서 월드컵 휴식기를 가졌다.]되는 두세달남짓. 이걸 해야 하는 [[제프 헤어베어거|헤르베르거]]가 독일의 역대급 명장이라고 해도 그것은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16년 후의 월드컵]]도 우승하고 난 후대의 평가일 뿐 당시엔 대표팀에 재임한지 2년도 안된 신참 감독에 불과했다. 이런 일을 성공시키기는 당시 최고의 감독 [[비토리오 포초]]가 대신 독일을 맡았어도 불가능했을 일이었다. 관중들 역시 독일의 편이 아니었다. 독일 선수들이 입장할 때 관중들은 야유와 함께 유리병, 토마토, 계란 등을 던져주며 그들을 환영했다. 전반 29분, 독일의 공격수 [[요제프 가우헬]]이 선제골이자 대회 개막 골을 넣을 때까지 그래도 그들의 기대는 그대로 맞아 떨어질 것으로 보였다. 페널티 에어리어 왼쪽에서 중앙으로 찔러주었고 가우헬이 쇄도해 들어오면서 강력한 슈팅으로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스위스]]의 골문을 뚫었다. 하지만 전반이 마무리 될 무렵, 스위스의 [[앙드레 아베글렁]]이 헤딩으로 동점골을 뽑아냈고, 그 이후의 경기 흐름은 치열한 공방전. 하지만 [[오스트리아]] 출신의 독일 [[골키퍼]] 루돌프 라프틀의 잇단 선방으로 스위스는 아까운 기회들을 잇달아 놓쳤다. 격렬한 경기 속에서 양 팀은 연장까지 치렀지만 결국 승부를 가리지 못했고 5일 후에 재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 2경기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 2 vs 1 [[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노르웨이]] === || 경기장 ||<-2> 스타드 벨로드롬[br][[마르세유]] - [[프랑스]] || || 경기일[* 괄호 안은 한국시간] ||<-2> 1938년 6월 5일 17:00[br](1938년 6월 6일 00:00) || || 국 가 ||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br][[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width=30]] || [[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노르웨이]][br][[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30]] || || 득 점 || '''2''' || 1 || || 득점자 || [[피에트로 페라리스]] (2')[br][[실비오 피올라]] (94') || [[아르네 브루스타]] (83') || || {{{#fff '''라인업''' }}} || {{{#fff '''이름''' }}} || {{{#fff '''비고''' }}} || {{{#fff '''라인업''' }}} || {{{#fff '''이름''' }}} || {{{#fff '''비고''' }}} || ||<|11> 선발 || [[알도 올리비에리]] || GK ||<|11> 선발 || [[헨뤼 요한센]] || GK || || [[에랄도 몬첼리오]] || || [[롤프 요한네센]] || || || [[피에트로 라바]] || || [[외이빈 홀름센]] || || || [[미켈레 안드레올로]] || || [[닐스 에릭센]]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 || [[우고 로카텔리]] || || 롤프 홀름베르그 || || || [[피에트로 세란토니]] || || [[크리스티안 헨릭센]] || || || [[실비오 피올라]]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레이다르 크밤멘]] || || || [[조반니 페라리]] || || 마그나르 이삭센 || || || [[주세페 메아차]]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 [[아르네 브루스타]]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피에로 파시나티]] || || [[오드 프란첸]] || || || [[피에트로 페라리스]]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크누트 브뤼닐센]] || || ||<|11> 교체 || [[귀도 마제티]] || GK ||<|11> 교체 || 스베레 노르뷔 || GK || || [[카를로 체레졸리]] || GK || 앙케르 실레 || GK || || [[알프레도 포니]] || || 로알 아문센[* 최초로 [[남극|남극점]]을 정복한 탐험가 [[로알 아문센]]과 동명이인] || || || [[레나토 올미]] || || 스베레 한센 || || || [[마리오 젠타]] || || [[외르겐 유베]] || || || [[마리오 페라촐로]] || || 군나르 안드레아센 || || || 브루노 키초 || || 오드문 안데르센 || || || 알도 도나티 || || 아르네 일레뷔 || || || 세르조 베르토니 || || [[알프 마르틴센]] || || || [[아메데오 비아바티]] || || 얄마르 안드레센 || || || [[지노 콜라우시]] || || || || ||<-30> {{{#ffffff '''이탈리아 선발명단'''[br][[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width=30]]}}} || ||<-30> GK[br][[알도 올리비에리]] || ||<-15> FB[br][[에랄도 몬첼리오]] ||<-15> FB[br][[피에트로 라바]] || ||<-10> HB[br][[피에트로 세란토니]] ||<-10> HB[br][[미켈레 안드레올로]] ||<-10> HB[br][[우고 로카텔리]] || ||<-6> FW[br][[피에로 파시나티]] ||<-6> FW[br]'''[[주세페 메아차]]''' ||<-6> FW[br][[실비오 피올라]] ||<-6> FW[br][[조반니 페라리]] ||<-6> FW[br][[피에트로 페라리스]] || ||<-30> VS || ||<-6> FW[br][[아르네 브루스타]] ||<-6> FW[br]마그나르 이삭센 ||<-6> FW[br][[크누트 브뤼닐센]] ||<-6> FW[br][[레이다르 크밤멘]] ||<-6> FW[br][[오드 프란첸]] || ||<-10> HB[br]롤프 홀름베르그 ||<-10> HB[br]'''[[닐스 에릭센]]''' ||<-10> HB[br][[크리스티안 헨릭센]] || ||<-15> FB[br][[외이빈 홀름센]] ||<-15> FB[br][[롤프 요한네센]] || ||<-30> GK[br][[헨뤼 요한센]] || ||<-30> {{{#ffffff '''노르웨이 선발명단'''[br][[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30]]}}} || 디펜딩 챔피언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의 첫 상대는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지역예선#s-2.2|지역예선]]에서 [[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아일랜드 자유 주]]를 물리치고 올라온 [[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노르웨이]]였다. 비록 노르웨이가 이번에 [[FIFA 월드컵|월드컵]]에 처음 출전하는 팀이라고 해도 2년 전의 [[1936 베를린 올림픽|올림픽]]에서 [[메달#s-2|동메달]]을 차지한 다크호스였다. 게다가 이 대회 4강전에서 노르웨이를 패배시켰던 팀이 바로 이탈리아였으므로 노르웨이는 이탈리아에 설욕을 다짐하고 있었다[* 이탈리아는 이 대회에서 우승했다.]. 비록 패하긴 했어도 4강전에서 이탈리아를 상대로 연장전까지 승부를 끌고 갔던 팀이 노르웨이였던 터라 승부를 쉽게 예측하기는 힘든 상황이었다. 하지만 이탈리아는 국제 대회의 경험 면에서 노르웨이보다 한 수 위였다. 전반 2분만에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인터 밀란]] 출신의 공격수 [[피에트로 페라리스]]가 첫 골을 성공시킨 것이다. [[조반니 페라리]]의 슈팅을 노르웨이의 [[골키퍼]] [[헨뤼 요한센]]이 잡아내지 못했고 흘러나온 볼을 페라리스가 침착하게 골문으로 다시 차 넣어 선제골을 만들어냈다. 이탈리아와 노르웨이는 이후 일진일퇴의 공방전을 지속하였고 노르웨이 선수들은 동점골을 넣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그 때마다 이탈리아의 골키퍼 [[알도 올리비에리]]에게 계속 막히고 말았다. 하지만 계속된 노력 끝에 후반 38분 노르웨이의 공격수 [[아르네 브루스타]][* 브루스타는 [[1936 베를린 올림픽|2년 전의 올림픽]] 4강전에서도 동점골을 넣어 승부를 연장전으로 끌고 간 전력이 있다.]가 올리비에리의 방어를 결국 뚫어냈고 승부는 결국 연장전에 돌입하게 되었다. 연장에 돌입한지 4분 만에 선제골의 상황이 재현되고 말았다. [[피에로 파시나티]]의 슛을 요한센 골키퍼가 막아냈지만 쇄도하던 [[실비오 피올라]]가 다시 슈팅을 쏘았고 결국 골을 허용하고 말았다. 이후는 노르웨이가 계속 이탈리아의 골문을 열기 위해 슈팅을 퍼부어댔지만 올리비에리의 방어를 결국 뚫지 못했다. 결국 이탈리아가 노르웨이를 2년 전과 같은 방법으로 다시 꺾고 8강에 진출하였다. === 3경기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 3 vs 1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 === || 경기장 ||<-2> 스타드 올랭피크 드 콜롱브[br][[파리(프랑스)|파리]] - [[프랑스]] || || 경기일 ||<-2> 1938년 6월 5일 17:00[br](1938년 6월 6일 00:00) || || 국 가 ||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br][[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30]] ||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br][[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30]] || || 득 점 || '''3''' || 1 || || 득점자 || [[에밀 베낭트]] (1')[br][[장 니콜라]] (16', 69') || 한리 이셈보르그 (38') || || {{{#ffffff '''라인업''' }}} || {{{#ffffff '''이름''' }}} || {{{#ffffff '''비고''' }}} || {{{#000000 '''라인업''' }}} || {{{#000000 '''이름''' }}} || {{{#000000 '''비고''' }}} || ||<|11> 선발 || [[로랑 디로르토]] || GK ||<|11> 선발 || 아르놀 바주 || GK || || [[에티엔 마틀레르]]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 로베르 파베리크 || || || [[엑토르 카세나베]] || || 코르네일 세이스 || || || [[라울 디아뉴]] || || 알폰스 드빈터르 || || || [[오귀스트 조르당]] || || 에밀 스테이넌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 || 장 바스티앵 || || 존 판알펀 || || || [[알프레드 아스통]] || || [[레몽 브렌]] || || || [[에드몽 델푸르]] || || [[베르나르트 포르호프]] || || || [[에밀 베낭트]]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찰스 판덴바우버르 || || || [[오스카르 에세레]] || || 페르낭 뷜 || || || [[장 니콜라]]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헨리 이셈보르그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11> 교체 || [[르네 렌스]] || GK ||<|11> 교체 || 로베르 브라에트 || GK || || [[쥘리앙 다리]] || GK || [[앙드레 판데베이어]] || GK || || 압델 카데르 벤 부알리 || || [[장 프티(1914)|장 프티]] || || || [[쥘 반도렌]] || || 프란스 호머르스 || || || 체슬라프 포볼니 || || 필리베르 스멜링크스 || || || 뤼시앵 자세롱 || || 폴 앙리 || || || [[프랑수아 부르보트]] || || 피에르 달럼 || || || [[로제 쿠르투아]] || || 아르튀르 쾰레이르스 || || || [[마리오 자텔리]] || || 요서프 넬리스 || || || 미셸 브뤼소 || || 장 카펠레 || || || [[이냐스 코발치크]] || || 장 피에베 || || ||<-30> {{{#ffffff '''프랑스 선발명단'''[br][[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30]]}}} || ||<-30> GK[br][[로랑 디로르토]] || ||<-15> FB[br][[엑토르 카세나베]] ||<-15> FB[br]'''[[에티엔 마틀레르]]''' || ||<-10> HB[br]장 바스티앵 ||<-10> HB[br][[오귀스트 조르당]] ||<-10> HB[br][[라울 디아뉴]] || ||<-6> FW[br][[알프레드 아스통]] ||<-6> FW[br][[오스카르 에세레]] ||<-6> FW[br][[장 니콜라]] ||<-6> FW[br][[에드몽 델푸르]] ||<-6> FW[br][[에밀 베낭트]] || ||<-30> VS || ||<-6> FW[br]페르낭 뷜 ||<-6> FW[br][[레몽 브렌]] ||<-6> FW[br]헨리 이셈보르그 ||<-6> FW[br][[베르나르트 포르호프]] ||<-6> FW[br]찰스 판덴바우버르 || ||<-10> HB[br]알폰스 드빈터르 ||<-10> HB[br]'''에밀 스테이넌''' ||<-10> HB[br]존 판알펀 || ||<-15> FB[br]코르널 세이스 ||<-15> FB[br]로베르 파베리크 || ||<-30> GK[br]아르놀 바주 || ||<-30> {{{#000000 '''벨기에 선발명단'''[br][[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30]]}}} || 개최국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는 첫 상대로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를 만났다. 수도 [[파리(프랑스)|파리]]의 [[올랭피크 드콜롱브]]에서 홈팬들의 열광적인 응원을 뒤에 업은 프랑스는 그들의 성원에 보답하기라도 하듯 스트라이커 [[에밀 베낭트]]가 경기 시작 35초 만에 선제골을 터뜨렸다. 벨기에 [[골키퍼]] 아르놀 바주의 캐칭 미스를 틈탄 빠른 골이었다. [[FIFA 월드컵|월드컵]]의 아버지 [[쥘 리메]]도 응원석에서 박수를 보냈다. 뒤이어 프랑스는 전반 16분 [[장 니콜라]]의 빠른 돌파에 이은 왼발 슈팅으로 추가골을 터뜨렸다. 경기는 그 이후로 소강상태에 접어들었다. 니콜라는 후반 24분, 오른발 터닝 슈팅으로 추가골을 터뜨리면서 한 골을 만회한 벨기에를 가볍게 따돌리고 8강에 진출하였다. 3번 연속으로 월드컵에 나간 벨기에는 4전 전패에 3득점 12실점으로 참가에만 의미를 둬야 할 성적을 기록하게 되었다. === 4경기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헝가리]] 6 vs 0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네덜란드령 동인도]] === || 경기장 ||<-2> 스타드 오귀스트 델로누[br][[랭스]] - [[프랑스]] || || 경기일 ||<-2> 1938년 6월 5일 17:00[br](1938년 6월 6일 00:00) || || 국 가 ||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헝가리]]'''[br][[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width=30]] ||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네덜란드령 동인도]][br][[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 득 점 || '''6''' || 0 || || 득점자 || [[코후트 빌모시]] (13')[br][[톨디 게저]] (15')[br][[샤로시 죄르지]] (28', 89')[br][[젠겔레르 줄러]] (35', 76') || || || {{{#990000 '''라인업''' }}} || {{{#990000 '''이름''' }}} || {{{#990000 '''비고''' }}} || {{{#000000 '''라인업''' }}} || {{{#000000 '''이름''' }}} || {{{#000000 '''비고''' }}} || ||<|11> 선발 || 하더 요제프 || GK ||<|11> 선발 || [[탄모행]] || GK || || [[비로 샨도르]] || || [[재크 사뮈얼스]] || || || [[코라니 러요시]] || || 프란스 후콘 || || || [[라자르 줄러]] || || 수탄 안와르 || || || [[벌로그 이슈트반]] || || [[아흐맛 나위르]][* FIFA 보고서에는 프란스 멩이 주장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영상 자료에서는 양팀 주장으로 나위르가 [[샤로시 죄르지|샤로시]]와 악수하는 장면이 나온다.]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 || [[투러이 요제프]] || || [[프란스 멩]] || || || [[샤로시 죄르지]]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수바르테 수다르마지 || || || [[셔시 페렌츠]] || || 차크 파티와엘 || || || [[젠겔레르 줄러]]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탄홍지엔 || || || [[코후트 빌모시]]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한스 타이후투 || || || [[톨디 게저]]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헹크 조머르스 || || ||<|11> 교체 || [[서보 언털]] || GK ||<|11> 교체 || 도르스트 || || || [[팔린카시 요제프(축구)|팔린카시 요제프]] || GK || 얀 하르팅 || || || [[샤로시 벨러]][* [[샤로시 죄르지]]의 동생.] || || G. 판덴뷔르흐 || || || [[설러이 언털]] || || 헤릿 파울하버 || || || [[쉬츠 죄르지]] || || 뤼디 텔버 || || || [[폴가르 줄러]] || || 탄시한 || || || [[비로 미하이]] || || 테일헤르버르 || || || [[빈체 예뇌]] || || || || || 야노시 두다시 || || || || || [[체흐 라슬로(축구)|체흐 라슬로]] || || || || || [[티트코시 팔]] || || || || ||<-30> {{{#990000 '''헝가리 선발명단'''[br][[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width=30]]}}} || ||<-30> GK[br]하더 요제프 || ||<-15> FB[br][[코라니 러요시]] ||<-15> FB[br][[비로 샨도르]] || ||<-10> HB[br][[벌로그 이슈트반]] ||<-10> HB[br][[투러이 요제프]] ||<-10> HB[br][[라자르 줄러]] || ||<-6> FW[br][[셔시 페렌츠]] ||<-6> FW[br][[젠겔레르 줄러]] ||<-6> FW[br]'''[[샤로시 죄르지]]''' ||<-6> FW[br][[톨디 게저]] ||<-6> FW[br][[코후트 빌모시]] || ||<-30> VS || ||<-6> FW[br]한스 타이후투 ||<-6> FW[br]차크 파티와엘 ||<-6> FW[br]헹크 조머르스 ||<-6> FW[br]수바르테 수다르마지 ||<-6> FW[br]탄홍딘 || ||<-10> HB[br]수탄 안와르 ||<-10> HB[br][[프란스 멩]] ||<-10> HB[br]'''[[아흐맛 나위르]]''' || ||<-15> FB[br][[재크 사뮈얼스]] ||<-15> FB[br]프란스 후콘 || ||<-30> GK[br][[탄모행]] || ||<-30> {{{#000000 '''네덜란드령 동인도 선발명단'''[br][[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헝가리]]와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네덜란드령 동인도]]의 시합에서의 예측은 너무나도 쉬워보였다. 헝가리는 당시 유럽 최고 수준의 리그를 가지고 있었고 그 리그에서 최고의 선수들을 끌어모은 명실상부한 강팀이었으나 네덜란드령 동인도는 당시 피파가 아시아의 축구 수준을 파악하지 못하고 타 대륙과 경쟁없이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의 기권으로 손쉽게 월드컵 16개국에 진출한 팀이었다.[* 하지만 1934년에 있었던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과의 맞대결에서 일본을 7대1로 깬 적도 있었기에 아마 기권 없이 실제로 붙었어도 일본보다는 올라올 확률이 높았을 거라 추측된다. 참고로 이 당시에 [[아시아]]에서 가장 축구를 잘 하던 국가는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중국]]이었다. --중국이 아시아에서 축구를 가장 잘한다니... 21세기 들어선 상상할 수 없는 일이다...--] 당시 네덜란드령 동인도 대표팀에는 네덜란드계와 중국계 선수들도 많았고 골키퍼 [[탄모행]]은 행운을 기원하는 의미로 자신이 지키는 골대에 인형을 놓기도 했다. 하지만 이런 행운의 기원이 무색하게도 시합의 결과는 너무도 뻔하게 흘러갔다. 13분 만에 첫 골을 뽑아낸 헝가리는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골문을 전반에만 4번이나 흔들었다. 후반에 네덜란드령 동인도는 거의 저항을 하지 못했으며 헝가리는 6대0으로 손쉬운 승리를 챙겼다. 네덜란드령 동인도는 그 이후로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지 못해서 지금까지도 유일하게 월드컵 본선에서 단 1경기를 치른 팀으로 남아있다. ~~불명예스러운 기록이지만~~ 당연히 역대 월드컵 참가팀 중 최소 본선 경기 횟수 기록을 보유중이다. === 5경기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오스트리아]] vs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 (취소) === || 경기장 ||<-2> --스타드 제를랑[br][[리옹]] - [[프랑스]]-- || || 경기일 ||<-2> --1938년 6월 5일 17:00[br](1938년 6월 6일 00:00)-- || || 국 가 ||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오스트리아]]--[br][[파일:오스트리아 연방국 국기.svg|width=30]] ||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br][[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30]] || || 득 점 || 기권패 || '''부전승''' ||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프랑스 월드컵]]이 개최되기 3달 전인 1938년 3월, [[오스트리아 연방국|오스트리아]]가 [[나치 독일|독일]]에 [[오스트리아 병합|합병]]됨으로써 이 시합은 취소되었고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이 8강에 올라가게 되었다. 이로써 [[리옹]]에서 치러질 예정이었던 단 한 경기는 그대로 취소되었다. === 6경기 [[쿠바 축구 국가대표팀|쿠바]] 3 vs 3 [[루마니아 축구 국가대표팀|루마니아]] === || 경기장 ||<-2> 스타드 샤푸[br][[툴루즈]] - [[프랑스]] || || 경기일 ||<-2> 1938년 6월 5일 17:00[br](1938년 6월 6일 00:00) || || 국 가 || [[쿠바 축구 국가대표팀|쿠바]][br][[파일:쿠바 국기(1902-1906, 1909-1959).svg|width=30]] || [[루마니아 축구 국가대표팀|루마니아]][br][[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30]] || || 득 점 || 3 || 3 || || 득점자 || [[엑토르 소코로]] (44', 103')[br]호세 마그리냐 (69') || [[실비우 빈데아]] (35')[br]율리우 바라트키 (88')[br][[슈테판 도바이]] (105') || || {{{#003366 '''라인업''' }}} || {{{#003366 '''이름''' }}} || {{{#003366 '''비고''' }}} || {{{#0000ff '''라인업''' }}} || {{{#0000ff '''이름''' }}} || {{{#0000ff '''비고''' }}} || ||<|11> 선발 || 베니토 카르바할레스 || GK ||<|11> 선발 || 두미트루 파블로비치 || GK || || 마누엘 초렌스 || || 루돌프 뷔르거 || || || [[하신토 바르킨]] || || 바실레 키로이우 || || || 페드로 베르헤스 || || 게오르게 러쉬나루 || || || [[호세 로드리게스(1912)|호세 로드리게스]] || || [[라슬로 라핀스키]] || || || 호아킨 아리아스 || || 빈틸러 코시니 || || || 마리오 소사 || || [[니콜라에 코바치]]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 || [[엑토르 소코로]]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슈테판 도바이]]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토마스 페르난데스]]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 [[실비우 빈데아]]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호세 마그리냐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율리우 바라트키]]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후안 투냐스]] || || [[율리우 보돌라]] || || ||<|9> 교체 || [[후안 아이라]] || GK ||<|9> 교체 || 로베르트 샤도프스키 || GK || || 카를로스 올리베이라 || || [[미르체아 다비드]] || GK || || 페드로 페레르 || || 라저르 스페러 || || || 후안 알론소 || || 야코브 펠레칸 || || || || || 안드레이 버르불레스쿠 || || || || || [[요니커 보그단]] || || || || || 요아킴 몰도베아누 || || || || || 요제프 나기 || || || || || 율리우 프라슬러 || || ||<-30> {{{#003366 '''쿠바 선발명단'''[br][[파일:쿠바 국기(1902-1906, 1909-1959).svg|width=30]]}}} || ||<-30> GK[br]베니토 카르바할레스 || ||<-15> FB[br][[하신토 바르킨]] ||<-15> FB[br]마누엘 초렌스 || ||<-10> HB[br]호아킨 아리아스 ||<-10> HB[br][[호세 로드리게스(1912)|호세 로드리게스]] ||<-10> HB[br]페드로 베르헤스 || ||<-6> FW[br]호세 마그리냐 ||<-6> FW[br]'''[[토마스 페르난데스]]''' ||<-6> FW[br][[엑토르 소코로]] ||<-6> FW[br][[후안 투냐스]] ||<-6> FW[br]마리오 소사 || ||<-30> VS || ||<-6> FW[br][[슈테판 도바이]] ||<-6> FW[br][[율리우 보돌라]] ||<-6> FW[br][[율리우 바라트키]] ||<-6> FW[br]'''[[니콜라에 코바치]]''' ||<-6> FW[br][[실비우 빈데아]] || ||<-10> HB[br][[라슬로 라핀스키]] ||<-10> HB[br]게오르게 러쉬나루 ||<-10> HB[br]빈틸러 코시니 || ||<-15> FB[br]바실레 키로이우 ||<-15> FB[br]루돌프 뷔르거 || ||<-30> GK[br]두미트루 파블로비치 || ||<-30> {{{#0000ff '''루마니아 선발명단'''[br][[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30]]}}} || [[북중미]] 대표로 [[FIFA 월드컵|월드컵]]에 출전한 [[쿠바 축구 국가대표팀|쿠바]]의 상대는 [[루마니아 축구 국가대표팀|루마니아]]였다. 제3세계의 축구였으니만큼 쿠바의 축구는 유럽인들에게 흥미로울 수밖에 없었지만 루마니아는 시드 배정국이 아님에도 쿠바를 얕보았다. 루마니아의 감독 서불레스쿠는 쿠바를 상대로 7골을 넣을 것이라고 호언장담했을 정도였지만 쿠바 대표팀은 유럽 축구팬들의 기대를 채워주었다. 루마니아를 상대로 3대3의 흥미진진한 결과를 낸 것이다. 특히 후반 종료 2분을 남기고 루마니아의 [[율리우 바라트키]]가 만회골을 넣어 연장전을 치렀으며, 연장에서도 한 골씩을 주고받는 난타전 끝에 무승부를 일궈냄으로서 쿠바의 실력에 대한 의문 부호를 떼는데 성공했다. === 7경기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 6 vs 5 [[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폴란드]] === || 경기장 ||<-2> 스타드 드 라 메이노[br][[스트라스부르]] - [[프랑스]] || || 경기일 ||<-2> 1938년 6월 5일 17:30[br](1938년 6월 6일 00:30) || || 국 가 ||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br][[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width=30]] || [[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폴란드]][br][[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width=30]] || || 득 점 || '''6''' || 5 || || 득점자 || '''[[레오니다스 다시우바|레오니다스]]''' (18', 93', 104')[br][[호메우]] (25')[br][[페라시우]] (44', 71') || [[프리데리크 셰르프케]] (23')(PK)[br]'''[[에른스트 빌리모프스키]]''' (53', 59', 89', 118') || || {{{#01519f '''라인업''' }}} || {{{#01519f '''이름''' }}} || {{{#01519f '''비고''' }}} || {{{#ff0000 '''라인업''' }}} || {{{#ff0000 '''이름''' }}} || {{{#ff0000 '''비고''' }}} || ||<|11> 선발 || [[바타타이스(축구)|바타타이스]] || GK ||<|11> 선발 || [[에드바르트 마데이스키]] || GK || || [[도밍구스 다기아]] || || [[브와디스와프 슈체파니아크]]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 || [[마샤두]] || || [[안토니 가웨츠키]] || || || 마르팅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 [[빌헬름 구라]] || || || 아폰시뉴 || || [[에르빈 니츠]] || || || [[제제 프로코피우]] || || [[에발트 디트코]] || || || [[레오니다스 다시우바|레오니다스]]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게라르트 보다시]] || || || 로페스 || || [[레오나르트 피옹테크]] || || || [[에르쿨리스]] || || [[리샤르트 피에츠]] || || || [[페라시우]]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에른스트 빌리모프스키]]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호메우]]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프리데리크 셰르프케]] || [[파일:PKGoal.jpg]] || ||<|11> 교체 || 바우테르 굴라르 || GK ||<|11> 교체 || 발터 브롬 || GK || || [[나리스]] || || [[에드문트 기엠사]] || || || 자우 || || 에드문트 트부시 || || || 브란당 || || 빌헬름 피에츠[* 팀의 주전 공격수 리샤르드의 동생] || || || 브리투 || || [[얀 바시에비치]] || || || 아르제미루 || || 카지미에시 리스 || || || [[니지뉴]] || || [[볼레스와프 하보프스키]] || || || 루이지뉴 || || 스타니스와프 바란 || || || [[팅]] || || [[안토니 위코]] || || || [[파체스쿠]] || || [[에발트 체불라]] || || || 호베르투 || || [[유제프 코르바스]] || || ||<-30> {{{#01519f '''브라질 선발명단'''[br][[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width=30]]}}} || ||<-30> GK[br][[바타타이스(축구)|바타타이스]] || ||<-15> FB[br][[마샤두]] ||<-15> FB[br][[도밍구스 다기아]] || ||<-10> HB[br][[제제 프로코피우]] ||<-10> HB[br]'''마르팅''' ||<-10> HB[br]아폰시뉴 || ||<-6> FW[br]로페스 ||<-6> FW[br][[호메우]] ||<-6> FW[br][[레오니다스 다시우바|레오니다스]] ||<-6> FW[br][[페라시우]] ||<-6> FW[br][[에르쿨리스]] || ||<-30> VS || ||<-6> FW[br][[리샤르트 피에츠]] ||<-6> FW[br][[레오나르트 피옹테크]] ||<-6> FW[br][[프리데리크 셰르프케]] ||<-6> FW[br][[에른스트 빌리모프스키]] ||<-6> FW[br][[게라르트 보다시]] || ||<-10> HB[br][[빌헬름 구라]] ||<-10> HB[br][[에르빈 니츠]] ||<-10> HB[br][[에발트 디트코]] || ||<-15> FB[br]'''[[브와디스와프 슈체파니아크]]''' ||<-15> FB[br][[안토니 가웨츠키]] || ||<-30> GK[br][[에드바르트 마데이스키]] || ||<-30> {{{#ff0000 '''폴란드 선발명단'''[br][[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width=30]]}}} ||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은 당시 전통적으로 [[흰색]] 유니폼을 입었지만 [[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폴란드]]와의 옷 색깔이 겹쳐서 [[하늘색]] 셔츠를 입고 나왔다.[* 초창기 브라질 대표팀은 [[흰색]] 유니폼을 착용했었다. [[마라카낭의 비극|12년 뒤의 흑역사]]까지는 말이다.] 전반 18분, 레오니다스의 발끝에서 브라질의 선제골이 나왔다. 폴란드 수비진형의 허점을 정확히 파고든 후 자신의 장기인 왼발 강슛으로 폴란드의 골문 구석을 뚫었다. 하지만 5분 후 브라질 공격수 [[에르쿨리스]]가 [[에른스트 빌리모프스키]]에게 [[미식축구]]에서나 나올 법한 파울[* 폴란드 공격수의 뒤에서 허리를 끌어 안았다. 옛날 축구에서는 이런 식의 파울이 종종 나왔다.]을 범해 [[페널티 킥]]을 허용했고, [[프리데리크 셰르프케]]가 침착하게 성공시켜 점수는 동점이 되었다. 하지만 브라질은 2분 만에 [[호메우]]가, 그리고 전반 끝날 무렵에는 [[페라시우]]가 각각 골을 터뜨려 전반을 3대1로 마쳤다. 전반이 끝나고 비가 와서 상태가 엉망이 된 운동장을 보고 브라질의 주전 공격수 [[레오니다스 다시우바|레오니다스]]는 맨발로 경기를 치르자고 [[심판]]에게 제의했다. 하지만 심판은 [[부상#s-2|부상]] 등의 이유로 이를 거절했다. 웃긴 것은 레오니다스는 전반에 골도 넣고 대활약을 펼쳤으나, 맨발로 뛸 것을 거절당하자 그것에 멘탈에 영향을 줬는지 후반 내내 삽을 펐다. 이 와중에 후반전에서 폴란드의 희망으로 떠오른 이는 21살의 젊은 공격수 에른스트 빌리모프스키였다.[* 일부 이야기에서 [[에른스트 빌리모프스키]]가 '''축구장에서 고의로 패배하라는''' [[나치 독일]]의 명령에 거역했다 [[총살]]당한 비극의 [[희생양]]으로 종종 등장하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다. 1942년 [[우크라이나]]에서 있었던 우크라이나와 독일 노동자들 간의 축구 시합 이야기가 와전된 것. 참고로 이 시합 이야기를 잠깐하자면 전쟁으로 인해 우크라이나의 [[FC 디나모 키이우|디나모 키이우]] 출신 선수들 중 일부가 리그가 중단되는 바람에 빵 공장에 들어갔다. 이 선수들이 주축이 되었고 로코모티프 키예프 출신 선수들이 또 추가되어 start라는 팀이 결성되었고 역시나 프로 축구 선수들답게 다른 팀들을 떡바르고 다녔다. 하지만 문제는 이 팀의 상대팀들 사이에 독일의 flakelf라는 팀이 껴있었는데 이들은 [[군인]]과 가까이 지내던 비행장 노동자들이었다. 게다가 2차전에서의 심판은 [[SS 친위대]]원이었고 그는 start팀 선수들에게 시합 전에 [[나치식 경례]]를 하라고 종용했다. 하지만 그들은 이 요청을 씹었다. 게다가 그 시합까지 5대3으로 이겨버리니 화가 난 [[나치 독일|독일]] 측에서는 이 start팀의 18명중 11명을 체포했고-9명은 다음날에 바로 체포, 2명은 1년 후에 체포했다. 이 중 5명이 총살, [[고문]] 등의 이유로 사망한 사건이다. 자세한 이야기는 [[FC start]] 문서를 참조.] 빌리모프스키는 후반 8분과 14분에 연속골을 넣어 순식간에 승부를 3대3 동점으로 만들어버렸다. 브라질은 페라시우가 후반 26분에 다시 한 골을 터뜨려 리드를 잡았고 이대로 경기가 끝나는가 싶었지만 빌리모프스키는 후반 44분에 천금같은 동점골을 넣은 동시에 [[해트 트릭]]을 완성하였다. 이렇게 정규 시간을 모두 쓰고도 4대4로 승부를 가리지 못한 양 팀은 연장전에 돌입하였다. 하지만 브라질에는 레오니다스가 있었다. 후반전이 끝나고, 레오니다스는 맨발로 뛰는 대신 '''양말을 벗고 축구화를 신었다.''' 그런데 그 결과, '''연장전에서만 레오니다스는 두 골을 넣으며 승리를 거뒀다!!''' 이 두 골로 순식간에 승부의 추를 브라질로 기울이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해트 트릭을 기록하였다. [[FIFA 월드컵|월드컵]] 역사에서 사상 처음으로 한 경기를 치르는 양팀 모두에서 해트 트릭이 나온 것이다. 현재까지도 유일한 기록이다. 폴란드는 연장 후반 종료 직전에서야 빌리모프스키가 다시 한 골을 추가하여 추격의 불씨를 살렸지만 너무 늦었다. ~~4골이나 넣고도 패한 빌리모프스키 지못미~~ ~~빌리모프스키: [[1승만 하라고 스막 시발들아|한 골만 좀 막으라고 수막 시발들아]]~~ 이 경기는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2014년 홈에서 개최한 월드컵]]에서 [[미네이랑의 비극|독일에게 7실점을 당하는 굴욕]]을 당하기 전까지 브라질의 월드컵 역사상 한 경기 최다 실점 기록이 나온 경기였다. === 8경기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체코슬로바키아]] 3 vs 0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네덜란드]] === || 경기장 ||<-2> 스타드 카비 베르트[br][[르 아브르]] - [[프랑스]] || || 경기일 ||<-2> 1938년 6월 5일 18:30[br](1938년 6월 6일 01:30) || || 국 가 ||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체코슬로바키아]]'''[br][[파일:체코 국기.svg|width=30]] ||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네덜란드]][br][[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 득 점 || '''3''' || 0 || || 득점자 || [[요제프 코슈탈레크]] (93')[br]요제프 제만 (111')[br][[올드르지흐 네예들리]] (118') || || || {{{#000000 '''라인업''' }}} || {{{#000000 '''이름''' }}} || {{{#000000 '''비고''' }}} || {{{#ffffff '''라인업''' }}} || {{{#ffffff '''이름''' }}} || {{{#ffffff '''비고''' }}} || ||<|11> 선발 || [[프란티셰크 플라니치카]] || GK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11> 선발 || [[아드리안 판말러]] || GK || || [[야로슬라프 부르그르]] || || [[마욱 베버]] || || || [[페르디난드 다우치크]] || || 베르튀스 칼덴호버 || || || [[블라스티밀 코페츠키]] || || [[바스 파우어]] || || || [[야로슬라프 보우체크]] || || [[빌럼 안데리선]] || || || [[요제프 코슈탈레크]]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푸크 판헤일]]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 || 라디슬라프 시무네크 || || [[레인 펜터]] || || || 요제프 제만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베르튀스 더하르더르]] || || || [[얀 르지하]] || || [[키크 스미트]] || || || [[올드르지흐 네예들리]]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프란스 판데르페인 || || || 올드르지흐 룰츠 || || [[프랑크 벨스]] || || ||<|11> 교체 || 카렐 부르케르트 || GK ||<|11> 교체 || 닉 미헐 || GK || || 요제프 오르트 || || 디크 베인 || || || 파벨 체르니 || || 헨드리퀴스 플렌터르 || || || [[오타카르 노지르시]] || || 르네 페이퍼르스 || || || [[카렐 콜스키]] || || [[프란스 호헨비르크]] || || || 바츨라프 호라크 || || 다프 드록 || || || [[보이테흐 브라다치]] || || 아리 더빈터르 || || || 아르노슈트 크레우스 || || 카럴 옴스 || || || [[안토닌 푸치]] || || [[핏 더부르]] || || || [[요제프 루들]] || || 핏 퓐트 || || || [[카렐 세네츠키]] || || 헹크 판스판동크 || || ||<-30> {{{#000000 '''체코슬로바키아 선발명단'''[br][[파일:체코 국기.svg|width=30]]}}} || ||<-30> GK[br]'''[[프란티셰크 플라니치카]]''' || ||<-15> FB[br][[야로슬라프 부르그르]] ||<-15> FB[br][[페르디난드 다우치크]] || ||<-10> HB[br][[요제프 코슈탈레크]] ||<-10> HB[br][[야로슬라프 보우체크]] ||<-10> HB[br][[블라스티밀 코페츠키]] || ||<-6> FW[br][[얀 르지하]] ||<-6> FW[br]라디슬라프 시무네크 ||<-6> FW[br]요제프 제만 ||<-6> FW[br][[올드르지흐 네예들리]] ||<-6> FW[br]올드르지흐 룰츠 || ||<-30> VS || ||<-6> FW[br][[베르튀스 더하르더르]] ||<-6> FW[br][[키크 스미트]] ||<-6> FW[br][[레인 펜터]] ||<-6> FW[br]프란스 판데르베인 ||<-6> FW[br][[프랑크 벨스]] || ||<-10> HB[br]'''[[푸크 판헤일]]''' ||<-10> HB[br][[빌럼 안데리선]] ||<-10> HB[br][[바스 파우어]] || ||<-15> FB[br]베르튀스 칼덴호버 ||<-15> FB[br][[마욱 베버]] || ||<-30> GK[br][[아드리안 판말러]] || ||<-30> {{{#ffffff '''네덜란드 선발명단'''[br][[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항구 도시 [[르 아브르]]에서 만난 두 팀은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체코슬로바키아]]와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네덜란드]]였다.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지난 대회]] 준우승팀인 체코슬로바키아는 당대 최고 [[골키퍼]]인 [[프란티셰크 플라니치카|플라니치카]], 지난 대회 득점왕 [[올드르지흐 네예들리|네예들리]] 등 주축 선수들이 그대로 나온 팀이라 네덜란드를 상대로 손쉬운 승리를 거둘 것이라 예상했지만 그렇지 못했다. 심지어 네덜란드는 후반에 공격수 판데르베인이 부상을 당하는 바람에 전력에도 차질이 빚어진 상황이었다. 하지만 정규시간동안 체코슬로바키아는 네덜란드의 골문을 제대로 공략하지 못했고 그대로 연장전에 접어들고 말았다. 하지만 연장에서 체코슬로바키아는 드디어 3골을 터뜨리며 결국 네덜란드를 물리치고 8강에 합류하였다. ~~[[She is|숨겨왔던 나의 수줍은 득점 모두 네게 줄게]]~~ === 9경기[* 1경기의 무승부로 인한 재경기]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 2 vs 4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스위스]] === || 경기장 ||<-2> 파르크 데 프랑스[br][[파리(프랑스)|파리]] - [[프랑스]] || || 경기일 ||<-2> 1938년 6월 9일 18:00[br](1938년 6월 10일 01:00) || || 국 가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br][[파일:나치 독일 국기.svg|width=30]] ||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스위스]]'''[br][[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30]] || || 득 점 || 2 || '''4''' || || 득점자 || [[빌헬름 하네만]]* (8')[br]에르네스트 뢰르처 (22')[* [[자책골]]] || 오이겐 발라셰크 (42')[br][[프레디 비켈]] (64')[br][[앙드레 아베글렁]] (75', 78') || || {{{#000000 '''라인업''' }}} || {{{#000000 '''이름''' }}} || {{{#000000 '''비고''' }}} || {{{#ffffff '''라인업''' }}} || {{{#ffffff '''이름''' }}} || {{{#ffffff '''비고''' }}} || ||<|11> 선발 || 루돌프 라프틀* || GK ||<|11> 선발 || [[빌리 후버]] || GK || || [[야코프 슈트라이틀레]] || || [[세베리노 미넬리]]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 || [[파울 야네스]] || || [[아우구스트 레만]] || || || [[루트비히 골트브루너]] || || [[시리오 베르나티]] || || || 슈테판 스쿠말* || || 에르네스트 뢰르처 || [[파일:OwnGoal.jpg]] || || [[안드레아스 쿠퍼]] || || 헤르만 슈프링어 || || || 레오폴트 노이머* || || [[라우로 아마도]] || || || [[빌헬름 하네만]]*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앙드레 아베글렁]]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에른스트 레너]] || || 오이겐 발라셰크 || [[파일:득점 아이콘.svg|width=20]] || || [[요제프 슈트로]]* || || [[조르주 에비]] || || || [[프리츠 스체판]]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 [[프레디 비켈]]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11> 교체 || [[프리츠 부흐로]] || GK ||<|11> 교체 || 레나토 비초체로 || GK || || [[한스 야코프]] || GK || [[에르빈 발라비오]] || GK || || [[라인홀트 뮌첸베르크]] || || 아돌프 슈텔처 || || || [[빌리 슈마우스]]* || || [[알베르 갱샤르]] || || || [[알빈 키칭거]] || || 오스카 라우흐 || || || 프란츠 바그너* || || [[레오폴트 킬홀츠]] || || || [[한스 모크]]* || || [[알레산드로 프리제리오]] || || || [[루돌프 겔레슈]] || || 오이겐 루프 || || || [[오토 지플링]] || || 툴리오 그라시 || || || [[요제프 가우헬]] || || 폴 에비 || || || 한스 페서* || || 프리츠 바그너 || || ||<-30> {{{#000000 '''독일 선발명단'''[br][[파일:나치 독일 국기.svg|width=30]]}}} || ||<-30> GK[br]루돌프 라프틀* || ||<-15> FB[br][[파울 야네스]] ||<-15> FB[br][[야코프 슈트라이틀레]] || ||<-10> HB[br][[안드레아스 쿠퍼]] ||<-10> HB[br][[루트비히 골트브루너]] ||<-10> HB[br]슈테판 스쿠말* || ||<-6> FW[br][[에른스트 레너]] ||<-6> FW[br][[요제프 슈트로]]* ||<-6> FW[br][[빌헬름 하네만]]* ||<-6> FW[br]'''[[프리츠 스체판]]''' ||<-6> FW[br]레오폴트 노이머* || ||<-30> VS || ||<-6> FW[br][[조르주 에비]] ||<-6> FW[br]오이겐 발라셰크 ||<-6> FW[br][[프레디 비켈]] ||<-6> FW[br][[앙드레 아베글렁]] ||<-6> FW[br][[라우로 아마도]] || ||<-10> HB[br]에르네스트 뢰르처 ||<-10> HB[br][[시리오 베르나티]] ||<-10> HB[br]헤르만 슈프링어 || ||<-15> FB[br][[아우구스트 레만]] ||<-15> FB[br]'''[[세베리노 미넬리]]''' || ||<-30> GK[br][[빌리 후버]] || ||<-30> {{{#ffffff '''스위스 선발명단'''[br][[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30]]}}} || 5일 전의 시합에서 무승부를 거둔 양 팀은 5일 후인 6월 9일에 다시 맞붙게 되었다.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스위스]]가 멤버 교체 없이 시합에 다시 임한 반면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은 원래 [[주장]]인 [[프리츠 스체판]] 등 6명의 선수를 바꾸어 경기에 나섰다. 그래도 그 말도 안되는 6대5의 원칙은 바꾸지 못했다. 초반의 페이스는 독일이 가져갔다. 전반 8분 만에 선제골을 넣은데 이어 29분에는 골대에 맞고 나온 공이 스위스의 하프백 에르네스트 뢰르처의 몸에 다시 맞고 들어가는 불운까지 겹쳐 점수는 순식간에 2대0으로 벌어졌다. 게다가 스위스는 공격수 [[조르주 에비]]까지 부상을 입어 경기는 지고 있고 선수까지 다치는 겹치는 불운을 맛보았다. 하지만 이것이 전화위복. 5일 전에 동점골을 뽑아냈던 [[앙드레 아베글렁|아베글렁]]의 어시스트를 받은 발라셰크가 추격의 불씨를 당겼고 후반 19분에는 [[프레디 비켈]]이 동점골을 넣었다. 독일의 [[골키퍼]] 라프틀이 펀칭한 공이 바로 비켈의 앞에 떨어졌고 비켈은 라프틀의 키를 넘기는 슈팅을 독일 골문에 꽂아넣었다. 이후 독일 골키퍼 라프틀의 분전에도 불구하고 후반 30분과 33분에는 아베글렁이 연속골을 넣으면서 [[경기는 삼성 쪽으로 기울고|경기는 순식간에 스위스쪽으로 기울었다]].[* 그나마도 역전골은 공이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 수비수를 맞고 굴절되면서 라프틀의 키를 넘겨 들어가고 말았다.] 독일의 이 패배는 7개 시드 배정국 중의 유일한 패배였고 독일의 실상을 모르고 보면 그만큼 예상외의 결과였다. 이 패배는 독일이 [[신태용호/2018 FIFA 월드컵 러시아/독일전|2018년 때 사상 최악의 치욕적인 기록]]을 쓰기 이전까지 월드컵 1라운드에서 탈락한 유일했던 사례였다. === 10경기[* 6경기의 무승부로 인한 재경기] [[쿠바 축구 국가대표팀|쿠바]] 2 vs 1 [[루마니아 축구 국가대표팀|루마니아]] === || 경기장 ||<-2> 스타드 샤푸[br][[툴루즈]] - [[프랑스]] || || 경기일 ||<-2> 1938년 6월 9일 18:00[br](1938년 6월 10일 01:00) || || 국 가 || '''[[쿠바 축구 국가대표팀|쿠바]]'''[br][[파일:쿠바 국기(1902-1906, 1909-1959).svg|width=30]] || [[루마니아 축구 국가대표팀|루마니아]][br][[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30]] || || 득 점 || '''2''' || 1 || || 득점자 || [[엑토르 소코로]] (51')[br][[토마스 페르난데스]] (57') || [[슈테판 도바이]] (35') || || {{{#003366 '''라인업''' }}} || {{{#003366 '''이름''' }}} || {{{#003366 '''비고''' }}} || {{{#0000ff '''라인업''' }}} || {{{#0000ff '''이름''' }}} || {{{#0000ff '''비고''' }}} || ||<|11> 선발 || [[후안 아이라]] || GK ||<|11> 선발 || 로베르트 샤도프스키 || GK || || 마누엘 초렌스 || || 루돌프 뷔르거 || || || [[하신토 바르킨]] || || 야코브 펠레칸 || || || 페드로 베르헤스 || || 게오르게 러쉬나루 || || || [[호세 로드리게스(1912)|호세 로드리게스]] || || [[라슬로 라핀스키]] || || || 호아킨 아리아스 || || 안드레이 버르불레스쿠 || || || 마리오 소사 || || [[슈테판 도바이]]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엑토르 소코로]]{{{#red '''▼'''}}}'80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요니커 보그단]] || || || [[토마스 페르난데스]]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요아킴 몰도베아누 || || || 호세 마그리냐 || || [[율리우 바라트키]] || || || [[후안 투냐스]] || || 율리우 프라슬러 || || ||<|9> 교체 || 베니토 카르바할레스 || GK ||<|9> 교체 || 두미트루 파블로비치 || GK || || 카를로스 올리베이라 || || [[미르체아 다비드]] || GK || || 페드로 페레르 || || 라저르 스페러 || || || 후안 알론소 || || 바실레 키로이우 || || || || || 빈틸러 코시니 || || || || || [[니콜라에 코바치]] || || || || || [[실비우 빈데아]] || || || || || 요제프 나기 || || || || || [[율리우 보돌라]] || || ||<-30> {{{#003366 '''쿠바 선발명단'''[br][[파일:쿠바 국기(1902-1906, 1909-1959).svg|width=30]]}}} || ||<-30> GK[br][[후안 아이라]] || ||<-15> FB[br][[하신토 바르킨]] ||<-15> FB[br]마누엘 초렌스 || ||<-10> HB[br]호아킨 아리아스 ||<-10> HB[br][[호세 로드리게스(1912)|호세 로드리게스]] ||<-10> HB[br]페드로 베르헤스 || ||<-6> FW[br]호세 마그리냐 ||<-6> FW[br]'''[[토마스 페르난데스]]''' ||<-6> FW[br][[엑토르 소코로]] ||<-6> FW[br][[후안 투냐스]] ||<-6> FW[br]마리오 소사 || ||<-30> VS || ||<-6> FW[br]'''[[슈테판 도바이]]''' ||<-6> FW[br]율리우 프라슬러 ||<-6> FW[br][[율리우 바라트키]] ||<-6> FW[br]요아킴 몰도베아누 ||<-6> FW[br][[요니커 보그단]] || ||<-10> HB[br][[라슬로 라핀스키]] ||<-10> HB[br]게오르게 라시나루 ||<-10> HB[br]안드레이 바르불레스쿠 || ||<-15> FB[br]야코프 펠레칸 ||<-15> FB[br]루돌프 뷔르거 || ||<-30> GK[br]로베르트 샤도프스키 || ||<-30> {{{#0000ff '''루마니아 선발명단'''[br][[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30]]}}}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과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스위스]]의 경기와 마찬가지로 [[쿠바 축구 국가대표팀|쿠바]]와 [[루마니아 축구 국가대표팀|루마니아]]도 무승부가 나온 관계로 재시합을 하게 되었다. 지난 경기에서 쿠바를 얕보다 의외의 일격을 맞은 루마니아는 [[슈테판 도바이]], 요아킴 몰도베아누를 투입하면서 승리를 가져오려고 했고 그들의 기대대로 경기의 선제골은 루마니아의 [[주장]] 슈테판 도바이가 먼저 기록했다. 하지만 후반, 쿠바는 효율적인 반격으로 루마니아에게 2골을 뽑아내었고 루마니아의 공격은 쿠바의 수비진에 번번이 차단되었다. 결국 쿠바가 루마니아를 2대1로 꺾고 8강에 진출했다. == 8강 대진표 ==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 vs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 : 8강 1경기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 vs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체코슬로바키아]] : 8강 2경기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헝가리]] vs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스위스]] : 8강 3경기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 vs [[쿠바 축구 국가대표팀|쿠바]] : 8강 4경기 이후 정보는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8강 이후]]에서 기재. [[분류:1938 FIFA 월드컵 프랑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