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再}}}두 재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冂|{{{#000,#fff 冂}}}]], 4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6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5급 한자|{{{#000,#fff 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サイ, (サ){{{#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ふたた-び{{{#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zài{{{#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再는 ''''두 재''''라는 [[한자]]로, '둘', '다시' 등을 뜻한다. 그래서 ''''다시 재''''라고도 한다. == 상세 == ||[[파일:dujae.gif]]|| || 再의 획순 || ||[[파일:dujae2.jpg]]|| || 再의 자형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두, 다시 || || {{{-1 '''음'''}}} ||재 || ||<-3> || ||<|10>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zài || || {{{-1 '''[[광동어]]'''}}} ||zoi^^3^^ || || {{{-1 '''감어'''}}} ||zai4 || || {{{-1 '''[[객가어]]'''}}} ||chai || || {{{-1 '''진어'''}}} ||zai3 || || {{{-1 '''[[민북어]]'''}}} ||cuo̿i || || {{{-1 '''[[민동어]]'''}}} ||cái || || {{{-1 '''[[민남어]]'''}}} ||chài || || {{{-1 '''[[오어]]'''}}} ||tse (T1) || || {{{-1 '''상어'''}}} ||zai4 || ||<-3> || ||<|2> '''[[일본어]]''' || {{{-1 '''음독'''}}} ||サイ, (サ) || || {{{-1 '''훈독'''}}} ||ふたた-び || ||<-3> || ||<-2> '''[[베트남어]]''' ||tái || 構(얽을 구)의 우측 하단 부분(冉)과 [[一]](한 일)로 이루어져 있다. 構는 나무토막을 위로 쌓아놓은 모습인데, 그것 위에 하나씩(一) 더 얹어놓는다는 데서 '다시', '거듭'을 뜻한다. 이 한자의 훈은 '둘'이지만 [[2]]라는 뜻으로는 거의 [[二]](두 이)가 쓰이고 再는 주로 '다시'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또한 어떤 단어 앞에 붙어서 그것을 다시 한다는 의미를 나타낼 수도 있다. (예:재활용, 재시험 등) 이때는 영어의 re와 용례가 거의 같다.[* 이로 인해 re가 접두사로 붙는 단어들의 역어는 대부분 재로 시작한다.] 그래서 再는 '다시 재'라는 훈음으로 불리기도 한다. [[유니코드]]는 U+518D에 배정되어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MGB(一土月)로 입력한다. [[주음부호]]로는 ㄗㄞˋ로 입력한다. == 용례 == === [[단어]] === * 재개(再[[開]]) * [[재개발]](再[[開]][[發]]) * [[재기]](再[[記]]/再[[起]]) * 재건(再[[建]]) * [[재건축]](再[[建]][[築]]) * 재검토(再[[檢]][[討]]) * 재구성(再[[構]][[成]]) * [[재귀]](再[[歸]]) * 재귀대명사(再[[歸]][[代]][[名]][[詞]]), 재귀적(再[[歸]][[的]]), [[재귀함수]](再[[歸]][[函]][[數]]) * 재림(再[[臨]]) * 재발(再[[發]]) * 재발견(再[[發]][[見]]) * [[재방송]](再[[放]][[送]]) * 재배치(再[[配]][[置]]) * [[재생]](再[[生]]) * 재생산(再[[生]][[産]]) * [[재선#s-1|재선]](再[[選]]) * [[재수(입시)|재수]](再[[修]]) * [[재시험]](再[[試]][[驗]]) * 재수술(再[[手]][[術]]) * [[재심]](再[[審]]) * [[재연]](再[[演]]) * [[재작년]](再[[昨]][[年]]) * [[재재작년]](再再[[昨]][[年]]) * 재적(再[[積]]) * 재점검(再[[點]][[檢]]) * 재정비(再[[整]][[備]]) * 재조정(再[[調]][[整]]) * 재차(再[[次]]) * [[재탕]](再[[湯]]) * 재투표(再[[投]][[票]]) * 재편성(再[[編]][[成]]) * [[재평가]](再[[評]][[價]]) * [[재현]](再[[現]]) * [[재혼]](再[[婚]]) * 재확인(再[[確]][[認]]) * 재활(再[[活]]) * 재활용(再[[活]][[用]]) * [[재회]](再[[會]]) * 재흔(再[[痕]]) === [[고사성어]]/[[숙어]] === * 비일비재([[非]][[一]][[非]]再) * [[재조지은]](再[[造]][[之]][[恩]]) === [[인명]] === * [[고재사]]([[高]]再[[思]]) * [[곽재우]]([[郭]]再[[祐]]) * [[극재사]]([[克]]再[[思]]) * [[모모치 자부자]]([[桃]][[地]] 再[[不]][[斬]]) * [[양재사]]([[楊]]再[[思]]) * [[이효재]]([[李]][[效]]再) * [[재증걸루]](再[[曾]][[桀]][[婁]]) === [[지명]] === === [[창작물]] === * [[再教育]] * [[夏日再会]] * [[じゅーじゅー❤焼肉の火からフェニックス!? 〜再誕の†炭火焼き〜]] * [[少女小景再抄録 ~影~]] * [[再生-rebuild-]] * [[재연|再演]] * [[Re:The END -再-]] * [[재조본 사분율 권47~50|再雕本 四分律 卷四十七~五十]] === 기타 === * [[독학재수학원|독재]]([[獨]]再) == 유의자 == * [[更]](다시 갱, 고칠 경) * [[兩]](두 량) * [[覆]](다시 복) * [[復]](회복할 복, 다시 부) * [[亦]](또 역) * [[又]](또 우) * [[二]]/[[貳]](두 이) * [[且]](또 차)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甫]](클 보) * [[髯]](구레나룻 염) * [[冉]](나아갈 염) * [[苒]](풀 우거질 염) * [[𥬕]](대약한모양 염) * [[爯]](들 칭)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5급 한자]][[분류:2]][[분류:일본의 상용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