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1000 front-1.jpg|width=100%]]|| || B시리즈 - [[쇼토쿠 태자]] || ||[[파일:¥1000 front-2.jpg|width=100%]]|| || C시리즈 - [[이토 히로부미]] || ||[[파일:¥1000 front-3.jpg|width=100%]]|| || D시리즈 - [[나쓰메 소세키]] || ||[[파일:¥1000 front-4.jpg|width=100%]]|| || E시리즈 - [[노구치 히데요]] || ||[[파일:¥1000 front-5.png|width=100%]]|| || F시리즈 - [[기타자토 시바사부로]] || 千円紙幣(せんえんしへい, 센엔시헤에) 千円札(せんえんさつ, 센엔사츠), 千円券(せんえんけん, 센엔켄) [목차] == 개요 == [[일본]]의 [[일본 엔|지폐]]. [[10엔 주화|10엔 동전]], [[100엔 주화|100엔 동전]]과 함께 일상에서 쓰이는 권종 중의 하나이다. == 역사 == 1000엔이라는 권종이 쓰인지 70년을 훌쩍 넘긴 유서깊은 권종이다. 1950년부터 유통을 시작하였고 [[쇼토쿠 태자]]가 첫 모델이었다. 1963년부터 1984년까지 쓰였던 1000엔권은 모델이 이토 히로부미인게 한국에서는 문제가 되어서 말이 많았던 적이 있었다. 이후 나쓰메 소세키와 노구치 히데요를 거쳐 기타자토 시바사부로가 2024년부터 1000엔권의 얼굴 담당을 맡게 된다. == 쓰임새 == 한국으로 치면 [[만 원권|10000원 지폐]]의 역할을 하고 있는 셈. 일상에서는 아주 많은 곳에서 쓰이고 있는 중이다. 자판기, 식비, 교통비, 각종 생활비, 오락 및 엔터테인먼트 등 온갖 장소에서 아주 흔히 쓰이고 있는 권종이다. [[5000엔권 지폐|5000엔]]과 [[10000엔권 지폐|10000엔]]의 두 지폐 권종도 쓰이지만 액면가가 비싸고 고액권들이 되어놔서 일상에서 쉽게 쓰이기 힘드니 일본에서 대표적으로 쓰이고 있는 지폐라고 봐도 무방하다. [[분류:일본 엔]][[분류:1950년 출시]][[분류:쇼토쿠 태자]][[분류:이토 히로부미]][[분류:나쓰메 소세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