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著}}}나타날 저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艸|{{{#000,#fff 艸}}}]], 9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3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A [[者]](놈 자) 부분에서 [[日]](날 일) 오른쪽 위에 있는 점 하나가 없다.]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チョ, {{{#c88 ジャク, チャク}}}}}}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あらわ-す, いちじる-しい, {{{#c88 き-る, つ-く}}}}}}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A]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zhù, zhuó{{{#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著는 ''''나타날 저''''라는 [[한자]]로, '나타나다'를 뜻한다. == 자원 == [[유니코드]]에는 U+8457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TJKA(廿十大日)로 입력한다. [[艹]](초두머리) 밑에 [[者]](사람 자)가 있는 자형인데, 원래는 [[竹]](대 죽) 밑에 [[者]](사람 자)가 있는 형태로 [[箸]](젓가락 저)와 같은 글자이다. 후한의 허신은 설문해자에서 著를 箸로(물론 설문해자니 [[해서]]가 아니라 [[소전]]으로) 썼는데, 이 당시 이미 [[예서]]로는 著, 더 나아가 [[着]](붙을 착)의 자형까지 이미 생겨나 있었다. 著가 왜 着이 됐는지는 [[着]] 문서에 설명되어 있다. 그래서 원래는 着과 동자인데, 관습적으로 '나타날 저'라는 훈음으로는 著를, '붙을 착'이라는 훈음으로는 着을 써서 서로 다른 글자처럼 쓴다. 중국과 일본도 마찬가지. == 용례 == === [[단어]] === * 명저([[名]]著) * 숙저([[夙]]著) * 저명(著[[明]]) * [[저명성]](著[[明]][[性]]) * [[저자]](著[[者]]) * [[저자권]](著[[者]][[權]]) * 저작(著[[作]]) * 공동저작([[共]][[同]]著[[作]]) * [[공동저작물]]([[共]][[同]]著[[作]][[物]]) * [[저작권]](著[[作]][[權]]) * [[저작권법]](著[[作]][[權]][[法]]) * 저작물(著[[作]][[物]]) * [[공동저작물]]([[共]][[同]]著[[作]][[物]]) * [[결합저작물]]([[結]][[合]]著[[作]][[物]]) * 현저([[顯]]著) === [[인명]] === * [[류인저]]([[柳]][[仁]]著) * [[샤가 아야메]](著[[莪]] あやめ) * [[저고여]](著[[古]][[與]]) == 유의자 == * [[彰]](드러날 창) * [[現]](나타날 현) * [[顯]](나타날 현)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奢]](사치할 사) * [[暑]](더울 서) * [[署]](마을 서) * [[箸]](젓가락 저) [[분류:준3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일본의 상용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