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지진)] [include(틀:대한민국 주요 지진)] ||<-3> '''{{{#fff {{{+1 1928년 지리산 지진}}}}}}''' || || {{{#fff '''발생'''[br]^^(UTC+9)^^}}} ||<-2> [[1928년]] [[1월 12일]] 0시 47분 || ||<|3> '''{{{#fff 진앙}}}''' ||<-2> 지리산 지역 || ||<-2> {{{#!wiki style="margin:-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35.30°N 127.75°E&zoom=8, 높이=240px)]}}} || ||<-2> 35.30°N 127.8°E[*KIGAM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료][br]35.30°N 127.70°E[*NK 북한 조선지진연구소] || || '''{{{#fff 규모}}}''' ||<-2>M,,L,, 4.3[*KIGAM] / M,,L,, 4.0[*NK] || ||<|4> '''{{{#fff 진도}}}''' ||<-2> 감진 기준 추정 최대진도 || || '''{{{#fff Ⅵ}}}''' || 진앙지 인근 || ||<-2> 진도 Ⅲ 이상 추정 유감 지역 || ||<-2>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1928년 1월 12일 0시 47분에 발생한 [[지진]]. 리히터 규모가 1935년 처음 등장하였기 때문에 관측 당시 기록된 규모는 없으나, 당시 관측된 최대 지진파 기록을 토대로 추정한 규모는 4.0 ~ 4.3이다. 지진 유감 기록을 볼때 실제 규모는 이보다 컸을 가능성이 있다. == 상세 == 이 지진으로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등의 넓은 지역에서 진동을 감지했다. 조선기상30년보에는 이 지진으로 [[경남]] [[통영]]지역에서 집이 흔들리고 [[여수시|여수]], [[남해군|남해]] 지역에서 잠을 자던 사람들이 진동을 깰 정도의 강한 지진이었다고 기록되어있다. == 당시 기록 ==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28011400209202016&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28-01-14&officeId=00020&pageNo=2&printNo=2650&publishType=00020|#1]]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2801140023920201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28-01-14&officeId=00023&pageNo=2&printNo=2643&publishType=00020|#2]]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28011500239204030&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28-01-15&officeId=00023&pageNo=4&printNo=2644&publishType=00020|#3]]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28011500239205002&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28-01-15&officeId=00023&pageNo=5&printNo=2644&publishType=00020|#4]]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28011600239203019&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28-01-16&officeId=00023&pageNo=3&printNo=2645&publishType=00020|#5]]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28011700209205010&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28-01-17&officeId=00020&pageNo=5&printNo=2653&publishType=00020|#6]] * 진앙에서 약 25km 떨어진 [[함양군|함양]]에서는 잠자는 사람들이 놀라 깨어나고 그릇 떨어져 깨졌다. * 진앙에서 약 50km 떨어진 [[거창]]에서는 책상이 상하로 제법 흔들리고 방안에 앉은 사람이 자동차를 탄듯 흔들려 지진에 익숙할법한 일본사람 조차 놀라서 집밖으로 대피했다. * 진앙에서 약 50km 떨어진 [[순천]]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강한 진동으로 놀랐다. * 진앙에서 약 60km 떨어진 [[순창]]에서는 지진으로 방문의 돌쩌귀가 소리를 내며 흔들렸다. * 진앙에서 약 70km 떨어진 [[담양]]에서는 강한 진동으로 모든 사람들이 놀랐다. * 진앙에서 약 80km 떨어진 [[전주]]에서는 집이 흔들려 사람들이 깨어났다. * 진앙에서 약 80km 떨어진 [[정읍]]에서는 문고리가 흔들리고 사람이 느낄 정도의 진동이 있었다. * 진앙에서 약 90km 떨어진 [[김제]]에서는 집의 문이 흔들리고 잠든 사람들이 깨어났다. == 기타 == 이 지진 이후부터 지리산에서는 [[1936년 지리산 쌍계사 지진]] 지진을 비롯하여 강한 지진들이 계속 이어졌다. == 관련 문서 == ||<-5>
{{{#ffffff '''별도의 문서가 존재하는 한반도 지진''' }}} || || [[1926년 경상북도 서부 지진]] || {{{+1 → }}} || '''[[1928년 지리산 지진]]''' || {{{+1 → }}} || [[1935년 의성 지진]] || [include(틀:지진/20세기)] [[분류:지진/대한민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