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1 {{{#ffffff '''1925년 독일 대통령 선거'''}}}}}} {{{#ffffff Die Reichspräsidentenwahl 1925}}}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925 독일 대선 선거 지도.png|width=100%]][br]{{{-2 후보자들의 지역별 우세지}}}}}} || ||<-4> {{{#!wiki style="margin: -7px -12px;" || {{{-2 [[1919년]] [[2월 11일]]}}}[br][[1919년 독일 대통령 선거|1919년 대선]] || → || {{{-2 [[1925년]] [[3월 25일]]}}}[br]'''1925년 대선''' || → || {{{-2 [[1932년]] [[3월 13일]]}}}[br][[1932년 독일 대통령 선거|1932년 대선]] ||}}} || || {{{#101436,#59b3ff '''투표율'''}}} ||<-3>77.0%{{{-3 [[1919년 독일 대통령 선거|{{{#808080,#0000ff -%p}}}]]}}} || ||<-4> {{{#ffffff '''선거 결과'''}}} || || {{{#101436,#59b3ff '''후보'''}}} || [[독일 중앙당|{{{#!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5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9em;" {{{#ffffff '''독일 중앙당'''}}}}}}]][br]'''[[빌헬름 마르크스]]''' || [include(틀:무소속)][br]'''[[파울 폰 힌덴부르크|파울 힌덴부르크]]''' || [include(틀:독일 공산당)][br]'''[[에른스트 텔만]]''' || ||<|2> {{{#101436,#59b3ff '''득표율'''}}}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45.3%, #808080 45.3%, #808080 93.6%, #900000 93.6%, #900000);" }}} || || 45.3% || '''48.3%''' || 6.4% || || {{{#101436,#59b3ff '''득표수'''}}} || 13,751,605 || '''14,655,641''' || 1,931,151 || ||<-4> {{{#ffffff '''당선인'''}}}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resident_Hindenburg.jpg|width=100%]]}}} || ||<-4> [[무소속|{{{#ffffff '''무소속'''}}}]][br]'''[[파울 폰 힌덴부르크|{{{#ffffff {{{+2 파울 폰 힌덴부르크}}}}}}]]''' || [목차] [clearfix] == 개요 == [[바이마르 공화국]] 뿐만 아니라 독일 역사상 '''최초의 직선제 대통령 선거'''이며 투표율은 '''77.0%'''였다. 독일의 불경기와 [[초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기성 정치에 대한 혐오로 인해 기존 정당의 지지를 받던 [[빌헬름 마르크스]]가 낙선하고, 민족주의 계열 군인 출신의 '''[[파울 폰 힌덴부르크]]'''가 당선되었다. == 후보 == '''결선 진출''' * [[파울 폰 힌덴부르크]] ([include(틀:무소속)]) : [include(틀:독일 국가인민당)] - [include(틀:독일 인민당)] - [include(틀:바이에른 인민당)] 단일 후보. [include(틀: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도 당 차원에서 지지했다. * [[빌헬름 마르크스]] ([include(틀:독일 중앙당)]) : [include(틀:독일 사회민주당)] - [include(틀:독일 중앙당)] - [include(틀:독일민주당)] 단일 후보 * [[에른스트 텔만]] ([include(틀:독일 공산당)]) 본래 [[에른스트 텔만]]은 4위로 결선 진출이 불가능한 상황이었으나 [[오토 브라운]] 사민당 후보가 [[빌헬름 마르크스]]를 지지하며 사퇴하여 결선에 진출하게 되었다. '''1차 투표에서 탈락한 인물''' * [[카를 야레스]] ([include(틀:독일 인민당)]) : 1차 투표에서 1위였으나, 결선 투표에서 [[파울 폰 힌덴부르크]]에게 후보직을 양보했다. * [[오토 브라운]][* 대장정으로 유명한 공산주의자 오토 브라운과는 이름만 같은 동명 이인이다. 1925년부터 1932년까지 프로이센주 주지사를 지냈다.] ([include(틀:독일 사회민주당)]) : 1차 투표에서 2위였으나 [[독일 중앙당]]과의 연정으로 [[빌헬름 마르크스]] 후보를 지지하며 사퇴했다. * [[에리히 루덴도르프]] ([include(틀: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 바이에른 지역정당인 바이에른 인민당에도 밀리면서 20만표 득표에 1%로 광탈(...). 이후 정계에서 아웃된다. 나치당 차원에서 [[파울 폰 힌덴부르크]] 지지. * [[빌리 헬파흐]] ([include(틀:독일 민주당)]) : 1차 투표에서 5위로 낙선했다. [[오토 브라운]]과 마찬가지로 빌헬름 마르크스 지지. * [[하인리히 헬트]] ([include(틀:바이에른 인민당)]) : 1차 투표에서 6위로 낙선했다. 이후 [[파울 폰 힌덴부르크]] 지지를 선언했다. == 선거 결과 == ||<-7> '''{{{#FFFFFF 1925년 독일국 대통령 선거}}}''' || || '''{{{#FFFFFF 기호}}}''' || '''{{{#FFFFFF 후보명}}}''' || '''{{{#FFFFFF 정당}}}''' || '''{{{#FFFFFF 득표수}}}''' || '''{{{#FFFFFF 득표율}}}''' || '''{{{#FFFFFF 순위}}}''' || '''{{{#FFFFFF 당선여부}}}''' || || 1 || [[빌헬름 마르크스]] || [include(틀:독일 중앙당)] || 13,751,605 || 45.3% || 2 || 낙선 || || 2 || [[파울 폰 힌덴부르크]] || [include(틀:무소속)] || '''14,655,641''' || '''48.3%''' || 1 || '''당선''' || || 3 || [[에른스트 텔만]] || [include(틀:독일 공산당)] || 1,931,151 || 6.4% || 3 || 낙선 || 사민당, 중앙당, 민주당 등 중도보수~중도진보 진영에서 밀었던 '''[[빌헬름 마르크스]]'''와, 강경 보수, 민족주의 정당들이 지지했던 '''[[파울 폰 힌덴부르크]]'''가 격돌하였다. 3지대 후보로 [[공산주의]] 성향의 [[에른스트 텔만]]이 결선에 진출하였으며, 선거 결과 90만여표차, 3%p 차이로 [[파울 폰 힌덴부르크]]가 [[빌헬름 마르크스]]를 꺾고 승리했다. 지역별로 결과가 판이하게 달랐는데, 구 [[프로이센]] 지역이었던 동부는 보수파였던 힌덴부르크를 지지한 반면 라인란트 지역은 상대적으로 진보였던 [[빌헬름 마르크스]]를 지지했다. [[에른스트 텔만]]은 [[베를린]]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선전하긴 했으나 모든 지역에서 2위나 3위에 그쳤다. 당초 서부 공업지대의 압도적 지지를 받던 마르크스와 동부 농촌을 중심으로 지지를 받던 힌덴부르크의 한치 앞을 알 수 없는 접전이 예상되었나, 전쟁 영웅이었던 힌덴부르크가 인물론으로 근소하게 승리하게 된 것이다. 또 1920년대 독일의 불경기로 중앙당, 사민당 등 기성 정당들이 독일 국민들의 지지를 별로 받지 못했던 것 역시 힌덴부르크의 승리를 견인했다.1920년대 독일을 강타한 유대형제 바르마트 스캔들로 사민당과 중도보수계열 정당이 프레임에 끌려다닌 이유도 한몫했다. [[빌헬름 마르크스]]는 이후 법무부장관을 맡다가 총리로 당선되었다. 그 외에 1차 투표에서 탈락한 [[에리히 루덴도르프]]는 전쟁영웅이라는 칭호가 무색하게 '''1.1%'''(...)를 받으며 바이에른 지역정당 후보에도 밀리며 광탈, 이후 사실상 정계를 은퇴했다. [[분류:독일의 선거]] [[분류:바이마르 공화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