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나츠메 우인장)] ||<-2>
{{{#ffffff,#ffffff '''{{{+1 나츠메 우인장}}}'''[br]夏目友人帳[br]Natsume's Book of Friend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나츠메우인장.jpg|width=100%]]}}} || || '''{{{#ffffff,#ffffff 장르}}}''' ||[[판타지]], [[일상물|일상]], [[치유계|치유]], [[순정만화|순정]] || || '''{{{#ffffff,#ffffff 작가}}}''' ||[[미도리카와 유키]] || || '''{{{#ffffff,#ffffff 번역가}}}''' ||서현아 || || '''{{{#ffffff,#ffffff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하쿠센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학산문화사]] || || '''{{{#ffffff,#ffffff 연재처}}}''' ||[[LaLa]] || || '''{{{#ffffff,#ffffff 레이블}}}'''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하나토유메|하나토유메 코믹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메이퀸노벨|메이퀸 코믹스]] || || '''{{{#ffffff,#ffffff 연재 기간}}}''' ||2003년 7월호 ~ 연재 중 || || '''{{{#ffffff,#ffffff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30권 ,,(2023. 09. 05.),,[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9권 ,,(2023. 10. 25.),,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나츠메 우인장 10주년.jpg]][* [[나츠메 우인장/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10주년 기념 일러스트.] > '''心優しき友人たちとの、大切な日々──''' > '''美しく儚き、人と妖の物語。''' > ---- > '''상냥한 친구들과의, 소중한 날들──''' > '''아름답고 덧없는, 인간과 요괴의 이야기''' [[일본]]의 [[판타지]]·[[일상물|일상]] [[순정만화]]. 작가는 [[미도리카와 유키]]. == 줄거리 == >'''<あらすじ>[br]小さい頃から妖怪を見ることができた少年・夏目貴志は、祖母レイコの遺産「友人帳」を受け継ぎ、自称用心棒のニャンコ先生と共に、そこに名を縛られた妖怪たちに名を返す日々を送る。[br]妖と、そこに関わる人との触れ合いを通して、自分の進むべき道を模索し始めた夏目は、想いを共有できる友人たちにも助けられながら、大切な日々を守るすべを見つけていこうとする。''' >---- > '''<줄거리>[br]어릴 적부터 요괴를 볼 수 있었던 소년 [[나츠메 타카시]]는, 할머니인 [[나츠메 레이코|레이코]]의 유품 「[[우인장]]」을 물려받아, 자칭 경호원 [[야옹 선생]]과 함께, 우인장에 이름을 묶인 [[요괴]]들에게 이름을 돌려주는 나날을 보낸다.[br]요괴와, 그것에 관련된 인간과의 접촉을 통해, 자신이 나아가야 할 길을 모색하기 시작한 나츠메는, 생각을 공유할 수 있는 친구들에게도 도움을 받으면서, 소중한 나날을 지킬 방법을 찾으려 한다.''' 어릴 때부터 남들이 보지 못하는 요괴를 보는 능력을 가진 나츠메가 자신과 같은 능력을 가진 할머니 레이코의 유품, '[[우인장]]'[* [[요괴]]의 [[이름]]을 저당 잡힌 책자로 이 책자를 가지고 요괴의 이름을 부르면 그 요괴를 마음대로 부릴 수 있다.]을 물려받은 이후, 이름을 요괴들에게 돌려주며 일어나는 일들이 이야기의 주축이다. 기본적으로는 매화 옴니버스식 구성으로, 그러면서도 몇몇 에피소드에서 떡밥을 던지고 회수하며 일종의 메인 스토리라 할 수 있는 중심 인물 간의 갈등 구조를 풀어나가는 느긋한 진행이 특징. == 발매 현황 == ||
'''01권''' || '''02권''' || '''03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츠메 우인장_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츠메 우인장_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츠메 우인장_3.jpg|width=10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5년 10월 05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6년 12월 26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6년 08월 05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7년 01월 15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7년 02월 05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7년 05월 29일''' || || '''04권''' || '''05권''' || '''06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츠메 우인장_4.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츠메 우인장_5.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츠메 우인장_6.jpg|width=10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7년 08월 04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7년 10월 01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8년 03월 05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8년 05월 15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8년 07월 05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8년 10월 23일''' || || '''07권''' || '''08권''' || '''09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츠메 우인장_07.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츠메 우인장_8.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츠메 우인장_9.jpg|width=10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9년 01월 05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9년 04월 09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9년 07월 03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9년 09월 15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0년 01월 04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0년 04월 20일''' || || '''10권''' || '''11권''' || '''12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츠메 우인장_10.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츠메 우인장_1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츠메 우인장_12.jpg|width=10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0년 07월 05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0년 12월 06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1년 03월 04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1년 08월 15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1년 07월 05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2년 03월 28일''' || || '''13권''' || '''14권''' || '''15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츠메 우인장_1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츠메 우인장_14.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츠메 우인장_15.jpg|width=10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2년 01월 04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2년 05월 30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2년 07월 05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2년 11월 30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3년 01월 04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3년 10월 25일''' || || '''16권''' || '''17권''' || '''18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츠메 우인장_16.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츠메 우인장_17.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츠메 우인장_18.jpg|width=10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3년 07월 05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4년 02월 25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4년 01월 04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4년 05월 21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4년 09월 05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5년 02월 09일''' || || '''19권''' || '''20권''' || '''21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츠메 우인장_19.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츠메 우인장_20.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츠메 우인장_21.jpg|width=10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5년 05월 0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5년 08월 10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6년 04월 05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6년 10월 19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6년 10월 05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7년 04월 07일''' || || '''22권''' || '''23권''' || '''24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츠메 우인장_2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츠메 우인장_2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츠메 우인장_24.jpg|width=10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7년 09월 05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8년 02월 12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8년 09월 05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9년 02월 21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9년 05월 02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9년 09월 10일''' || || '''25권''' || '''26권''' || '''27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츠메 우인장 25.webp|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츠메 우인장_26.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츠메 우인장 27권.jpg|width=10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0년 06월 05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0년 12월 24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1년 01월 04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1년 08월 20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1년 09월 03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04월 13일''' || || '''28권''' || '''29권''' || '''30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츠메우인장_27.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츠매우인장_29.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츠메우인장30.png|width=10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2년 05월 02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12월 13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3년 01월 04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3년 10월 25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3년 9월 5일 [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정''' || == 특징 == 깨끗하고 잔잔한 그림체에 조용하고 부드러운 분위기와 마음을 울리는 스토리를 특징으로 하는 [[치유물]] 순정만화이다. 일단 순정만화로 분류되긴 하는데[* 연재하는 잡지부터가 [[소녀만화]] 잡지로 유명한 [[LaLa]]다.] 정작 주인공이나 비중 있는 인물들의 [[연애]] 묘사는 아예 없다. 엄밀히 말하면 작중 사연의 주인공이 되는 단역 [[인간]]이나 [[요괴]] 간에는 상당수 연애관계가 보이는 반면, 고정 멤버들 간의 연애 묘사가 아예 없다.[* 그나마 [[니시무라 사토루|니시무라]]가 [[타키 토오루|타키]]에게 관심을 보이긴 하지만, 타키는 니시무라가 자신에게 관심있어하는 것을 전혀 모르기 때문에 딱히 연애 [[플래그]]라고 보기는 어렵다.] 대신 나츠메와 주변 인물들과의 에피소드는 부모님 역할을 해주고 계시는 [[후지와라 부부]]나 친구들 간의 훈훈한 에피소드가 주를 이룬다. 순정만화로 분류되는데도 불구하고 주요 인물들간의 러브라인 없이도 훈훈한 인간관계를 그려내는 점에서 시대를 앞서간 작품이라는 평이 많다.[* 많은 팬들이 타키가 언젠가는 [[나츠메 타카시|나츠메]]와 연애노선을 탈 것이라고 예상했었지만, 연재가 오래됐는데도 그럴 기미가 전혀 없다. 오히려 러브라인 없이도 남녀간의 [[우정]]을 잘 그려내는 점을 호평하는 팬들이 많다.] 종종 비교되곤 하는 《[[백귀야행(만화)|백귀야행]]》보다는 전체적으로 내용이 밝다. 《백귀야행》은 [[유령]]과 요괴가 등장하는 데다 요괴를 인간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이해하기 어려운 존재로 묘사하기에 무섭거나 슬픈 내용이 많은 반면, 《나츠메 우인장》에는 유령이 거의 등장하지 않으며 요괴들도 잘 대해주면 그만큼의 보답이 있는, 상냥한 일면이 있는 존재로 그려지고 있다. 배경무대는 [[구마모토]]현 [[히토요시시]](人吉市)의 마을. 실제로 히토요시 쪽 [[여관]]에 가면 《나츠메 우인장》 만화가 놓여 있는 걸 자주 볼 수 있다. == [[나츠메 우인장/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츠메 우인장/등장인물)] == [[나츠메 우인장/설정|설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츠메 우인장/설정)] == 수상 == [include(틀:2021년 일본 만화 총선거)] * 2007 [[이 만화가 대단하다!]] 여성부 6위 * 2009 [[이 만화가 대단하다!]] 여성부 8위 == 미디어 믹스 == === [[나츠메 우인장/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츠메 우인장/애니메이션)] ==== [[나츠메 우인장: 세상과 연을 맺다|극장판(2018)]]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츠메 우인장: 세상과 연을 맺다)] ==== [[나츠메 우인장: 이시오코시와 수상한 방문자|극장판(2021)]]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츠메 우인장: 이시오코시와 수상한 방문자)] == 기타 == * 전작인 《붉게 피는 소리》의 연재 종료 이후, 작품을 구성하다가 편한 기분으로 만들었던 단편 스토리가 호응이 좋아 《진홍색 의자》 완결 후 연재에 들어갔고 계속되는 인기를 타고 월간 발매가 되었다. 전작인 《붉게 피는 소리》와 《진홍색 의자》 둘 다 비교적 짧은 3권으로 끝났었고 그 외에는 2권의 단편집 뿐이어서 《나츠메 우인장》이 [[미도리카와 유키]]의 첫 번째 장편작이다. * 1권과 비교했을 때 그림체가 비교적 깔끔하게 변했다. 사실 이 작가가 선을 지저분하게 쓰는 경향이 있었는데 뒤로 갈수록 점점 나아지고 있는 편. 인체 비율은 약간 애매하긴 하나[* 정확히는 다들 '''비율이 너무 좋아서''' 실제 키에 비해 매우 커보이는 현상이 심한 편. 그나마 나츠메는 원래부터 [[장신#s-1|장신]] 이미지가 없어서(…) 나은데, [[나토리 슈이치|나토리]]와 [[마토바 세이지|마토바]]는 가장 큰 피해자(?)로 꼽힌다. 둘 다 비율만 보면 180cm는 거뜬히 넘어보이나 [[단신#s-1|실제 키는]]... 그래도 일본인들 평균 키보다는 큰 건 맞다.] 특유의 하늘하늘한 그림체와 묘하게 잘 어울려서 개성으로 보는 쪽이 많다. * 본편 뒤에 매 에피소드마다 작가의 후기가 실려있다. 주로 주인공 나츠메의 심리 변화와 성장 과정을 작가가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 수 있으며 등장인물에 대한 애정 또한 깊음을 느낄 수 있다. 작가 본인의 해설 겸 감상글을 보고 다시 읽어보면 다른 느낌으로 볼 수 있게 되는 것도 묘미 중 하나. * 소녀만화 잡지에서 연재되고 있지만 남녀 모두 폭넓게 즐겨 읽는 만화로 일본뿐만이 아니라 한국은 물론이고 서양권에서도 인지도와 유명세가 있는 작품이다.[* 《[[AKIRA]]》, 《[[드래곤볼]]》, 《[[나루토]]》,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진격의 거인]]》 정도로 히트친 건 아니지만, 일본에서도 소리없는 강자 취급받듯이 서양권에서도 비슷하다.][* 북미에서는 오랫동안 [[더빙]] 소식이 없다가 드디어 2022년 7월 24일에 [[크런치롤]]에서 1기를 [[영어]] 더빙으로 방송하기 시작했다.[[https://www.crunchyroll.com/anime-news/2022/07/22-1/natsumes-book-of-friends-season-1-english-dub-announced-cast-crew-revealed|#]] [[양덕]]들은 그야말로 환호. 여담으로 2020년대 와서 북미에서는 이미 한참 전에 자막판으로만 방영이 끝난 [[일본 애니메이션]]을 뒤늦게 영어 더빙으로 다시 방영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게다가 독자들의 연령대도 다양한데, 일본에서는 《[[나츠메 우인장: 세상과 연을 맺다]]》가 개봉했을때 할머니와 손녀가 함께 관람하러 왔을 정도라고. 다만 내용이 전개됨에 따라 몇몇 일부 남성 독자층에게는 주인공인 나츠메가 [[진히로인]] 같아서 읽기 힘들다는 불평이 있긴 한데, 이 만화의 스토리를 이끌어 가는 주역이 [[남캐]]다보니 원래부터 남캐의 비중과 개성이 더 강한 작품이라 어쩔 수 없는 듯(…) 정확히는 남캐가 많이 나와서라기 보다는, ~~그렇게 따지면 남캐가 득시글한 [[소년만화]]는...~~ 남주인공 나츠메가 여캐와 전혀 연애노선이 없는 대신에 어지간한 [[오토메 게임]] 못지않게 개성넘치는 [[타누마 카나메|인남]][[나토리 슈이치|캐]][[마토바 세이지|들]]과의 찐한(?) [[인간관계]][[브로맨스|가 부각되는 점]]이 남성 독자들에게 [[호불호]]가 갈린다고 볼 수 있다.[* 아무래도 주인공 나츠메가 남자인데다가 그와 관련이 깊은 주요 캐릭터들도 거의 다 남캐들이다보니 작가가 의도한 건 아니겠지만 연재 초창기에 비해 소프트 [[BL]] 분위기가 짙어지고 있다. 실제로 [[여덕]]들 사이에서 '소프트 BL 분위기 나는 작품을 추천해달라'는 글이 올라오면 추천되는 작품들중에 《나츠메 우인장》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팬들 사이에서는 나츠메가 여주인공이었다면 완벽한 [[역하렘물]]이라는 평이 오래전부터 있었으며 나츠메 하렘장(…)이라는 꽤 유서깊은 드립까지 있을정도. 20권 이후로는 나토리와 마토바의 어정쩡한 관계가 수면으로 올라오면서 더 그런 것도 있는 듯. 다만 원작도 원작인데 [[서비스신|애니메이션에서 다소 양념을 팍팍 친 것도 없잖아 있긴 하다]].][* [[서브컬처]] [[덕후]]들 사이에서는 하늘하늘 [[요정]]같은 비주얼의 남주인공을 중심으로 주변 [[인남캐]]들과의 찐한(?) [[인간관계]][[브로맨스|가 부각된다는 점]]에서 《[[쿠로코의 농구]]》와 비슷하다는 평이 있다. 정작 공식 [[미소년]]인 나츠메와는 달리 [[쿠로코 테츠야|쿠로코]]는 [[미인 그려놓고 평범하다고 우기기|평범하고 존재감 없는 외형이라는 설정이지만]]...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두 작품을 동시에 덕질했던 여덕들이 많다.][* 물론 남캐들끼리 꽁냥거리는 장면 외에도 나츠메, [[타누마 카나메|타누마]], 타키 셋의 훈훈한 우정도 자주 나오는데, 다른 순정만화였으면 [[삼각관계]]로 발전할 법도 하지만 이 셋은 정말 순수하게 끈끈한 우정으로만 표현된다.] * 상당한 히트작임에도 [[2차 창작]]이 아주 흥한 편은 아니다.[* 원래 소녀만화나 [[순정만화]]는 아무리 세계구급으로 히트쳐도 [[2차 창작]]이 그닥 활발하지 않은데, 원작 자체가 주인공과 주변 인물들의 러브라인 위주로 돌아가서 딱히 동인계에서 더 뭔가를 할 건덕지가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나츠메 우인장》은 주인공과 주변 인물들의 러브라인이 아예 없기 때문에 순정만화가 원작인 것 치고는 나름 2차 창작이 흥한 편이다. 그리고 원작의 분위기가 [[넘사벽]]이라 2차 창작에서 특유의 분위기를 표현하기가 쉽지 않은 것도 한몫하는 듯.] 남캐가 많이 나오다보니 [[BL]] [[커플링]]이 주로 흥하는데, 원작이 치유물라서 그런지 훈훈하고 아련한 분위기의 2차 창작물이 많다. [[노말]]도 소소하게 흥하며 이외에도 커플링과 관련없는 개그물이나 나츠메와 친구들간의 일상을 그려내는 원작처럼 훈훈한 2차 창작물도 꽤 있다. 전반적으로 원작의 분위기에 최대한 맞춘 2차 창작물이 주를 이룬다. * 2014년 4월 24일 1,000만 부를 돌파, 2020년 1,400만 부를 돌파했다. 월간지 연재작을 감안하면 상당한 히트작이고, 애니메이션도 사실상 장기 프로젝트로 진행되고 있다. [[분류:나츠메 우인장]][[분류:일본 만화/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