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053형 호위함)] [include(틀:현대전/중국 함선)] [[파일:Type-053H3-Jiangwei-II-Jiaxing-521-a.jpg]] [목차] == 개요 ==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호위함]]. [[NATO 코드명]]은 장웨이 II급이다. == 제원 == ||<-3> '''{{{+1 {{{#ffff00 053H3형 호위함}}} }}} [br] {{{#FFFFFF 053H3型导弹护卫舰 }}}''' || |||| '''만재배수량''' ||2,393톤 || |||| '''길이''' ||112m || |||| '''폭''' ||12.4m || |||| '''흘수''' ||4.3m || |||| '''최고속도''' ||28노트 || |||| '''항속거리''' ||5,000해리 || |||| '''승무원''' ||168명 || ||<|2> '''동력''' || '''방식''' ||CODOD || || '''엔진''' ||18E390VA 디젤 엔진 2기 [br] MTU 디젤 엔진 2기 || |||| '''레이더''' ||360형 레이더 [br] 517H-1형 레이더 [br] 343GA형 레이더 || ||<|5> '''무장''' || '''함포''' ||[[79A식 100mm 2연장 함포]] 1문 || ||<|2> '''대공''' ||[[HQ-7|HQ-7NB]] 8연장 발사대 1기 || ||76A식 100mm 2연장 대공포 4문 || || '''대함''' ||[[YJ-83]] 대함 미사일 8발 || || '''대잠''' ||3200형 6연장 대잠로켓 발사기 2기 || |||| '''탑재 항공기''' ||[[Z-9|Z-9C]] 1기 || == 상세 == [[053H2G형 호위함]]에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이 불만족하면서 새로운 장비를 탑재한 후속 개량형인 053H3형의 개발이 진행되게 된다. 053H3형은 함체의 설계는 053H2G형과 동일한 설계를 유지했으며, 개량은 주로 탑재 장비에 집중되었다. 가장 큰 변경사항은 해군이 불만을 표시했던 대공 미사일을 HQ-61에서 HQ-7NB로 교체한 것이다. 대공 미사일의 교체로 즉시 발사가 가능한 미사일의 숫자가 8발로 증가하였으며, 가벼워진 무게와 작아진 크기 덕분에 해상에서의 정비와 재장전이 가능해져 10발의 예비 미사일을 함내에 수납하게 되었다. 대함 미사일은 053H2G형과 동일한 YJ-83 대함 미사일을 사용하나 탑재량이 6발에서 8발로 증가하였다. == 평가 == 053H3형은 본격적인 대함 미사일의 방어가 가능해졌으며, 중국 내에서 공급이 가능한 장비들로 구성되어 [[052B형 구축함]]이나 [[052C형 구축함]]의 절반도 안되는 비용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했다. 중국은 90년대 053H3형의 건조에 집중하여 호위함 세력의 질과 양을 향상시켰고, 이는 2000년대 이후 중국 해군이 대양해군으로 진출할 기반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 수출 == === 파키스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줄피카르급 호위함)] === 알제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드하페르급 호위함)] === 방글라데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우마르 파루크급 호위함)]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053H2G형 호위함, version=72)] [[분류:053형 호위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