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1억 옥쇄(一億玉砕, いちおくぎょくさい)는 말 그대로 1억 명의 사람들이 [[옥쇄|옥처럼 부서진다]]는 뜻으로, 한국에서는 [[일억총옥쇄]]라고 부르기도 한다. [[나치 독일]]의 [[국민돌격대]]처럼 '''민간인 신분으로 대의도 없는 전쟁에 끌려나가 단지 [[천황]] 한 사람을 위해 개죽임 당하는 것'''이 '옥이 부서지듯' 아름다운 죽음일 턱이 없는데도, 사람들을 선동하기 위해 이러한 미사여구를 만들어내는 것을 통해 [[태평양 전쟁]] 말기의 [[일본 제국]]이 얼마나 미쳐 돌아갔는지를 여실히 보여 주는 예이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장기화되고, 미국과의 전쟁에서는 이미 패색이 짙었으며 급기야 일본의 두 도시인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전례없는 강력한 폭탄이 떨어지고]] 뒤이어 [[만주 전략 공세 작전|소련마저 전쟁에 참전]]하면서 전황은 돌이킬 수 없이 악화되었다. 이에 대해서 일본의 지도부는 어전회의에서 항복을 할 것인지 말 것인지를 결정하려고 하였으나 3:3으로 결론을 내지 못함으로서 성단(聖斷), 즉 [[천황]]의 결단을 따르게 되었는데, [[쇼와 덴노|히로히토]]는 이미 항복을 결심한 상태였고, 그에 대한 준비를 할 것을 지시한다. 그러나 반쯤 미쳐돌아간 일본군의 혈기왕성한 젊은 장교들은 이를 받아들이지 못했고, 아나미 육군대신의 지휘를 받아서 '1억 총옥쇄'를 내세우며 쿠데타 반란, 즉 [[궁성사건]]을 획책하였으나 15일 새벽에 아나미 육군대신이 자결하고 동부군 사령관의 반란군 진압명령으로 실패하고 말았다. 일본 지도부는 실제로 [[결호작전|본토결전을 준비하며]] 민간인들도 훈련시키기에 이르렀는데, 이들에게 쥐어준 무기라는 것이 [[죽창]]따위의 것들이다. 위에서 언급한 이들의 쿠데타가 성공하였다면 전쟁은 장기화되고 이런 황당하고 어처구니없는 '1억 총옥쇄'가 현실이 되었을지도 모를 일이다. == 실제로 1억이었는가? == 현재 일본의 인구는 2022년 기준 1억 2,558만 명으로 1억이 넘지만,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인구는 그렇지 않았다. 전쟁 말기인 1945년 일본 본토의 인구는 약 7,207만 명[* [[http://ko.wikipedia.org/wiki/일본의_인구#연령계층별_인구구성비]]]으로 1억에는 한참 못 미치는 인구였지만, 본토인 일본 외에도 식민지들을 포함한 인구들을 끌어모아서 1억 명을 넘겼다. 이들의 1939년 인구는 다음과 같다.[* [[https://en.m.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population_in_1939|#]]] * [[한반도]](1939년 기준) : 2,432만 명 * [[타이완 섬]](1939년 기준) : 658만 명 만주국을 비롯한 중국 점령지를 제외하면[* 만주국의 당시 추정 인구는 4300만이다.] 총합 식민지 인구는 약 3천만 명이다. 여기에 일본 본토의 인구를 더하면 1억에 달한다. --물론 이 인구들이 1억 옥쇄를 따를지는 또다른 문제지만-- 그런데 일본제국은 독립운동이 활발한 조선에 대해 극도의 불신감을 갖고 있었기에 사실 이러한 단순 계산법은 당시로서도 어려운 전황에서 나온, [[억지]]에 가까운 [[선전]]이었다고 할 수 있다. 애초에 일본은 복수국적을 인정하지도 않았고, 식민지 사람들에게 일본 국적을 부여하지도 않았다. 그러면서도 [[내선일체]], 즉 표면상으로는 한국인도 일본인과 동일한 [[황국신민]]이라고 주장했기 때문에, [[옥쇄]]를 실현한다면 가장 가까이 있는 한반도 사람들을 동원해서 우선적으로 [[총알받이]]로 썼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 [[아베 신조]]의 1억 총활약 발언 논란 == [[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아베 신조]](安倍晋三)는 2015년 9월 24일 일본인 한 명 한 명이 가정, 직장, 지역사회에서 활약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고 저출산 고령화 흐름 속에서 50년 후에 일본 인구 1억 명을 유지한다는 목표를 담은 '1억 총활약 사회'라는 구호를 발표하였는데, 아베 신조 본인이 가뜩이나 우경화 행보로 비판을 받고 있는 와중에 이 발언이 너무나도 당연히 제국주의 전시체제의 '1억 총옥쇄'를 연상시켜서 논란이 되었다. [[https://www.yna.co.kr/view/AKR20151003053200073|#]] 다만 일본에서는 굳이 국수주의 미화 의도가 아니더라도 '1억 총~'식의 조어법으로 '1억 총중류'(一億總中流)[* 일본 경제의 전성기였던 1970~80년대에 나왔던 표현으로 일본의 1억 인구 모두가 [[중산층]]이라는 뜻이다. 이 시기엔 일본인들의 90% 이상이 스스로를 중류(중산층)라고 생각했다.], '1억 총 샐러리맨화' 등의 말을 만들어내어 일본의 범국민적인 사회현상을 설명할 때 쓰인다. == 창작물에서 == * SBS 드라마 [[야인시대]]에서 [[미와 경부(야인시대)|미와 와사부로]](三輪和三郞) 경부는 일본 제국이 패망하고 조선이 해방되는 날 종로경찰서로 찾아오는 김두한에게 자신이 경찰에 투신한 이유를 말하고 [[자살|이제 그만 가야겠다며]] "존경합니다 천황 폐하. 이 미와 경부, 조국을 위해 '''옥쇄'''를 좇나이다.[* 방영시 한국어 자막에는 '옥쇄를 선택하였나이다'라고 나온다.] 마지막 충성을 받아주십시오. 천황폐하 만세!! 대일본제국 만세!! 천황폐하 만세!!!!([ruby(尊敬,ruby=そんけい)][ruby(致,ruby=いた)]します、[ruby(天皇,ruby=てんのう)][ruby(陛下,ruby=へいか)]。この[ruby(三輪,ruby=みわ)][ruby(警部,ruby=けいぶ)]、[ruby(祖国,ruby=そこく)]の[ruby(為,ruby=ため)]に[ruby(玉砕,ruby=ぎょくさい)]を[ruby(追,ruby=お)]ってあります。[ruby(最後,ruby=さいご)]の[ruby(忠誠,ruby=ちゅうせい)]をお[ruby(受,ruby=う)]け[ruby(取,ruby=と)]りください。)"와 같은 대사를 날리는데, 옥쇄를 좇는다는 말이 바로 이런 뜻으로 쓰인 것이다. * 일본 영화 [[일본의 가장 긴 하루]]에서는 일본 항복에 반대하며 [[결호작전|본토결전]]을 주장하는 소장파 장교들이 독일의 바르바로사 작전과 소련의 독소전 승리를 언급하며 "소련도 [[바르바로사 작전|독일의 기습을 받아]] 큰 피해를 입고 본토를 유린 당했음에도 항복하지 않고 국민 2,000만명을 희생해 국가와 민족의 자존심을 지켜 전쟁에서 이겼으니, 일본도 '''국민 2,000만명만 [[카미카제|특공]]시켜 희생하면''' [[연합국|적들]]을 몰아내고 전쟁에서 이길 수 있다."고 주장하며, 덴노의 옥음방송 녹음 테이프를 탈취하고 항복을 막기 위해 [[궁성사건]]을 일으킨다. 대강 봐도 알겠지만 '''완벽한 [[개소리]]'''다. 소련의 당시 총 인구는 '''약 2억'''이다.[* 게다가 옆에는 그 소련을 찍어누르는 [[중화민국|예나 지금이나 극강의 인구를 자랑하는 국가가 있었다.]]] 인구 10% 동원하자는 것과 인구 30% 동원하자는 것은 순 병력수의 규모와는 차원이 다른 문제다. 위에 적은 일본 인구에 당시 일본 인구는 약 60%가 15~64세다. 대략 계산해서 30% 징집한다는 것은 이 연령대 남성들을 한 명도 빠짐없이 전부 끌고 가겠다는 뜻이다. 하물며 소련도 전후에 [[청년]]과 [[장년]]층 남성 부족으로 산업을 비롯한 사회 곳곳에서 큰 어려움을 겪었고 지금도 러시아 노년층 세대는 극심한 [[여초]] 세대인데, 일본이 정말 15~64세 남성을 한 명도 빠짐없이 모두 [[전투병]]으로 투입해서 갈아넣었다면 [[군수물자]]의 생산과 [[수송]]을 비롯한 후방 지원은 사실상 포기한다는 소리라서 애초부터 말도 안 되는 소리인데다 설사 전쟁을 이기더라도 전후 산업 기반을 복구할 인력이 전혀 없어서 [[버틸 수가 없다]]. [[분류:태평양 전쟁]][[분류:천황제 파시즘]][[분류:쇼와 시대(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