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In Rainbows)]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3234)] ||<#000><-2> '''{{{+1 {{{#F6EC5A 1}}}{{{#447EB8 5}}} {{{#F26635 S}}}{{{#3F9C4B t}}}{{{#EAB334 e}}}{{{#EB2730 p}}}}}}'''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bgsmr7t8zGE, width=100%, height=200)]}}} || || '''{{{#F6EC5A 앨범 발매일}}}''' ||[[2007년]] [[10월 10일]] || || '''{{{#447EB8 녹음일}}}''' ||[[2005년]] [[5월]] - [[2007년]] [[6월]] || || '''{{{#F26635 장르}}}''' ||[[아트 록]], [[일렉트로니카]] || || '''{{{#3F9C4B 러닝 타임}}}''' ||3:58 || || '''{{{#EAB334 프로듀서}}}''' ||나이젤 고드리치 || || '''{{{#EB2730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9em" [[In Rainbows|'''{{{#F6EC5A In }}} {{{#447EB8 Ra}}}{{{#F26635 in}}}{{{#3F9C4B b}}}{{{#EAB334 o}}}{{{#EB2730 w}}}{{{#A2DAEA s}}}''']]}}} || || '''{{{#A2DAEA 레이블}}}''' ||[[파일:1200px-XL_Recordings_Logo.svg.png|width=28]] [[XL 레코딩스]]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영국]]),, || [목차] [clearfix] == 개요 == ||<#000>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xpqk9MD6vLM, height=200)]}}} ||<#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kXl0F9oF92E, height=200)]}}} || || '''뮤직비디오'''[* 코타 토토리라는 일본 애니메이터가 만든 뮤직비디오로 AniBOOM에서 주최한 In Rainbows 애니메이션 콘테스트에서 당선된 작품이다.] || '''From the Basement 버전'''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C27eawLR_xs, height=200)]}}} ||<#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XgjWVIDN9rQ, height=200)]}}} || || '''2009년 레딩 페스티벌 라이브''' || '''2009년 그래미 어워드 라이브'''[* 그래미 어워드 역대급 무대로 자주 꼽힌다.] || 2007년 발표된 [[라디오헤드]]의 7집 [[In Rainbows]]의 첫 번째 트랙. == 상세 == 일렉트로닉 비트부터 따뜻한 기타 음색과 베이스가 있는 풀 밴드가 조화를 이루는 곡으로 [[In Rainbows]]의 [[일렉트로니카]]와 [[록]]의 조화라는 정체성을 보여주는 첫 트랙이다. 박자가 5/4인 아주 특이한 곡으로 피치스의 "Fuck the Pain Away"에서 영감을 얻은 손뼉 리듬이 특징이다. 순수하게 박수소릴 넣으려 했으나 부족함을 느껴 옥스포드에 있는 매트릭스 뮤직 스쿨 & 아트 센터의 아이들의 박수를 사용했다. [[그래미 어워드]]에서 USC 마칭 밴드와 함께한 공연은 일렉트로니카 특유의 가벼운 소리가 자칫 단점이 될 수도 있었지만, 전체적인 그루브를 아프로비트 위주로 바꾸고 '''드럼머신 루프를 백 밴드가 연주하도록 하는''' 기가 막힌 편곡 덕분에 그래미 어워드 역사상 최고의 공연 중 하나로 꼽힌다. ([[http://www.nme.com/news/radiohead/42627|#]]) == 가사 == ||<#000000> ---- '''{{{+2 {{{#F6EC5A 1}}}{{{#447EB8 5}}} {{{#F26635 S}}}{{{#3F9C4B t}}}{{{#EAB334 e}}}{{{#EB2730 p}}}}}}''' ---- How come I end up where I started? 어쩌다 출발했던 곳으로 돌아와 버렸지? How come I end up where I went wrong? 어쩌다 실수해버린 곳에 다다른 거지? Won't take my eyes off the ball again 다시는 집중을 늦추지 않을 거야 You reel me out, then you cut the string 넌 날 낚아 끌어내고는, 줄을 끊어 버리네 How come I end up where I started? 어쩌다 출발했던 곳으로 돌아와 버렸지? How come I end up where I went wrong? 어쩌다 실수해버린 곳에 다다른 거지? Won't take my eyes off the ball again 다시는 집중을 늦추지 않을 거야 First you reel me out and then you cut the string 처음엔 날 낚아 끌어내더니, 줄을 끊어 버리네 You used to be alright 넌 예전에 괜찮았는데 What happened? 무슨 일이 벌어진 거야? Did the cat get your tongue? 왜 말을 안 하는 거야? Did your string come undone? 끈이 다 풀려 버렸니? One by one 하나씩 One by one 하나씩 It comes to us all 우리에게 전부 찾아오네 It's as soft as your pillow 네 베개처럼 부드럽지 You used to be alright 넌 괜찮은 애였는데 What happened? 무슨 일이 벌어진 거야? Et cetera, et cetera 기타 등등, 기타 등등 Facts for whatever 무엇을 위한 진실이든 Fifteen steps, then a sheer drop 15개의 계단, 그리고 깎아지른 추락 How come I end up where I started? 어쩌다 출발했던 곳으로 돌아와 버렸지? How come I end up where I went wrong? 어쩌다 실수해버린 곳에 다다른 거지? Won't take my eyes off the ball again 다시는 집중을 늦추지 않을 거야 You reel me out, then you cut the string 넌 날 낚아 끌어내고는, 줄을 끊어 버리네 ---- [[라디오헤드|[[파일:Radiohead Cyan.png|height=30]]]]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In Rainbows, version=262)] [[분류:In Rainbows]][[분류:라디오헤드 노래]][[분류:아트 록]][[분류:일렉트로닉 뮤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