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3급 한자]][[분류:다음자/한국어]][[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일본의 상용한자]]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率}}}비율 률, 거느릴 솔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玄|{{{#000,#fff 玄}}}]], 6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ソツ, リツ, {{{#c88 シュツ, スイ}}}}}}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ひき-いる, {{{#c88 おおむ-ね, かしら,[br]したが-う, わりあい}}}}}}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lǜ, shuài{{{#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率은 '''거느릴 솔, 비율 률(율)'''이라는 [[한자]]로, '거느리다', '비율'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는 U+7387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卜戈人十(YIOJ)으로 입력한다. 갑골문 상으로는 실을 나타내는 [[糸]] 주위에 점이 그려져 있는 데, 실이 감겨져 있는 모양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본래 뜻은 '밧줄'이다. 설문해자에서는 새를 잡는데 쓰는 그물이라고 풀이해놓았다. 여기서 뜻이 파생되어 '포획하다'라는 뜻으로 쓰이다가 후에 '이끌다', '지도하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이끌다'라는 뜻으로 쓰일 때는 '솔'로 읽는다. 잘 쓰이지는 않지만 동사 '이끌다'에서 파생된 명사 '장군' ( < 이끄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쓰일 때는 '수'라고 읽는다. '이끌다', '장군'이라는 뜻을 가질 때는 [[帥]](장수 수)와 서로 통용되며 현재 한국에서는 '이끌다'라는 뜻은 率을, '장군'이라는 뜻은 帥로 표기한다. 또한 '비율(ratio)'라는 뜻도 가지고 있는데 이 때는 '률'로 읽는다. 모음이나 ㄴ 받침 뒤에 붙으면 '율', 그렇지 않으면 '률'이다. 현대 [[한국어]]에서 [[순우리말]] 중 '솔' 음을 [[중국어]]로 음차할 때도 쓰인다. 예를 들면 [[세종특별자치시]] 한솔동이 존재한다. 과거에 쓰인 음역자로는 㐒(음역자 솔: 召+乙)이나 乺(땅이름 솔: 所+乙) 등이 있다. == 용례 == === 단어, [[고사성어]] === ==== 솔 ==== * 경솔([[輕]]率) * 기마욕솔노([[騎]][[馬]][[欲]]率[[奴]])[* 말을 타게 되었더니 종을 데리고자 한다는 뜻으로, 무언가를 갖게 되었을 때 더욱 욕심을 부리게 되는 행동을 말한다. 즉, 인간의 욕심의 무한함을 시사한다.] * 다솔([[多]]率) * 대솔하인([[帶]]率[[下]][[人]]) * 솔구이발(率[[口]][[而]][[發]]) * 솔선수범(率[[先]][[垂]][[範]]) * 솔직(率[[直]]) * 인솔([[引]]率) * [[여행 안내원|인솔자]]([[引]]率[[者]]) * [[통솔]]([[統]]率) ==== 률(율) ==== * 능률([[能]]率) * [[백분율]]([[百]][[分]]率) * [[비율]]([[比]]率) * 사망률([[死]][[亡]]率) * [[원주율]]([[圓]][[周]]率) * [[유율]]([[流]]率) * [[유율법]]([[流]]率[[法]]) * [[천분율]]([[千]][[分]]率) * [[출루율]]([[出]][[壘]]率) * [[출산율]]([[出]][[産]]率) * [[출생률]]([[出]][[生]]率)[* 출산'''율'''과 출생'''률'''의 경우를 헷갈리는 사람이 많다. 출산은 ㄴ받침이므로 '율', 출생은 ㄴ 외 받침이므로 '률'이 따라 붙는다.][* 출산율과 출생률의 개념에도 차이가 있는데, 출산율은 여성 1인이 평생동안 낳을 것으로 예측되는 자녀의 수의 평균을, 출생률은 1년간 1000명 중 출생아의 비율을 나타낸다.] * [[타율]]([[打]]率) * [[장타율]]([[長]][[打]]率) * [[한계대체율]]([[限]][[界]][[代]][[替]]率) * 합격률([[合]][[格]]率) * [[확률]]([[確]]率) * [[환율]]([[換]]率) * [[효율]]([[效]]率) === [[인명]] === 음이 '솔'인 한자가 흔하지 않다 보니 '솔'이 들어가는 대부분의 한자 이름이 여기에 해당한다. * [[안솔]]([[顔]]率) * 양한솔([[梁]][[瀚]]率): [[노력의 결과]]의 등장인물 * [[윤호솔]]([[尹]][[豪]]率) * [[진솔(ARTMS)|정진솔]]([[鄭]][[眞]]率) * [[조솔교]]([[趙]]率[[敎]]) * [[진예솔]]([[陳]][[藝]]率) === [[지명#s-2]] === * [[다솔사역]]([[多]]率[[寺]][[驛]]) * [[솔안신호장]](率[[安]][[信]][[號]][[場]]) * [[솔안터널]](率[[安]]터널) === [[창작물]] === * [[도솔가]]([[兜]]率[[歌]]) * [[偶然の確率]] * 恋率方程式 ([[VOCALOID 오리지널 곡]]) === 기타 === * [[大島優子卒業コンサート in 味の素スタジアム~6月8日の降水確率56%(5月16日現在)、てるてる坊主は本当に効果があるのか?~]]: [[오오시마 유코]]의 졸업 콘서트명 * [[http://dasolsa.kr/|다솔사]] (多率寺) == 유의자 == * [[領]](거느릴 령) * [[御]](거느릴 어) * [[統]](거느릴 통) * [[總]](거느릴 총, 다 총) == 이체자 == * 卛(U+535B, 十부 19획, VFJ(女火十)) * 䢦(U+48A6, 辵부 11획, YYIJ(卜卜戈十))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傘]](우산 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