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寧}}}편안 녕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宀|{{{#000,#fff 宀}}}]], 11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4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ネイ{{{#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いずく-んぞ, なん-ぞ, ねんご-ろ,[br]むし-ろ, やす-い}}}}}}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níng, nì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寧은 ''''편안 녕''''이라는 [[한자]]로, '편안하다', '문안하다', '친정에 가다', '차라리' 등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편안하다 || || {{{-1 '''음'''}}} ||녕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níng, nìng[* 寧可 등에서, 중국 대륙에서만] || || {{{-1 '''[[광동어]]'''}}} ||ning^^4^^ || || {{{-1 '''[[객가어]]'''}}} ||nèn || || {{{-1 '''[[민북어]]'''}}} ||nǎing || || {{{-1 '''[[민동어]]'''}}} ||nìng || || {{{-1 '''[[민남어]]'''}}} ||lêng || || {{{-1 '''[[오어]]'''}}} ||nyin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ネイ || || {{{-1 '''훈독'''}}} ||{{{#c88 いずく-んぞ, なん-ぞ, ねんご-ろ,[br]むし-ろ, やす-い}}} || ||<-3> || ||<-2> '''[[베트남어]]''' ||ninh || [[유니코드]]에는 U+5BE7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JPBN(十心月弓)으로 입력한다. 이 글자는 원래 [[갑골문]]상에서는 집을 나타내는 [[宀]](갓머리), 그릇을 나타내는 [[皿]](그릇 명), 그리고 [[丂]](공교할 교)[* [[丁]](고무래 정)이 아니다. 丁의 갑골문은 지금이랑 형태가 완전히 달랐다.]가 합쳐진 [[회의자]]였다. 음식물이 그릇에 수북이 담겨 있어 안심하고 살 수 있음을 뜻했다고 한다. [[금문]]에 와서는 가운데에 [[心]](마음 심)이 추가된 형태가 나타나고, [[예서]] 이후로 丂 자가 丁 자의 형태가 되면서 지금의 형태를 띄게 되었다. [[이체자]]로는 寕, 寍, 寗, 甯 등이 있다. 사실 원래 寧(및 寕, 寍 등)과 甯(및 寗 등)은 별개의 글자로, 전자는 [[사성|평성]]으로 읽어 '편안하다', '강녕하다'와 같은 뜻을 가졌고, 후자는 [[사성|거성]]으로 읽어 '차라리', '어찌'와 같은 뜻을 가졌다. 그러나 이후 이 둘 간에 혼동이 있어 결국 현대에는 같은 글자나 다름없는 것으로 취급한다. 이러한 연유로 이 글자는 중화권에서 다음자이나, 대부분의 방언에서는 거성 발음이 평성 쪽으로 합쳐졌다. 또한 중국 대륙에서는 寧의 간체자로 宁의 자형을 쓰는데[* 초서체 자형을 해서화한 것이다.], 이 글자는 원래 宁(뜰 저) 라는 별개의 한자이다[* 그러나 貯, 佇 등의 고자(古字)로, 현대에는 인명 등 고유명사 외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그래서 혼동을 피하기 위해 원래의 宁 자는 간체자로 㝉라고 쓴다. 뒤에 오면 원음대로 '녕', 앞에 오면 두음법칙이 적용되어 '영'으로 읽힌다. 그러나 뒤에 올 때 [[활음조 현상]]이 일어나 '령'으로 읽히기도 한다. 이 때문에 본디 없었던 '령'이 음에 더해졌다. 다만 사람 이름에서는 '''녕'''과 '''영'''만 쓸 수 있다.[* [[한자/인명용 한자표]] 문서 참조.] 중국 [[난징시]]의 별칭이기도 하다. 중국의 국민정부 시대에 일어난 사건인 [[영한합작]]의 영이 바로 난징을 말하고 한(漢)은 [[우한시]]의 약칭이다. 중국에서는 일부 지명의 약칭으로도 쓰인다. 대표적인 예가 [[난닝]]과 [[닝샤]], 그리고 [[닝보]]. 중국에는 寧씨 성과 寗씨 성이 존재하는데, 원래는 寧과 寗 모두 宁으로 간화해야 하지만, 인명에 한해서는 寧씨는 宁씨라고 쓰고, 寗씨는 甯씨라고 써서 구별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수교법이나 천간법 항렬을 쓰는 집안에서 항렬자로 많이 쓴다. 대표적으로 안동 권씨 34세손 권영○ 항렬. == 용례 == === [[단어]] === * 강녕(康寧): 몸이 건강하고 마음이 편안함. 오복의 하나로 '건강'을 이른다.[* [[정도전]]이 이 뜻에 의거하여 [[경복궁]] 내전 건물의 이름을 '[[경복궁 강녕전|강녕전]]'이라 지었다.] * 개령민란(開寧民亂): 조선 [[철종(조선)|철종]] 13년에 [[경상도]] [[개령]]에서 현감 김후근의 폭정에 항거하여 일어난 민중 봉기. 민폐를 없애라는 격문을 돌리며 백성을 선동하던 김규진의 구금을 계기로, 수천의 백성이 군청에 쳐들어가 이방 등을 죽이고 문서를 불사르는 등 꽤나 격했던 봉기이다. * 곤녕지곡(坤寧之曲): 조선 [[순조]] 28년에 [[창경궁 자경전|자경전]]에서 왕세자가 두 번째 술잔을 드릴 때 연주했던 반주 음악. * 귀녕(歸寧): 시집간 딸이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 [[근친#s-2]](覲親)이라고도 한다. * 단녕(單寧): [[타닌]]의 음역어. [[타닌|타닌산]]은 '단녕산'이라고 이른다. * 돈령(敦寧): 조선 시대 왕실의 친척을 이르던 말. 원말은 '돈녕'. 관련하여서 왕실 친척들의 [[친목]]을 맡아보던 '돈령부([[조선]])', '돈령원([[대한제국]])', '돈령사([[대한제국]])' 등이 있었다. * 동녕부(東寧府): 고려 [[원종(고려)|원종]] 11년에 [[원나라]]가 [[평안도]] 지방에 설치한 통치 기관. [[충렬왕]] 16년에 없어진다. 정확히는 [[충렬왕]] 원년에 '동녕로총관부(東寧路摠管府)'로 승격되었던 것을 없앤 것. * 무령지곡(武寧之曲): [[대취타]]의 다른 말. * 미령(靡寧): '미령하다'의 어근으로, 어른의 몸이 병으로 인하여 편하지 못함을 말한다.[* [[주요섭]]의 <미완성>이나 [[박완서]]의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에서 옛글 투로 종종 보인다.] * 승녕부(承寧府): 조선 시대와 대한 제국 때, 각각 [[이성계|태조]]와 [[고종(대한제국)|고종]]이 선위하면서 그에 대한 공봉과 그 밖의 사무를 맡아보던 관아. * '''[[안녕]](安寧)''' * 안녕교(安寧校): 인쇄물의 마지막 교정. --지긋지긋한 교정을 향한 마지막 안녕이란 뜻에서...-- * 안녕질서(安寧秩序): 사회의 모든 질서가 바로잡히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이 안전한 상태. * 영가(寧暇): 편안한 겨를. * 영거(寧居): 안심하고 편안히 산다는 뜻. * 영국공신(寧國功臣): 조선 [[인조]] 22년에 '심기원의 옥'에 공을 세운 7인의 공신에게 내린 훈명. 구인후, 김유 등에게 내려졌다. * 영밀(寧謐): '영밀하다'의 어근으로, 편안하고 조용함을 뜻한다. * 영변가(寧邊歌): [[평안북도]] [[영변군|영변]] 지방의 대표적인 민요. 조선 후기에 평안도 행정부를 [[의주부]]로 옮기는 데 섭섭했던 주민들이 지어 불렀다고 한다. * 영사공신(寧社功臣): 조선 [[인조]] 6년에 유효립의 역모를 고한 11명에게 내린 훈명. [[허적]] 등이 대표적이다. * 영사언정(寧死--): 차라리 죽을지언정. * 영세(寧歲): 풍년. * 영식(寧息): 편안히 쉬는 것. * 영실(寧失): 죄가 불확실한 경우에, 죄에 합당한 형벌을 부과하지 못하더라도 지나치게 처벌하지 아니하는 것을 말한다. * 영안지악(寧安之樂): 고려 시대에 [[사직]]의 송신례(제사가 끝나고 신을 보내는 예)에 연주하던 음악. * 영원장군(寧遠將軍): 고려 시대에 둔 정오품 하 무관의 품계. [[성종(고려)|성종]] 14년에 정하였다. * 영일(寧日): 일이 없이 평화로운 날. * 영은(寧殷): '영은하다'의 어근으로, 편안하고 풍성함을 뜻한다. * 영정(寧靜): 평안하고 고요함. * 영찰(寧察): 조선 후기에 쓰이던 말로, [[평안북도]] [[관찰사]]를 이른다. [[영변군|영변]]에 처소를 둔 데에서 유래했다고. * 영폐탕(寧肺湯): 호흡기 질병에 쓰는 탕약. 몸이 여위고 미열이 있으며 숨이 차고 마른기침을 할 때 쓴다고 한다. * 옥도미령(玉度靡寧): 임금의 건강이 나쁨. * 정녕(丁寧): 부사로 쓰일 때는 '조금도 틀림없이 꼭', 명사로 쓰일 때는 '대하는 태도가 친절함'('정녕하다'의 어근). 또는 '전시에 쳐서 군사들의 경계를 단속하던 [[징#s-1|징]]과 비슷한 악기'를 일컫는다. * 조녕(粗寧): 별다른 탈이 없이 대체로 편안함. * 집녕(輯寧): <[[종묘제례악|보태평]]> 열한 곡 중 다섯번째 곡. * 창녕절(昌寧節): [[숙종(고려)|고려 숙종]] 때 제정된 [[예종(고려)|태자]]의 탄생 기념일. * 청녕지곡(淸寧之曲): 고려 시대 태묘([[종묘]]의 정전)의 초헌례(종묘 제향 때에 첫 번째 잔을 올리던 의식)에 연주하던 곡으로, 청녕장(淸寧章)이라고도 한다. * 필녕(弼寧): 보필하여 편하게 함. * 함녕절(咸寧節): 고려 [[숙종(고려)|숙종]], [[예종(고려)|예종]], [[원종(고려)|원종]] 때 임금의 생일을 기념하던 날. * 함녕지곡(咸寧之曲): '삼현 도드리'(현악 [[영산회상]]의 다섯째 곡)의 다른 이름. * 회령개시(會寧開市): 조선 [[인조]] 때부터 [[청나라]]의 강요로 시작되어 [[함경도]] [[회령]]에서 [[청나라]]와 교역하던 시장.[* 처음엔 두 나라 관헌의 감시 아래 공무역을 하도록 하였지만, 나중엔 밀무역이 성행했다고...] * 휴녕(休寧): 걱정 없이 마음을 편히 가짐. === [[고사성어]] === * 다사식녕(多士寔寧): 재주 있는 선비가 조정에 많으니 국가가 태평함. * 수복강녕(壽福康寧): 오래 살고 복을 누리며 건강하고 평안함. * 영위계구물위우후(寧爲鷄口勿爲牛後): 닭의 입이 될지언정 소의 꼬리는 되지 말라.[* 큰 인물을 추종하는 것보다는 작은 집단의 우두머리가 되는 것이 낫다는 말. [[사기(역사책)|사기]]에 등장한다.] === [[식물]] === * 석제녕(石薺寧): 들깨풀.[* 씨의 기름을 방수지나 식용유, 등화유로 이용하는 한해살이풀.] * 영변뽕(寧邊―): [[영변군|평안북도 영변]] 일대에 흩어진 재래종 가운데서 추려 낸 [[뽕나무]]. [[오디]]가 많이 달려 종자를 받는 나무로 쓰인다. 두음법칙이 적용되지 않는 북한식 표기로는 '녕변뽕'. * 회령바늘꽃(會寧―): [[백두산]], [[회령군|함경북도 회령]], [[정선군|강원도 정선]] 등에 분포하는 바늘꽃과의 식물. * 회령백살구나무(會寧白―): [[회령군|함경북도 회령]]에 분포하는 [[장미]]과의 낙엽 활엽 교목. * 회령사초(會寧莎草): [[회령군|함경북도 회령]]에 분포하는 [[사초]]과의 여러해살이풀. === [[이름]] === 가상인물은 ☆표 * [[감녕]](甘寧) * [[고보녕]](高寶寧) * [[권영세(1953)|권영세]](權寧世) * [[타일러 권|권영일]](權寧一) * [[김수녕]](金水寧) * 김수녕(金壽寧): <[[세조실록]]>, <[[예종실록]]>, <[[동국통감]]> 등 조선 대 굵직한 기록들의 편찬에 참여한 문신. * [[김유영]](金庾寧) * 낭세녕(郞世寧): [[이탈리아인]] [[선교사]]로서 중국에 가 중국의 회화 및 건축 기법을 유럽에 전한 화가 '카스틸리오네'의 중국식 이름. * [[코다이인|네네]](寧々) * [[닝닝]](宁宁): [[aespa|에스파]]의 멤버. 본명은 닝이줘(寧藝卓). 한국식으로 읽으면 녕예탁. * [[덕녕공주]]([[德]]寧[[公]][[主]]) * [[류셰닝]](劉些寧): 한국식으로 읽으면 류사녕. [[구구단(아이돌)|구구단]] 출신의 중국 아이돌. 현재는 [[경당소녀 303]]으로 활동 중. * '''[[무령왕]](武寧王)''' * [[서녕]](徐寧)☆ * [[성녕대군]](誠寧大君): 세종대왕의 동생으로 세자가 양녕대군에서 세종대왕으로 바뀔 때쯤인 1418년 3월에 세상을 떠났다. * [[세이네이 덴노]](清寧天皇) * [[소손녕]](蕭遜寧) * 손녕(孫寧): [[중국]]의 여배우(1978~). <장애정진행도저>로 유명한 배우 '왕쉐빙'과 2009년 결혼했다가 2012년 이혼했다. * 손녕(孫寧): [[중국]]의 남배우(1994~). <치아문단순적소미호[* 2017년작으로, 중국뿐 아니라 한국 내에서도 일부 시청자들의 인기를 끈 로맨스 드라마.]>가 대표작이다. * [[숙녕옹주(효종)|숙녕옹주]]([[淑]]寧[[翁]]主) * [[도광제|아오신기오로 민닝]](愛新覺羅 旻寧) * [[안네이 덴노]]([[安]]寧天皇) * '''[[양녕대군]](讓寧大君)''' * [[오항녕]](吳恒寧) * [[이동녕]](李東寧) * [[이숭녕]](李崇寧): [[이동녕]] 선생과 [[연안 이씨|같은 집안]]으로 중세 국어의 모음 체계 연구에 힘쓴 국어학자로, 진단학회 상임 이사 및 국어학회장 등을 지냈다. * [[리닝(기계체조)|이녕]](李寧): [[중국]] 체조의 전설이라 불리며, [[2008 베이징 올림픽/개막식]] [[성화]]의 최종 점화자이기도 하다. 자신의 이름을 딴 브랜드 [[리닝]]의 회장을 맡고 있다. * [[이녕(고려)|이녕]](李寧): <예성강도>로 잘 알려진 [[고려]]의 국제적인 화가. [[인종(고려)|인종]]과 [[의종(고려)|의종]]의 총애를 받았고, [[송나라]]에 갔을 적에 [[송휘종|휘종]]에게 <예성강도>를 그려 바쳤다.[* 그 발음의 기록이 천차만별이다. 네이버 국어사전은 ''''이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와 [[위키피디아]]에선 ''''이녕'''', 하다못해 [[두산백과]]에선 ''''이령'이라고 표기해 놓고는 다른 문서에선 '이녕'이라고 부르니'''..] * [[이영균]](李寧均) * 이휘녕(李彙寧): [[이황#s-1]]의 10대손으로서 [[성리학]]에 전심한 조선 후기 학자. <십도고증>이 대표적인 저서이다. * [[장자닝]](張佳寧) * [[조영하]](趙寧夏) * '''[[세종(조선)|충녕대군]](忠寧大君)''' * [[쿠사나기 네네]](草薙 寧々)☆ * [[하후문녕]](夏候文寧) * [[허경영]](許京寧) * 허도녕(許道寧): [[송나라]]의 산수화가로, [[이성#s-3]]의 화풍을 이어받아 화북의 자연을 즐겨 그렸다. * '''[[효령대군]](孝寧大君)''' * [[히에다 네네]](稗田 寧々) * [[야시로 네네]](八尋 寧々)☆ * [[아라쿠 네이코]]([[阿]][[良]][[句]] 寧[[子]]) * [[유우키 네이]](結城 寧)☆ === 외국 지명 === * 강녕(江寧): [[홍무제|명 태조]] 때의 도읍인 '응천'의 다른 이름. 지금의 [[난징시]]이다. * 광녕(廣寧): 광령이라고도 한다. 중국 함평로에 있던 옛 지명임과 동시에, 현재 [[광둥성]] 자오칭 시에 있는 현의 이름이기도 하다. 중국식 발음은 '광닝'이고, [[간체]] 표기는 '广宁'.[* 우리나라에 이를 본관으로 둔 귀화 성씨가 2개 있다. 하나는 [[고(성씨)|광녕 고씨]], 또 하나는 [[묵#s-4|광령 묵씨]].] * [[난닝|남녕]](南寧): 중국 [[광시좡족자치구]]의 구도(區都)로, 중국식 발음은 '난닝'이고, 간체 표기는 '南宁'. * 대녕(大寧): 중국 [[산시성(산서성)|산시성]] 린펀에 있는 현으로, 중국식 발음은 '다닝'이고, 간체 표기는 '大宁'. * 서녕(西寧): 중국 [[칭하이성]]의 성도(省都)로, 중국식 발음은 '시닝'이고, 간체 표기는 '西宁'. * 영안(寧安): 중국 [[헤이룽장성]] [[무단장시]]에 있는 지급시로, 중국식 발음은 '닝안'이고, 간체 표시는 '宁安'. '''[[발해]] [[상경용천부]]''' 유적이 영안시 동경성진에 있다. * [[닝보|영파]](寧波) * '''[[닝샤 후이족 자치구|영하성]](寧夏省)''' * '''[[랴오닝성|요령성]](遼寧省)''' * 제녕(濟寧): '제령'이라고도 발음함. 중국 [[산둥성]]의 도시로, 대운하와 맞닿고 철도가 연결되어 있어 농산물 집산이 발달했다. 중국식 발음은 '지닝'이고, 간체 표기는 '济宁'. * 집녕(集寧): 중국 [[네이멍구 자치구]]의 도시로, [[중국]]과 [[몽골]], [[모스크바]]에 이르는 국제 선로의 역이 있다. 중국식 발음은 '지닝'이고, 간체 표기는 '集宁'.[* 참고로 [[산둥성]]의 지닝은 '지'의 발음이 3성, [[네이멍구 자치구]]의 지닝은 2성으로 다르다.] === 한국 지명 === * 강원도 '''[[영월군]](寧越郡)''' * 거령(居寧/巨寧): [[임실군|전라북도 남원군]] 청웅면에 있던 현으로, '영성(寧城)'이란 별칭을 가지고 있다. * 경기도 [[가평군]] 북면 제령리(濟寧里)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장현로영빈길(長峴路寧嬪-)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혜령로(惠寧路) * 경기도 [[이천시]] 양녕로(讓寧路) * 경기도 [[화성시]] [[안녕동]](安寧洞) * 경상남도 [[김해시]]의 옛 이름 '''[[김녕 김씨|김녕]](金寧)''' * 경상남도 '''[[의령군]](宜寧郡)''' * 경상남도 '''[[창녕군]](昌寧郡)''' * 경상북도 [[김천시]] [[개령면]](開寧面) *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군/행정#s-2.2.1|영해면]](寧海面) * 경상북도 [[영천시]] [[영천시/행정#s-2|신녕면]](新寧面) * [[신녕역]](新寧驛)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하령리(河寧里) * [[김녕굴]](金寧窟): 제주도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에 있는 길이 705m의 현무암 동굴. [[만장굴]]과 더불어 [[천연기념물]] 제98호에 지정되어 있다. 정식 명칭은 '제주도 김녕굴 및 만장굴'. 예전에 이 굴에 사는 뱀에게 매해 봄가을에 처녀를 제물로 바쳤다는 전설이 있는데, 이 때문에 '[[김녕사굴]](金寧蛇窟)'이라고도 한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 대령(大寧): 황해도 [[해주시]]의 별칭. * 대령강(大寧江): [[평안북도]] [[천마산#s-2.3]]에서 발원하여 [[황해]]로 흘러드는 [[청천강]]의 가장 큰 지류. 상류의 대유동에는 금광이 유명하고, 중류 유역에 펼쳐진 태천분지는 [[평안도]] 잡곡의 집산지이며, 또한 하류 일대의 박천평야는 [[청천강]] 하류의 안주평야와 함께 각종 농산물의 산지를 이룬다. * 서령(瑞寧): [[충청남도]] [[서산시|서산]]에 있던 옛 지명. * 삭녕(朔寧): 경기도 [[연천군|연천]]과 강원도 [[철원군|철원]]에 걸쳐 있던 옛 지명.[* 나무위키 내 문서 중 이를 본관으로 둔 [[삭녕 최씨]] 문서가 존재한다.] * 영해평야(寧海平野):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을 중심으로 발달한 해안 평야. * 재령강(載寧江): [[황해도]] 북서부를 북류하는 [[대동강]]의 지류로, 유역에 위치한 '재령평야'에서 예로부터 양질의 쌀이 진상되어 왔다. * 재령철산(載寧鐵山): 황해도 [[재령군]] 재령읍에 있는 광산. [[갈철석]]과 적철석이 난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金寧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영평동(寧坪洞) * 전라남도 [[보성군]] 회천면 회령리(會寧里) *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창녕리(昌寧里) * 전라북도 [[임실군]] 지사면 영천리(寧川里) * 천녕(川寧): 경기도 [[여주시|여주]]의 옛 지명으로, [[현(성씨)|천녕 현씨]], [[견(성씨)|천녕 견씨]] 등 일부 성씨의 본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충청남도 '''[[보령시]](保寧市)'''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영성동(寧城洞) * 평안남도 '''[[영원군]](寧遠郡)''' * 평안북도 '''[[영변군]](寧邊郡)''' * 함경북도 '''[[부령군]](富寧郡)''' * 함경북도 '''[[회령군]](會寧郡)''' * 황해도 '''[[재령군]](載寧郡)''' * 회령탄전(會寧炭田): 함경북도 [[회령군]] 회령읍 서쪽의 [[갈탄]] 탄전. 석탄의 질이 매우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건물]], [[유적]] === * [[경복궁 강녕전|강녕전]](康寧殿) * 만녕전(萬寧殿): 조선 시대 때 [[강화도]]에 위치한 [[영조]]의 영정을 두던 곳으로, 후에 장녕전과 합쳐진다. * '''[[무령왕릉]](武寧王陵)''' * 영국사(寧國寺): [[충청북도]] [[영동군]] 양산면 누교리의 절. 신라 [[문무왕]] 때 창건되어 고려 때 원각국사가 중창했다. '양산 팔경'의 하나이며, 절 어귀에 [[천연기념물]] 제223호로 지정된 [[은행나무]]가 있다. * 영녕사(永寧寺): 중국 [[남북조시대]]에, [[뤄양]]에 있던 큰 절. [[북위]] 멸망과 함께 소실되었다. * 영녕전(永寧殿): [[종묘]] 안에 있는 사당으로, 주로 [[이성계|태조]]의 사대조([[이안사]], [[이행리]], [[이춘]], [[이자춘]])와 그 아내들, 대가 끊어진 왕과 왕비 등 종묘에 모실 수 없는 이들의 신위를 모셨다. [[대한민국의 보물|보물]] 제821호. * [[고씨동굴|영월고씨굴]](寧越高氏窟) * 영월선(寧越線): [[중앙선]]의 [[제천역]]과 영월 화력 발전소 사이를 잇던 철도로, 1973년 10월 [[태백선]]에 흡수되었다. * [[영릉(효종)|영릉]](寧陵) * 장녕전(長寧殿):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있는, [[숙종(조선)|숙종]]의 영정을 모신 전각. * [[석빙고|창녕석빙고]](昌寧石氷庫) * [[경희궁 태령전|태령전]](泰寧殿) * [[덕수궁 함녕전|함녕전]](咸寧殿) * 회령탄광선(會寧炭鑛線): [[함경북도]] [[회령]]에서 계림에 이르는 철도. === [[국가]] === * [[고령가야]](古寧伽倻) * [[동녕국]](東寧國) == 유의자 == * [[康]](편안 강) * [[恬]](편안할 념) * [[倓]](편안할 담) * [[綏]](편안할 수) * [[安]](편안 안) * [[穩]](편안할 온) * [[佚]](편안 일) * [[逸]](편안할 일) * [[靖]](편안할 정) * [[便]](편할 편/똥오줌 변) [[분류:준3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일본의 상용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