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具}}}갖출 구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八|{{{#000,#fff 八}}}]], 6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8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5급 한자|{{{#000,#fff 준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정자 具와 달리 위아래가 분리되어 있다.]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グ{{{#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そな-える, そな-わる, つぶさ-に, つま}}}}}}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jù{{{#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具는 ''''갖출 구''''라는 [[한자]]로, '갖추다', '구비(具備)하다' 등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5177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BMMC(月一一金)로 입력한다. === 자원 === 글자의 자원은 설문해자에서는 두 손으로 물건을 바치는 모양인 [[廾]](받들 공)과 [[貝]](조개 패)가 같이 놓인 자라 설명하나 갑골문의 형태는 貝가 아닌 솥(鼎)의 형태로 후에 貝로 변했다는 설이 있다. * [[설문해자]]: 共置也。从廾,从貝省。古以貝爲貨。 받들어 올린다는 뜻이다. 廾과 貝(의 생략된 형태)의 뜻을 취하였다. 옛날에는 조개를 화폐로 사용했다. * 단옥재 주(註): '''共置也。'''共供古今字。當從人部作供。'''从廾。貝省。'''會意。其遇切。古音在四部。'''古㠯貝爲貨。'''說從貝之意。 '받들어 올린다는 뜻이다.': 共 자와 供 자는 고금자(古今字)[* 고금자에 대한 설명은 [[가차자]] 참조.]이며, 人(사람 인) 변을 붙여서 供 자로 써야 한다. '廾과 貝(의 생략된 형태)의 뜻을 취하였다.': 이 글자는 회의자이며, 其遇切이다[* 즉 '구'라고 읽는다.]. 상고음은 제4부에 속한다[* 단옥재가 독자적으로 분류한 상고음 분류를 말한다.]. '옛날에는 조개를 화폐로 사용했다.': 조개의 뜻을 따름을 말한다. == 자형 == || [[파일:具-oracle.svg.png]] || [[파일:具-bronze.svg.png]] || [[파일:具-bigseal.svg.png]] ||[[파일:60px-具-seal.svg.png]]|| || 갑골문 || 금문 || 대전체 || 소전체 || 중국, 한국의 정자와 일본어 신자체간에 차이가 있다. 중국, 한국의 정자는 윗부분과 아랫부분이 붙어 있고 위쪽의 가로줄이 세개이나 일본의 신자체는 윗부분이 눈 목자로 되어 있고 아래부분과 분리되어 있다. 하지만 따로 적히지가 않아 부득이하게 이곳에 설명을 덧붙인다 == 용례 == 시신을 셀 때 '한 구, 두 구'처럼 '구'라는 단위를 쓰는데, 여기의 구가 바로 이 글자이다. === [[단어]] === * [[가구]]([[家]]具) * [[공구]]([[工]]具) * 교구([[敎]]具) * [[구군복]](具[[軍]][[服]]) * [[구비]](具[[備]]) * [[구상]](具[[象]]) * 구상명사(具[[象]][[名]][[辭]]), [[구상미술]](具[[象]][[美]][[術]]) * [[구체]](具[[體]]) * 구현(具[[現]]) * [[기구]]([[器]]具) * [[농기구]]([[農]][[器]]具) * [[실험 기구]]([[實]][[驗]] [[器]]具) * [[농구]]([[農]]具) * [[다구]]([[茶]]具) * [[도구]]([[道]]具) * [[문구]]([[文]]具) * [[문방구]]([[文]][[房]]具) * [[법구]]([[法]]具) * [[보구]]([[寶]]具) * [[불구]]([[不]]具) * [[불구자]]([[不]]具[[者]]) * [[성불구자]]([[性]][[不]]具[[者]]) * [[어구]]([[漁]]具) * [[완구]]([[玩]]具) * [[용구]]([[用]]具) * [[장신구]]([[裝]][[身]]具) * 침구([[寢]]具) * [[투석구]]([[投]][[石]]具) * 표구([[表]]具) * [[필기구]]([[筆]][[記]]具) * 화구([[畫]]具) === [[인명]] === * [[이와쿠라 도모미]]([[岩]][[倉]] 具[[視]]) * [[카구츠치 히노]]([[迦]]具[[土]] ヒノ) ==== 성씨 ==== [include(틀:한국의 성씨 한자)] 20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193,081명, 전체 41위의 성씨로 주요 본관으로는 [[능성 구씨|능성]](綾城)이 있다. 자세한 사항은 [[구(성씨)]] 문서 참조. 구씨 성을 가진 사람들의 92.5%%가 해당 한자를 사용한다. === [[지명#s-2]] === * [[전라남도]] [[광양시]] [[봉강면]] [[구서리]](具[[書]][[里]]) === [[창작물]] === * [[玩具狂奏曲 -終焉-]]([[완구광주곡 -종언-]]) === 기타 === * 반려기구([[伴]][[侶]][[器]]具) == 유의자 == * [[俱]](갖출 구) * [[諨]](갖출 복) * [[備]](갖출 비) * [[僎]](갖출 선) * [[咃]](갖출 타) * [[辨]]/[[弁]](갖출 판) * [[該]]/[[晐]]/[[賅]](갖출 해) * [[𤰅]](갖출 황) * [[備]](갖출 비)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貝]](조개 패) == 여담 == * [[코미디언]] [[나이츠(오와라이)|나이츠]]가 [[M-1그랑프리]]에서 [[나는 조개가 되고 싶다]]의 [[貝]](조개 패)를 具로 바꾸는 개그를 친 적이 있었다(...). [[분류:준5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일본의 상용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