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 ||<-5> '''[[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ffffff 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 || || 조별 라운드 || [[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조별리그 1조&2조|1조, 2조]] || [[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조별리그 3조&4조|3조, 4조]] || || 결선 토너먼트 ||<-2> [[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4강, 결승|4강 이후]] || [[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의 조별 라운드의 진행 상황 중, 3조와 4조에 대해 정리하는 페이지. [목차] == 3조 == || '''{{{#df6911 순위}}}''' ||<-2> '''{{{#df6911 팀명}}}''' || '''{{{#df6911 승}}}''' || '''{{{#df6911 무}}}''' || '''{{{#df6911 패}}}''' || '''{{{#df6911 득점}}}''' || '''{{{#df6911 실점}}}''' || '''{{{#df6911 득실차}}}''' || '''{{{#df6911 승점}}}''' || || '''1'''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30]] || 우루과이 || 2 || 0 || 0 || 5 || 0 || +5 || 4 || || '''2'''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30]] || 루마니아 || 1 || 0 || 1 || 3 || 5 || -2 || 2 || || '''3''' || [[파일:페루 국기.svg|width=30]] || 페루 || 0 || 0 || 2 || 1 || 4 || -3 || 0 || ||<-11><:>{{{#8E8 '''■'''}}} 토너먼트 진출 | {{{#FBB '''■'''}}} 탈락|| [[시드]] 배정국: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우루과이]] === 1경기 [[루마니아 축구 국가대표팀|루마니아]] 3 vs 1 [[페루 축구 국가대표팀|페루]] === || 경기장 ||<-2> [[에스타디오 포시토스]][br][[몬테비데오]] - [[우루과이]] || || 경기일[* 괄호안은 한국시간] ||<-2> 1930년 7월 14일 14:50[br](1930년 7월 15일 03:20) || || 주 심 ||<-2> WARNKEN Alberto (칠레) || || 국 가 || '''[[루마니아 축구 국가대표팀|루마니아]]'''[br][[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30]] || [[페루 축구 국가대표팀|페루]][* 원래 이 당시 [[페루 축구 국가대표팀|페루 대표팀]]의 유니폼은 하얀색과 빨간색의 [[줄무늬|세로 줄무늬]] 유니폼이었다. 하지만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파라과이]]와 겹치는 관계로 울며 겨자먹기로 순수 흰색 유니폼을 입고 월드컵에 참가하였다][br][[파일:페루 국기.svg|width=30]] || || 득 점 || '''3''' || 1 || || 득점자 || 아달베르트 데슈 (1')[br]콘스탄틴 스탄치우 (79')[br][[니콜라에 코바치]] (89') || 루이스 소우자 (75') || || {{{#0000ff '''라인업''' }}} || {{{#0000ff '''이름''' }}} || {{{#0000ff '''비고''' }}} || {{{#ff0000 '''라인업''' }}} || {{{#ff0000 '''이름''' }}} || {{{#ff0000 '''비고''' }}} || ||<|11> 선발 || [[욘 러푸슈나누]] || GK ||<|11> 선발 || [[후안 발디비에소]] || GK || || 루돌프 뷔르거 || || [[마리오 데라스카사스]] || || || 아달베르트 스테이네르 {{{#red '''▼'''}}}'38 || || 알베르토 소리아 || || || [[라슬로 라핀스키]] || || 도밍고 가르시아 || || || [[알프레드 에이센베이세르]] || || 알베르토 데네그리 || || || [[에메릭 포글]]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 플라시도 갈린도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red '''■'''}}} 70' || || [[니콜라에 코바치]]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데메트리오 네이라 || || || [[루돌프 웨트체르]] || || 루이스 소우자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슈테판 바르부 || || [[알레한드로 비야누에바]] || || || 아달베르트 데슈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호세 마리아 라바예 || || || 콘스탄틴 스탄치우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훌리오 로레스 || || ||<|12> 교체 || 사무엘 사우베르 || GK ||<|12> 교체 || 호르헤 파르돈 || GK || || 요시프 크사코 || || 아르투로 페르난데스 || || || 코르넬리우 로베 || || 안토니오 마킬론 || || || 일리에 슈바쉬아누 || || 에두아르도 아스텡고 || || || || || 호세 플로레스 || || || || || 훌리오 킨타나 || || || || || 리사르도 네 로드리게스 || || || || || 카를로스 시요니스 || || || || || 파블로 파체코 || || || || || 호르헤 공고라 || || || || || [[호르헤 사르미엔토]] || || || || || 후안 알폰소 바예 || || 3조의 첫 경기였던 이 경기는 [[루마니아 축구 국가대표팀|루마니아]]가 1분 만에 선제골을 넣어 앞서갔다. 그리고 루마니아의 수비수 스타이너는 다리 골절로 인해 경기에서 빠지게 되었다. 그런데 페루의 [[주장]]이었던 플라시도 갈린도가 경기가 뜻대로 안풀렸는지 계속 말싸움을 비롯한 충돌을 일으켰고 보다못한 주심은 갈린도에게 후반 25분에 [[크리|퇴장크리]]를 먹였다. 이것이 월드컵 역사상 최초의 퇴장 사례다. 소우자 페레이라가 후반 30분에 동점골을 넣어 추격의 불씨를 살렸지만 [[페루 축구 국가대표팀|페루]]는 결국 갈린도의 퇴장을 극복하지 못하고 79분과 89분에 연속골을 허용. 무너지고 말았다. 이 경기에서 관중의 수는 불과 300명에 지나지 않아 역대 월드컵 역사상 최소관중경기가 되었다.[* 피파의 공식 보고서에는 2549명이 왔다고 되어있기는 하다만 대부분의 다른 자료들에는 이 경기에 300명이 왔다고 기록되어 있고, 10년전의 피파 보고서에도 역시 300명이 왔다고 써 있었다. 이 경기가 열렸던 [[에스타디오 포시토스]]가 수용인원 천 명 정도의 미니구장이었던 것도 한 몫했다.] === 2경기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우루과이]] 1 vs 0 [[페루 축구 국가대표팀|페루]] === || 경기장 ||<-2>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br][[몬테비데오]] - [[우루과이]] || || 경기일 ||<-2> 1930년 7월 18일 14:30[br](1930년 7월 19일 03:00) || || 주 심 ||<-2> LANGENUS Jean (벨기에) || || 국 가 ||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우루과이]]'''[br][[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30]] || [[페루 축구 국가대표팀|페루]][br][[파일:페루 국기.svg|width=30]] || || 득 점 || '''1''' || 0 || || 득점자 || [[엑토르 카스트로]] (60') || || || {{{#000000 '''라인업''' }}} || {{{#000000 '''이름''' }}} || {{{#000000 '''비고''' }}} || {{{#ff0000 '''라인업''' }}} || {{{#ff0000 '''이름''' }}} || {{{#ff0000 '''비고''' }}} || ||<|11> 선발 || 엔리케 바예스테로스 || GK ||<|11> 선발 || 호르헤 파르돈 || GK || || 도밍고 테헤라 || || [[마리오 데라스카사스]] || || || [[호세 나사치]]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 안토니오 마킬론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 || [[로렌소 페르난데스]] || || 알베르토 데네그리 || || || [[알바로 헤스티도]] || || 에두아르도 아스텡고 || || || [[호세 안드라데]] || || 플라시도 갈린도 || || || 빅토리아노 이리아르테 || || 데메트리오 네이라 || || || [[산토스 우르디나란]] || || 루이스 소우자 || || || [[엑토르 카스트로]]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알레한드로 비야누에바]] || || || [[페드로 세아]] || || 호세 마리아 라바예 || || || [[페드로 페트로네]] || || 훌리오 로레스 || || ||<|12> 교체 || 미겔 카푸치니 || GK ||<|12> 교체 || [[후안 발디비에소]] || GK || || [[에르네스토 마스체로니]] || || 아르투로 페르난데스 || || || 에밀리오 레코바 || || 알베르토 소리아 || || || 앙헬 멜로뇨 || || 도밍고 가르시아 || || || 카를로스 리올포 || || 호세 플로레스 || || || 콘두엘로 피리스 || || 훌리오 킨타나 || || || [[소일로 살돔비데]] || || 리사르도 네 로드리게스 || || || [[엑토르 스카로네]] || || 카를로스 시요니스 || || || 파블로 도라도 || || 파블로 파체코 || || || 후안 안셀모 || || 호르헤 공고라 || || || 후안 카를로스 칼보 || || [[호르헤 사르미엔토]] || || || || || 후안 알폰소 바예 || || 최강팀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우루과이]]의 경기력을 보여줄 수 있는 절호의 기회. 그리고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의 완공 축하 경기가 곧 홈팀 개막전이었다. 그리고 이 구장에 7만의 관중이 몰려와서 역사적인 구장의 개막을 축하했다. ~~[[몬테비데오|같은 도시]]인데도 불구하고 이전 경기에서는 300명만 구경하고.. 잘하는 짓이다. [[나를 술푸게 하는 세상|자국 경기만 좋아하는 더러운 세상]]~~ 한 시간 동안 오프닝 행사를 하고 펼쳐진 경기에서는 [[외팔이]] 스트라이커 [[엑토르 카스트로]][* 13살때 전기톱을 사용하다 사고로 오른팔을 잃었다.]가 후반 20분에 터뜨린 선제 결승골로 우루과이가 1대0으로 승리를 거둔다. 이로서 [[페루 축구 국가대표팀|페루]]는 탈락 확정. [[파일:external/www.thefootballramble.com/hector_castro.jpg]] 엑토르 카스트로 === 3경기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우루과이]] 4 vs 0 [[루마니아 축구 국가대표팀|루마니아]] === || 경기장 ||<-2>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br][[몬테비데오]] - [[우루과이]] || || 경기일 ||<-2> 1930년 7월 21일 14:50[br](1930년 7월 22일 03:20) || || 주 심 ||<-2> REGO Gilberto (브라질) || || 국 가 ||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우루과이]]'''[br][[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30]] || [[루마니아 축구 국가대표팀|루마니아]][br][[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30]] || || 득 점 || '''4''' || 0 || || 득점자 || 파블로 도라도 (7')[br][[엑토르 스카로네]] (24')[br]후안 안셀모 (30')[br][[페드로 세아]] (35') || || || {{{#000000 '''라인업''' }}} || {{{#000000 '''이름''' }}} || {{{#000000 '''비고''' }}} || {{{#0000ff '''라인업''' }}} || {{{#0000ff '''이름''' }}} || {{{#0000ff '''비고''' }}} || ||<|11> 선발 || 엔리케 바예스테로스 || GK ||<|11> 선발 || [[욘 러푸슈나누]] || GK || || [[에르네스토 마스체로니]] || || 루돌프 뷔르거 || || || [[호세 나사치]]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 요시프 크사코 || || || [[로렌소 페르난데스]] || || [[라슬로 라핀스키]] || || || [[알바로 헤스티도]] || || [[알프레드 에이센베이세르]] || || || [[호세 안드라데]] || || [[에메릭 포글]]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 || 빅토리아노 이리아르테 || || [[니콜라에 코바치]] || || || [[엑토르 스카로네]]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루돌프 웨트체르]] || || || 파블로 도라도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슈테판 바르부 || || || [[페드로 세아]]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아달베르트 데슈 || || || 후안 안셀모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코르넬리우 로베 || || ||<|11> 교체 || 미겔 카푸치니 || GK ||<|11> 교체 || 사무엘 사우베르 || GK || || 도밍고 테헤라 || || 아달베르트 스테이네르 || || || 에밀리오 레코바 || || 일리에 슈바쉬아누 || || || 앙헬 멜로뇨 || || 콘스탄틴 스탄치우 || || || 카를로스 리올포 || || || || || 콘두엘로 피리스 || || || || || [[산토스 우르디나란]] || || || || || [[소일로 살돔비데]] || || || || || [[엑토르 카스트로]] || || || || || [[페드로 페트로네]] || || || || || 후안 카를로스 칼보 || || || || 둘 중 이기는 팀만이 준결승에 진출하는 본격 [[단두대 매치]]. 하지만 [[단두대 매치]]치고는 승부가 너무 쉽게 갈렸다.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우루과이]]가 전반에만 4골을 폭파시키며 [[루마니아 축구 국가대표팀|루마니아]]를 꺾고 조 1위로 4강 토너먼트에 올라갔다. == 4조 == || '''{{{#df6911 순위}}}''' ||<-2> '''{{{#df6911 팀명}}}''' || '''{{{#df6911 승}}}''' || '''{{{#df6911 무}}}''' || '''{{{#df6911 패}}}''' || '''{{{#df6911 득점}}}''' || '''{{{#df6911 실점}}}''' || '''{{{#df6911 득실차}}}''' || '''{{{#df6911 승점}}}''' || || '''1'''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 미국 || 2 || 0 || 0 || 6 || 0 || +6 || 4 || || '''2''' || [[파일:파라과이 국기.svg|width=30]] || 파라과이 || 1 || 0 || 1 || 1 || 3 || -2 || 2 || || '''3'''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30]] || 벨기에 || 0 || 0 || 2 || 0 || 4 || -4 || 0 || ||<-11><:>{{{#8E8 '''■'''}}} 토너먼트 진출 | {{{#FBB '''■'''}}} 탈락|| [[시드]] 배정국: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미국]] === 1경기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미국]] 3 vs 0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 === || 경기장 ||<-2> [[에스타디오 그란 파르케 센트랄]][br][[몬테비데오]] - [[우루과이]] || || 경기일 ||<-2> 1930년 7월 13일 15:00[br](1930년 7월 14일 03:30) || || 주 심 ||<-2> MACIAS Jose (아르헨티나) || || 국 가 ||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미국]]'''[br][[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width=30]] ||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br][[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30]] || || 득 점 || '''3''' || 0 || || 득점자 || 바트 맥기 (23')[br][[톰 플로리]] (45')[br][[버트 파테노드]] (69') || || || {{{#5a77c7 '''라인업''' }}} || {{{#5a77c7 '''이름''' }}} || {{{#5a77c7 '''비고''' }}} || {{{#000000 '''라인업''' }}} || {{{#000000 '''이름''' }}} || {{{#000000 '''비고''' }}} || ||<|11> 선발 || [[지미 더글러스]] || GK ||<|11> 선발 || 아르놀 바주 || GK || || 알렉산더 우드 || || 닉 호이동스 || || || [[조지 무어하우스]] || || 테오도르 누웬 || || || 앤드류 올드 || || [[어거스트 헬레망]] || || || [[지미 갤러거]] || || 장 드클레 || || || [[짐 브라운(축구)|짐 브라운]] || || 피에르 브렌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 || 랄프 트레이시 || || [[루이 베르시프]] || || || 바트 맥기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베르나르트 포르호프]] || || || [[버트 파테노드]]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얀 디덴스 || || || [[빌리 곤살베스]] || || 자크 무샬 || || || [[톰 플로리]]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페르낭 아당]] || || ||<|5> 교체 || 짐 젠틀 || ||<|5> 교체 || 장 드비 || GK || || 프랭크 본 || || 헨리 데데켄 || || || 아니 올리버 || || 알렉시스 샹트렌 || || || 필 슬론 || || 앙드레 사예 || || || 마이크 부키 || || 제라르 델베케 || ||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미국]]은 당시 A매치 최다 출전 선수가 5경기에 그쳤을 정도로[* [[골키퍼]] [[지미 더글러스]]가 당시 팀 내 A매치 최다 출전 기록 보유자였다.] 신예들만 뽑아 대회에 출전했다. 그에 대한 우려도 있었지만 첫 상대로 1920올림픽 우승팀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를 3대0으로 [[관광]]보내며 그에 대한 우려를 한큐에 일축시켰다. 이런 의외의 성적을 거둔 배경 중 하나로는 순수 미국인들 외에도 영국 출신 선수들이 일부 섞여 있기 때문이었다. 나름 스코틀랜드 등에서 종주국 물을 먹은 선수들을 주축으로 뭉쳤기 때문에 생각보다는 강한 전력을 가질 수 있었던 것. === 2경기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미국]] 3 vs 0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파라과이]] === || 경기장 ||<-2> [[에스타디오 그란 파르케 센트랄]][br][[몬테비데오]] - [[우루과이]] || || 경기일 ||<-2> 1930년 7월 17일 14:45[br](1930년 7월 18일 03:15) || || 주 심 ||<-2> MACIAS Jose (아르헨티나) || || 국 가 ||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미국]]'''[br][[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width=30]] ||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파라과이]][br][[파일:Flag_of_Paraguay_(1842-1954)_svg(Big).png|width=30]] || || 득 점 || '''3''' || 0 || || 득점자 || '''[[버트 파테노드]]''' (10', 15', 50') || || || {{{#5a77c7 '''라인업''' }}} || {{{#5a77c7 '''이름''' }}} || {{{#5a77c7 '''비고''' }}} || {{{#0055aa '''라인업''' }}} || {{{#0055aa '''이름''' }}} || {{{#0055aa '''비고''' }}} || ||<|11> 선발 || [[지미 더글러스]] || GK ||<|11> 선발 || 모데스토 데니스 || GK || || 알렉산더 우드 || || 키테이로 올메도 || || || [[조지 무어하우스]] || || 호세 레온 미라카 || || || 앤드류 올드 || || 로밀도 에체베리 || || || [[지미 갤러거]] || || 에우세비오 디아스 || || || [[짐 브라운(축구)|짐 브라운]] || || 프란시스코 아기레 || || || 랄프 트레이시 || || 니노 네시 || || || 바트 맥기 || || [[델핀 베니테스 카세레스]] || || || [[버트 파테노드]]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디오헤네스 도밍게스 || || || [[빌리 곤살베스]] || || 루이스 바르가스 페냐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 || [[톰 플로리]]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 [[아우렐리오 곤살레스]] || || ||<|12> 교체 || 짐 젠틀 || ||<|12> 교체 || 페드로 베니테스[* 키 166cm로 역대 골키퍼 중 손에 꼽히는 단신 골키퍼이다.] || GK || || 프랭크 본 || || 살바도르 플로레스 || || || 아니 올리버 || || 에우스타시오 차모로 || || || 필 슬론 || || 디오고 플로렌틴 || || || 마이크 부키 || || 산티아고 베니테스 || || || || || 트란킬리노 가르세테 || || || || || 베르나베 리베라 || || || || || 산티아고 베니테스 || || || || || 아마데오 오르테가 || || || || || 카예타노 카레라스 사게이르 || || || || || 하신토 비얄바 || || || || || 헤라르도 로메로 || || 월드컵 역사상 첫 [[해트 트릭]]이 나온 경기이다. 주인공은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미국]]의 공격수 [[버트 파테노드]]. 그 중 한 골이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파라과이]] 선수 [[아우렐리오 곤살레스]]의 [[자책골]] 또는 동료 플로리의 골로 인정되어서 [[해트트릭]]을 76년간 기록을 인정받지 못했지만 [[미국]] 축구협회의 조사로 파테노드의 골임을 밝혀내었고 [[FIFA]]가 이를 수용하여 파테노드가 월드컵 역사상 첫 해트 트릭의 기록에 자신의 이름을 써넣게 되었다. 그리고 덩달아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미국]]은 2승으로 4강 진출 확정. === 3경기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파라과이]] 1 vs 0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 === || 경기장 ||<-2>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br][[몬테비데오]] - [[우루과이]] || || 경기일 ||<-2> 1930년 7월 20일 15:00[br](1930년 7월 21일 03:30) || || 주 심 ||<-2> VALLARINO Ricardo (우루과이) || || 국 가 ||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파라과이]]'''[br][[파일:Flag_of_Paraguay_(1842-1954)_svg(Big).png|width=30]] ||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br][[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30]] || || 득 점 || '''1''' || 0 || || 득점자 || 루이스 바르가스 페냐 (40') || || || {{{#0055aa '''라인업''' }}} || {{{#0055aa '''이름''' }}} || {{{#0055aa '''비고''' }}} || {{{#000000 '''라인업''' }}} || {{{#000000 '''이름''' }}} || {{{#000000 '''비고''' }}} || ||<|11> 선발 || 페드로 베니테스 || GK ||<|11> 선발 || 아르놀 바주 || GK || || 살바도르 플로레스 || || 닉 호이동스 || || || 키테이로 올메도 || || 테오도르 누웬 || || || 산티아고 베니테스 || || [[어거스트 헬레망]] || || || 에우세비오 디아스 || || 피에르 브렌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 || 트란킬리노 가르세테 || || 헨리 데데켄 || || || 니노 네시 || || [[루이 베르시프]] || || || [[델핀 베니테스 카세레스]] || || 얀 디덴스 || || || 루이스 바르가스 페냐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자크 무샬 || || || 산티아고 베니테스 || || 제라르 델베케 || || || [[아우렐리오 곤살레스]] || || [[페르낭 아당]] || || ||<|12> 교체 || 모데스토 데니스 || GK ||<|12> 교체 || 장 드비 || GK || || 에우스타시오 차모로 || || 알렉시스 샹트렌 || || || 호세 레온 미라카 || || 장 드클레 || || || 디오고 플로렌틴 || || [[베르나르트 포르호프]] || || || 로밀도 에체베리 || || 앙드레 사예 || || || 프란시스코 아기레 || || || || || 디오헤네스 도밍게스 || || || || || 베르나베 리베라 || || || || || 아마데오 오르테가 || || || || || 카예타노 카레라스 사게이르 || || || || || 하신토 비얄바 || || || || || 헤라르도 로메로 || || || || 탈락 확정 팀들이 벌이는 [[와각지쟁|진흙탕 매치]]. 이겨도 탈락, 져도 탈락이라면 그래도 꼴찌는 면하기 위한 몸부림에서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파라과이]]가 바르가스 페냐의 골을 끝까지 지켜 1대0으로 승리를 거두었다. 이렇게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파라과이]]는 월드컵 9위가 되었다. == 4강 진출팀 == 3조 1위 :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우루과이]] 4조 1위 :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미국]] 이후 정보는 [[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4강, 결승]]에서 기재. [[분류: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