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지진)] [include(틀:대한민국 주요 지진)] ||<-3> '''{{{#fff {{{+1 1906년 인천 해역 지진}}}}}}''' || || {{{#fff '''발생'''[br]^^(UTC+9)^^}}} ||<-2> 1906년 4월 6일 오후 1시 30분 || ||<|3> '''{{{#fff 진앙}}}''' ||<-2> 인천 인근 해역 || ||<-2>[include(틀:지도, 장소=37.7°N 126.20°E&zoom=8, 높이=240px)] || ||<-2> 37.7°N 126.20°E[*KIGAM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계기지진 자료][*C 중국지진네트워크센터 자료[[https://data.earthquake.cn/datashare/report.shtml?PAGEID=sjdzml|#]]] || || '''{{{#fff 진원의 깊이}}}''' ||<-2>- || || '''{{{#fff 규모}}}''' ||<-2>M,,s,, '''6.0'''[*C] / M,,L,, '''6.1'''[*KIGAM] || ||<|4> '''{{{#fff 진도}}}''' ||<-2> 감진 기준 최대진도 || || '''Ⅴ'''[* 기상청 역사지진 진도 산정 기준에 따르면 Ⅴ이다. 기상청 역사지진 기록에서는 가옥이 흔들렸거나 진동 방향이 서술된 지진의 최대진도를 Ⅴ로 추정하고 있다.] || 서울 || [목차] [clearfix] == 개요 == 1906년 인천 해역 지진은 1906년 4월 6일 오후 1시 30분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지진이다. 한국과 북한 그리고 중국에 남아있는 자료에 따르면 지진의 규모는 6.0 ~ 6.1로 추정된다. 지진이 발생한 당시에는 지진의 규모라는 개념이 없었기 때문에 사후에 연구자들이 관측기록 등을 분석하여 산출한 것으로 추정된다. 추가적으로 이 지진은 초기계기지진 시기에 발생한 국내 계기지진 중 규모 분석 자료가 있는 가장 오래된 지진이다. == 당시기록 == 몇 개의 짧은 기록 외에는 지진 기록을 확인하기 어렵다. >地震暫起 昨日下午一時三十分에 地震이 南方으로 起하야 北方에 止하얏는대 五六分間에 家屋이 喧動하얏더라 >지진잠기 작일하오일시삼십분에 지진이 남방으로 기하야 북방에 지하얏는대 오육분간에 가옥이 훤동하얏더라 >(현대어 해석): 지진이 잠깐 있었다. 어제 오후 1시 30분에 지진이 남쪽에서 시작하여 북쪽에서 끝났는데, 5~6분 동안 집들이 소란스럽게 움직였다. >---- >황성신문[[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3781635|#]] >지진(地震)이 일었다. >---- >고종실록 47권, 고종 43년 4월 6일 양력 1번째기사[[https://sillok.history.go.kr/id/kza_14304006_001|#]] >미시(未時)에 땅이 흔들렸다. >---- >승정원일기, 고종 43년 병오(1906) 3월 13일(경진, 양력 4월 6일) 맑음[[https://db.itkc.or.kr/dir/item?itemId=ST#dir/node?grpId=&itemId=ST&gubun=book&depth=5&cate1=&cate2=&dataGubun=%EC%B5%9C%EC%A2%85%EC%A0%95%EB%B3%B4&dataId=ITKC_ST_Z0_A43_03A_13A_00030|#]] == 둘러보기 == ||<-5>
{{{#ffffff '''별도의 문서가 존재하는 한반도 지진''' }}} || || [[1899년 대한제국 지진]] || {{{+1 → }}} || ''' [[1906년 인천 해역 지진]] ''' || {{{+1 → }}} || [[1921년 경주 지진]] || [include(틀:지진/20세기)] [[분류:지진/대한민국]][[분류:1906년/사건사고]][[분류:인천광역시의 사건사고]][[분류:서울특별시의 사건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