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뺄셈, rd1=뺄셈, other2=한글 맞춤법상의 문장부호, rd2=붙임표)] [목차] == 개요 == U+002D. 명칭은 하이픈 마이너스''{{{-2 Hyphen-Minus}}}''이며, [[아스키 코드]]상에서 후술할 온갖 가로줄 모양 하나로 합친 문자이다. == 명칭 == 대한민국에선 흔히 '다시'라는 명칭으로 불린다. 어원은 비슷한 모양의 [[줄표|대시(dash)]]를 음차한 것으로, 외래어 표기법으로는 '대시'이며 '붙임표'와 '줄표' 등으로 나뉜다. 버스 번호나 주소, 건물번호 등을 읽을 때도 다시라고 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200-8은 '이백 다시 팔'[* 도로명 주소는 200-8을 '이백'''의''' 팔 '''번''''으로 읽는 것이 올바르다.]처럼 읽는 경우가 있다. [[대한민국 해군]]에서는 [[포네틱 코드]]에 따라 이 부호를 ‘테크’라고 읽는다. 군번을 읽을 때 00-00000를 00 '테크' 00000으로 읽는 식. 현대 일본에서는 '대시'로 부르지 않고 하이픈으로 읽는다. == 종류 및 [[닮은꼴 문자]] == -(U+002D, 하이픈 마이너스''{{{-2 Hyphen-Minus}}}'')에는 유니코드 기준으로 아래와 같은 [[닮은꼴 문자]]들이 있다. * -(U+002D, 하이픈 마이너스''{{{-2 Hyphen-Minus}}}''): 가장 보편적인 대시. 대부분의 키보드에서 0 오른쪽의 키는 이 -이다. 입력하기가 제일 간편하기 때문에 아래의 것들을 모두 이것으로 써버리는 경우도 많다. * -(U+FF0D, [[전각]] 하이픈 마이너스''{{{-2 Fullwidth Hyphen-Minus}}}'') * ­(U+00AD, [[Soft Hyphen|소프트 하이픈]]''{{{-2 Soft Hyphen}}}''): 긴 단어의 사이에 넣으면 줄바꿈 시에만 나타나는 하이픈.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 ‐(U+2010, 하이픈''{{{-2 Hyphen}}}''):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이픈. 키보드상에서 입력하기 쉬운 -(U+002D, 하이픈 마이너스''{{{-2 Hyphen-Minus}}}'')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다. * –(U+2013, 엔 대시''{{{-2 En Dash}}}''): 숫자의 범위나 기간, 경기 결과 등을 표기할 때 사용한다. * —(U+2014, 엠 대시''{{{-2 Em Dash}}}''): [[줄표]]라고 부르는 그것이다. * ―(U+2015, 수평 줄''{{{-2 Horizontal Bar}}}''): 다른 이름은 인용 대시''{{{-2 Quotation Dash}}}''. 대사 앞 부분에 쓴다. * ー(U+30FC, 가타카나·히라가나 장음 기호''{{{-2 Katakana-Hiragana Prolonged Sound Mark}}}''): 일본어 장음 기호 ー. 일본어 IME 상태에서 -(U+002D, 하이픈 마이너스''{{{-2 Hyphen-Minus}}}'')키를 누르면 ー가 뜬다. * ー(U+FF70, [[반각]] 가타카나·히라가나 장음 기호''{{{-2 Halfwidth Katakana-Hiragana Prolonged Sound Mark}}}''): 일본어 장음기호 ー의 [[반각 가타카나]] 버전이다. 반각 가타카나도 잘 안 쓰는 마당에 장음의 반각 버전도 잘 쓸 리가 없다. * −(U+2212, 마이너스 사인''{{{-2 Minus Sign}}}''): [[뺄셈]] 기호. -(U+002D, 하이픈 마이너스''{{{-2 Hyphen-Minus}}}'')로 쓰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일본 주소]]에서는 대시를 이 기호로 쓸 때가 많다. * ➖(U+2796, 헤비 마이너스 사인''{{{-2 Heavy Minus Sign}}}'') * ㇐(U+31D0, 한중일 스트로크 에이치''{{{-2 CJK Stroke H}}}''): 한자의 가로획을 나타낸다. * [[一]](U+4E00): [[한자]] 한 일(一)이다. 한자는 원래 유니코드 개별 이름이 없다. * ⼀(U+2F00, 강희 부수 1''{{{-2 Kangxi Radical One}}}''): 한 일(一)의 [[강희자전]] [[부수]] 버전.[* 애초에 유니코드를 부수를 따로 만든다고 해도 모양새가 비슷한것도 아니라 야예 굵기 길이 모든게 똑같아서 뭐가 뭔지 구분이 안 간다.] * [[ㅡ]]((U+3161, 한글 문자 으''{{{-2 Hangul Letter Eu}}}''): 한글 ‘으’이다. * ㄧ(U+3127, 보포모포 문자 이''{{{-2 Bopomofo Letter I}}}''): [[주음부호]] ‘i’를 나타내는 문자이다. [[가로쓰기]]로 쓸 때에는 I 모양으로 세워진다는 특징이 있으나 무시하고 ㄧ로 통일해서 쓰는 경우가 많다. 초창기의 타자기와 컴퓨터는 고정폭 글꼴을 썼기 때문에 딱히 하이픈과 빼기 기호, 엔 대시의 구분이 필요하지 않았고, 그래서 ASCII에서는 그 셋을 따로 구분하지 않았다. 하지만 조판과 그래픽 디자인에서는 하이픈, 엔 대시, 빼기 기호가 별도의 문자로 존재하며, 실제로 유니코드에도 하이픈(‐ U+2010 Hyphen), 엔 대시(– U+2013 En Dash), 빼기 기호(− U+2212 Minus Sign) 셋이 따로 배당돼 있다. 그러므로 현재는 원칙적으로 이 기호를 써서는 안 된다. 이 기호를 쓰는 것은 -을 ㅡ(한글 자모, eu)로 바꾸는 거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하이픈 마이너스는 현재도 널리 쓰이는데, 이는 알다시피 키보드로 입력하기 간편하고, 대부분의 문자 코드에서 똑같은 위치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일부 글꼴의 경우 하이픈이나 엔 대시가 글꼴 목록에 없는 경우도 있다.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는 ASCII 문자만 쓰기 때문에, 뺄셈과 음수를 나타낼 때 −을 사용하지 않고 하이픈 마이너스를 사용한다. 마이크로소프트 워드에서는 푸 바''{{{-2 Foo - Bar}}}''와 같이 단어 + 공백 + 하이픈 마이너스 + 공백 + 단어를 쓸 경우, 중간의 하이픈 마이너스를 자동으로 엔 대시''{{{-2 En Dash}}}''로 바꿔 준다(즉 foo – bar). 푸 바와 같이 단어 + 하이픈 마이너스 두 개 + 단어를 쓸 경우, 중간의 하이픈 마이너스 두 개를 자동으로 엠 대시''{{{-2 Em Dash}}}''(—, U+2014)로 바꿔 준다(즉 foo—bar). 서양 언어권에서 만들어진 대부분의 글꼴은 이 하이픈 마이너스를 하이픈과 똑같이 디자인한다. 서양 언어권에서 하이픈이 문장 중에 꽤 많이 쓰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와 ‘-’에 서양 언어권에서 만들어진 글꼴을 적용한 뒤 높이를 비교해 보면, +는 가운데에 위치하지만 -는 조금 아래쪽(정확히는 엑스 하이트''{{{-2 X-Height}}}''의 가운데쯤)에 위치하고 길이도 짧다. 일본어 표기를 할때 원어에 하이픈이 있다면 장음기호와 헷갈릴 수 있기 때문에 보통 =[* =은 아니다. =(일반적 의미)는 반각 =(하이픈 대체)는 전각.]로 대체된다. 예) Joseph Louis Gay-Lussac → [[조제프 루이 게이뤼삭|ジョセフ・ルイ・ゲイ'''='''リュサック]]. 많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마이너스 기호로 쓰이고 있지만, 엄밀히 하이픈의 역할도 있기 때문에 [[통합 개발 환경]]이 아닌 곳에서 편집한다면 마이너스 위치에서 코드가 개행될 수도 있다. == 용도 == * 주로 '[[N/A|내용 없음]]'을 표시할 때 사용하기도 한다. * 이 글자는 하이픈(Hyphen)이나 [[빼기]] 기호로 쓰일 수 있으며, 간혹 엔 대시(En Dash)로도 쓰일 수 있다. * 원래 용법은 유럽 언어에서 합성어를 만들 때 가독성을 위해 사이에 넣던 것이다. 예를 들어, ‘allinone’이나 ‘socalled’처럼 붙여 쓰지 않고 ‘all-in-one’, ‘so-called’로 쓰면 읽기가 한결 수월하다. 이는 한글 맞춤법에서 어원을 정확하게 보여주기 위해 초성 자리에 넣는 무음가 ‘[[ㅇ]]’과 그 용법이 흡사하다.[* /싸랄/로 발음되는 단어의 두 번째 음절 초성 ‘ㄹ’과 중성 ‘ㅏ’ 사이에 ‘ㅇ’을 넣어 ‘쌀알’로 적음으로써 이 말이〈쌀+알〉로 이루어졌음을 보이는 것. 이를 로마자로 구현하면 ‘ssaral’을 ‘ssar-al’로 끊어 적는 셈이다.] 혹은 말을 빠르게 속사포처럼 연이어서 한다는 묘사를 나타내기 위해 문학적인 장치로 활용할 때도 있다. 예를 들어 "I-don't-want-to-do-it."이라는 문장이 있으면, 이는 'I, don't, want...'처럼 단어 하나하나를 끊어서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Idontwanttodoit'처럼 단숨에 붙여읽는다는 뜻이다.[* [[해리 포터 시리즈]]에서 해당 묘사를 특히 즐겨 사용했는데, 20주년 개정판이 나오기 전까지는 이 부분이 제대로 번역되지 않아 한국 독자들이 혼란스러워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이픈을 곧이곧대로 한국어 번역문에서도 그대로 썼는데, 이로 인해 한국 독자들이 해당 대사를 장음이나 쉼표처럼 받아들인 것이다.] * 형용사구에 이런저런 수식표현이 덧붙여져 길어질 경우, 어디까지가 형용사구인지를 명확하게 표시해주기 위해 하이픈을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able-bodied youth라든지, [[목이 달랑달랑한 닉|Nearly-Headless Nick]]이라든지, ice-cream-flavored candy라든지. 한국식 영어교육에서는 형용사구 형태가 되기 전(예: with an able body)과 형용사구로 바뀌었을 경우(able-bodied) 품사 구성이 달라질 때 하이픈이 붙는다고 가르치는 경우도 있었으나, 사실 품사 구성이 그대로 유지되어도 하이픈을 붙이는 경우는 워낙 많기 때문에 큰 의미는 없다. 단, 20세기 말부터는 이를 거추장스럽다고 느껴서인지 굳이 하이픈을 넣지 않는 경우도 많다. * 줄을 바꾸면서 쪼개지는 단어가 생길 경우, 원래 한 단어였음을 알리기 위한 용도로 하이픈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때 어디에서 단어를 끊고 하이픈을 삽입하느냐는 영어의 전통적인 [[음절]] 구분을 따른다. 예컨대, 아래 예문에서는 representative라는 단어를 음절로 쪼개면 rep·re·sen·ta·tive가 되는데, 이를 감안해 셋째 음절인 sen뒤에 하이픈을 넣어서 줄바꿈된 단어가 한 단어로 서로 이어짐을 나타내고 있다. > We, therefore, the represen- > tatives of the United States > of America ... * 주로 영국 영어에서 수를 발음대로 쓸 때도 사용한다. ‘65 grams’를 ‘sixty-five grammes’라고 쓰는 식. 가지번호, 부번호를 붙일 때에도 본번호와 구분하기 위해 쓴다. 3-1, 3-2, 3-3 등의 예가 있다. 전화번호에서도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용도로 쓰인다.[* 단, [[중국]]에서는 그런 거 없이 한 줄로 숫자만 죽 쓰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13811234567. 이 중 앞의 4자리는 통신사가 정해지면 고정되며, 1381 말고도 통신사에 따라 다양한 번호 조합이 있다.] * [[프랑스어|불어]]에서는 대명사의 도치가 일어날 때 하이픈을 쓴다. 예를 들면 Qui êtes-vous?(당신은 누구십니까/너희들은 누구니)라든지. [[EVE 온라인|이브 온라인]]에서 널섹성계의 이름이 yk-a76 이런식으로 지어지는데 이쪽에선 하이픈 보다는 ‘텍’으로 부르는 편이다.[* 위에서 나온 하이픈의 읽기 방법 중 하나인 ‘테크’를 발음하기 쉽도록 빨리 발음한 것이다.]〈와이케이텍에이세븐식스〉이런식으로 말이다. 이렇게 다 부르기보단 ‘와이케이텍’처럼 앞의 몇글자만 부르는게 대부분이다. === 하이픈 === [[영어]]에는 이 붙임표와 유사한 기호로 [[하이픈]]과 엔 대시(en dash) 2종류가 있는데, 둘의 쓰임이 다르다. 이 둘의 용법은 [[줄표]] 항목에 있는 엠 대시(em dash)와도 또 다르다. 하이픈은 [[forget-me-not]]처럼 띄어쓰기를 안 할 때, 엔 대시는 범위를 나타내거나 관련 있는 두 대상을 묶어서 표현할 때 쓰인다. 특히 범위를 나타낼 때 영어에선 물결표를 절대 쓰지 않기 때문에 한국인이 자주 틀리는 문장부호 중 하나.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붙임표는 엔 대시로, 차례대로 이어지는 내용을 하나로 묶어 열거할 때 각 어구 사이에, 또는 두 개 이상의 어구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나타내고자 할 때 쓴다. 프랑스어에서는 '트레 뒤니옹(trait d'union)'이라고 한다. * [[독일어]]의 합성명사 표기 * [[영남대학교]]: Yeungnam-Universität * [[나치 독일]]: Nazi-Deutschland * [[프리츠 발터 슈타디온]]: Fritz-Walter-Stadion 일반적으로 독일어의 합성 명사는 모두 붙여 써야 하지만, '''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합성명사에 한해 하이픈이 쓰인다. * [[로마자]]로 표기하는 언어나 [[키릴 문자]]로 표기하는 언어로 작성된 문서의 경우, [[Soft Hyphen|한 문단의 길이가 길어질 때, 다소 긴 단어를 줄 바꿔서 써야 할 경우, 줄 바꾸기 전의 단어 중간에 사용되기도 한다]]. 참고로 마음대로 끊는 게 아니라 대개는 [[음절]] 단위로 끊도록 권장된다. 예를 들면 computer는 comp-uter로 끊으면 안 되고 com-puter 식으로 끊는 것이 보통이다. 대한민국 [[국립국어원]]에서는 하이픈이 들어간 단어나 인명을 외래어로 수용할 때 무시하고 붙여쓰도록 정해놓았다.(예: Schleswig-Holstein→[[슐레스비히홀슈타인]], Julia Louis-Dreyfus→[[줄리아 루이드라이퍼스]]) 오히려 하이픈을 그대로 표기하면 잘못된 외래어 표기로 간주된다. 특히, 이런 실수는 아마추어 번역가들에게서 자주 드러난다.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 등의 중세를 배경으로 한 작품의 아마추어 번역[*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두 가지 한글패치인 엘더7판, 말미르판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실수이다.]이 대표적이다. [[스크리블너츠]] 언리미티드의 스테이지 Hyphen Heights 이름의 유래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붙임표, version=62)] ==== Non-Breaking ==== [[NBSP]]와 같이 하이픈 양족에서 줄바꿈을 하고 싶지 않을 때 사용된다. === 붙임표 === 국어 문법을 다룰 때 특정 형태소가 의존 형태소임을 나타내는 기호이기도 하다. 이 경우 ‘[[붙임표]]’라고 한다. 즉 “먹었다”의 경우 “먹- + -었- + -다”와 같이 분석하여 나타낸다. 단 [[조사(품사)|조사]]는 의존 [[형태소]]임에도 그 자체로 앞 체언과 분리성이 강한 단어로 보아 붙임표를 쓰지 않는다.[* 학교 문법상으로는 그러하나 논문에 따라서는 조사에도 붙임표를 붙이는 경우가 있다.] “나는 밥을 먹었다.”의 경우 “나 + 는 밥 + 을 먹- + -었- + -다”로 분석된다. 한국의 [[네티즌|누리꾼]]들은 단어사이에 넣어서 장음표시로 쓰는 듯하다. 주로 뭔가를 비꼴 때 쓰기도 한다. [[노력충|노-력]]이라든가 [[의지드립|의-지]]라든가. 이는 [[일본어]] 가타카나 표기에서 장음(ー)을 사용하는 것을 수입한 것이다. 굳이 표기하자면 장음 부호(ː)를 쓰는데([[장음 표기]]와 [[붙임표]]) 이는 음성학적인 기호로 일상적으로는 전혀 쓰이지 않는다. 이는 [[복고]]나 [[북한]] 분위기를 내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예: 늬우-스) 영미권의 하이픈이 들어간 단어나 인명을 그대로 표기하여 번역하는 경우를 흉내내어 이국적인 느낌으로 연출하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예: [[껍질-미리깐 달걀]]) -는 [[메이플스토리 갤러리]]에서 유래된 밈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빅토르(리그 오브 레전드)|-빅-]]으로 표현하는 식이다. 자세한 내용은 [[가성비 댓글]] 문서 참조. == 나무위키에서 == [[나무위키]]에서 - 두 개를 글자 양쪽에 넣으면(\--글자\--) [[취소선]]이 된다.(--글자--) [[물결표|~]]를 두 개 써도(\~~글자~~) 취소선이 된다. 한 문단 내에서 여러 개의 취소선을 쓸 때에 문법을 잘못 넣으면 취소선 사이의 문장에 취소선이 들어갈 때가 있기에 이 둘을 혼용하는 경우가 많다. -를 4~9개 쓰면(\----\) 아래와 같은 수평줄이 만들어진다. ---- == 여담 == 나무위키 문서 중 주소상으로는 아스키 코드로 1번째다. [[Siri|시리]] 받아쓰기로 하이픈을 일정 개수 이상 말해서 치면 '[[iOS 괴문자 버그]]'가 발생한다. [[iOS 12|iOS 12.2]]이후 에는 증상이 없어졌다. 문서를 (PDF 등으로) 확장자 변환하는 과정에서 깨짐이 자주 발생하는 문자 가운데 하나다. 예를 들면 모양이 비슷한 '''┐'''으로 변환되어 저장되는 경우가 있다. 일부 엘리베이터는 고장 등으로 이용 중지 상태일 경우 화면에 이 특수문자가 표시되기도 한다. CGV는 영화 부제목을 쓸 때 -를 사용하지만 메가박스나 롯데시네마는 쌍점을 사용한다. [[분류:특수 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