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특급 한자]][[분류:국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음역자]]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𠃗}}}{{{-2 ⿱于乙}}}땅이름 울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乙|{{{#000,#fff 乙}}}]], 3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4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특급 한자|{{{#000,#fff 준특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𠃗은 ''''땅이름 울''''이라는 [[한자]]로, 우리나라의 인명, 지명에 쓰이는 음역자이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200D7에 배당되어 있다. '우'라는 소리를 나타내는 [[于]](어조사 우) 자 밑에 'ㄹ' 받침을 나타내는 [[乙]](새 을) 자를 더하여 '울'이라는 소리를 나타낸다. 보통 흔히 쓰이는 글자가 유니코드의 BMP(기본 다국어 평면)에 속해 있는 것에 반해, 이 글자는 SIP(보조 표의문자 평면)에 속해 있다. 어문회에 급수가 배정된 한자 중에서 SIP에 속해 있는 글자는 이 글자가 유일하다. 어문회 홈페이지의 자료실에서 '배정한자특급II' 자료를 다운로드하면 이 글자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 글자의 글꼴을 바꾸면 [[亐]](U+4E90)라는 다른 형태의 글자가 나온다. 이 글자는 원래 于 자의 이체자로 𠃗 자와는 전혀 관련이 없다. 심지어 '배정한자 전체 대표훈음 부수 음표 명기본' 파일은 처음부터 亐 자에 '땅이름 울'이라는 훈음을 배정해 놨다. 동일한 문제가 [[한자/KS X 1001|KS X 1001]]에도 있는데, '울' 발음을 가지는 섹션에 𠃗 대신 亐 자가 배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학습자들 사이에 많은 혼란이 있었는데, 아래는 관련 문의들에 대한 어문회의 답변 중 하나이다. >정보 교환용 부호계 ksc5601에 한자 4,888자가 선정된 것은 1987년의 일이고(이 규격이 2002년에 ksx1001로 바뀌었습니다.) 이 4,8888[* 4,888자의 오타]자에서 于+乙자를 확인하고 써 왔습니다. 저는 아래아한글을 오랫동안 써 왔고, 지금은 아래아한글 신명조 글꼴일 때만 이 글자가 확인되는데, 이렇게 된 과정은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요컨대 𠃗 자를 의도한 게 맞는데 모르는 사이에 전부 亐 자로 바뀌어 있더라 하는 얘기다. 지금이라도 이 글자를 𠃗(U+200D7)로 수정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문의도 있었지만, 호환 문제 때문에 어렵다는 듯하다. == 용례 == === [[단어]] ===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지명#s-2]] === === [[창작물]] === === 기타 === == 유의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