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龍}}}용 룡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龍,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6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4급 한자|{{{#000,#fff 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リュウ, {{{#c88 リョウ, リン, ドラゴン}}}}}}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たつ{{{#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ló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ong Ryong, unduk long, uluk mang, eunchong chong hweksun.gif|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용 룡(龍).''' [[미르]], [[임금]]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 상세 == [[유니코드]]에선 U+9F8D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卜月卜尸心(YBYSP)으로 입력한다. 머리에 [[辛]](매울 신) 모양 장식이 있는 뱀의 형상을 본뜬 [[상형자]]이다. [[용]]은 [[상상의 동물]]이라 상형자로 만들기 어려워서 머리에 [[辛]] 모양 장식이 있는 뱀을 본땄다. [[십이지]]에서 용은 龍이 아니라 [[辰]](별 진)을 씀을 주의할 것. [[용]]이라는 뜻 외에도 [[임금]]이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곤룡포]](袞龍袍), 용안(龍顔) 같이 임금과 관련된 물건에 자주 붙는 한자이다. 획수가 제법 많지만 [[파자]]하여 立月卜己三[* 단, 卜의 ㅣ와 己의 ㄱ은 한 획으로 합쳐서 쓴다.]이 되므로, 이를 기억하면 쓰는 법을 외우기가 약간 더 쉬워진다. 일본 [[신자체]]에서 쓰이는 竜은 龍의 고자(古字)이기도 하다. 또한 [[드래곤|서양의 용]]을 나타내는 한자이기도 한다. == 자형 == || [[파일:龍갑골문.svg|width=100%]] || [[파일:龍금문.svg|width=100%]] || [[파일:龍대전체.svg|width=100%]] || [[파일:龍소전체.svg|width=100%]] || || 갑골문 || 금문 || 대전체 || 소전체 ||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획수가 많은 부수들이 그렇듯이 부수로는 잘 쓰이지 않는다. 龍을 제외하면 [[龐]](어지러울 방)이 [[방통]]처럼 인명에 조금 쓰이는 정도이다. 그 외에 잘 쓰이진 않지만 [[龕]]([[감실]] 감), [[龔]](공손할 공), [[龑]](고명할 엄) 따위 한자가 있다. 龍이 형부가 아닌 성부인데 龍부로 분류된 자가 많은 편이다. 음부로 쓰일 땐 '룡'이나 '롱'의 음이 된다. 해당하는 글자 중 [[한자검정시험]]에 출제되는 한자로는 [[籠]](대바구니 롱), [[壟]](밭두둑 롱), [[瓏]](옥 소리 롱), [[聾]](귀머거리 롱), [[朧]](흐릿할 롱), [[瀧]](비 올 롱), [[隴]](고개 이름 롱) 등이 있다. 龐(어지러울 방), [[寵]](사랑할 총) 등도 성부가 龍이지만 음이 조금 달라졌다. [[襲]](엄습할 습)은 원래 음부가 龍이 아니고 龍 2개인 [[龖]]이나 나중에 간략화한 것이다. 획수가 가장 많은 글자로 龍자 4개를 모아둔 [[𪚥]]([[수다스러울 절]])이 있다. 획수는 '''64획'''이다. == [[성씨]] == [include(틀:한국의 성씨 한자)] 20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1만 4483명, 전체 122위인 성씨이다. 자세한 건 [[용(성씨)]] 문서 참조. == 용례 == === [[단어]] === * '''[[용]](龍)''' * [[공룡]]([[恐]]龍/恐竜) * 교룡([[交]]龍/[[蛟]]龍) * 교룡기(交龍[[旗]]) * [[계룡]]([[鷄]]龍) * 복룡([[伏]]龍) * [[비룡]]([[飛]]龍) * [[와룡]]([[臥]]龍) * [[용검]](龍[[劍]]) * [[용궁]](龍[[宮]]) * 용궐(龍[[闕]]) * [[용문]](龍紋/龍[[門]]) * [[용봉탕]](龍[[鳳]][[湯]]) * 용소(龍[[沼]]) * 용수(龍[[壽]]/龍[[樹]]/龍[[鬚]]) * 용안(龍[[眼]]/龍[[顔]]) * [[용왕]](龍[[王]]) * [[용포]](龍[[袍]]) * [[곤룡포]]([[袞]]龍[[袍]]) * [[익룡]]([[翼]]龍) * [[청룡]]([[靑]]龍) * [[해룡]]([[海]]龍) * [[흑룡]]([[黑]]龍) === [[고사성어]]/[[숙어]] === * [[거수마룡]] (車水馬龍) * [[등용문]] (登龍門) * [[용두사미]] (龍頭蛇尾) * 용미봉탕 (龍味鳳湯) * [[용호상박]] (龍虎相搏) * [[화룡점정]] (畫龍點睛) === [[인명]] === * '''성이 [[용(성씨)|용씨]]인 사람 전부''' * [[BSL白龙]] * [[G-DRAGON]]의 본명 권지용([[權]][[志]]龍) * [[김성룡(공군참모총장)|김성룡]]([[金]][[成]]龍)[*A 두 김성룡은 동명이인인데 한자까지 똑같다.]: 대한민국 제10대 공군참모총장 * [[김성룡(바둑기사)|김성룡]]([[金]][[成]]龍)[*A]: [[바둑기사]] * [[김용수]]([[金]]龍[[洙]]) * [[김응용]]([[金]][[應]]龍) * [[나루호도 류노스케]]([[成]][[歩]][[堂]] 龍ノ[[介]]) * [[나루호도 류이치]]([[成]][[歩]][[堂]] 龍[[一]]) * [[라인만]]의 통칭 잠룡([[潛]]龍) * [[롬팽]](龍[[鳳]]) * [[류가죠 나나나]](龍ヶ[[嬢]] [[七]]々々) * [[리셴룽]]([[李]][[顯]]龍) * [[린 히류]]([[鱗]] [[飛]]竜) * [[마룽]]([[马]]龙) * [[박용택]]([[朴]]龍[[澤]]) * [[사카모토 료마]]([[坂]][[本]]龍[[馬]]) * [[송위룡]]([[宋]][[威]]龙) * [[쑨룽]]([[孙]]龙) * [[안용복]]([[安]]龍[[福]]) * [[엄용수]]([[嚴]]龍[[洙]]) * [[우용곡]]([[禹]]龍[[谷]]) * [[원희룡]]([[元]][[喜]]龍) * [[이룽]]([[一]]龙) * [[이승만]]의 초명인 이승룡([[李]][[承]]龍) * [[이즈나마루 메구무]]([[飯]][[綱]][[丸]] 龍) * [[주일룡]]([[朱]][[一]]龙) * [[청루이룽]]([[成]][[瑞]]龙) * [[필릭스]]의 한국어 이름 이용복([[李]]龍[[馥]]) * [[한용운]]([[韓]]龍[[雲]]) === [[지명]] === * [[검룡소]]([[儉]]龍[[沼]]) * [[경기도]] [[용인시]] ([[京]][[畿]][[道]] 龍[[仁]][[市]])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용원동]] ([[慶]][[尙]][[南]][[道]] [[昌]][[原]][[市]] [[鎭]][[海]][[區]] 龍[[院]][[洞]]) * [[공룡로]]([[恐]]龍[[路]]) * [[서울특별시]] [[용산구]] (--[[特]][[別]][[市]] 龍[[山]][[區]])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용두동(서울)|용두동]] *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문동(서울)|용문동]] *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서울)|용산동2,4가]] *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동|청룡동]] * [[서울특별시]] [[용산구]] [[남영동|용산동1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동|용산동6가]]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로동|용산동3,5가]] * [[일본]] [[이바라키현]] 류가사키시 ([[日]][[本]] [[茨]][[城]][[県]] 龍[[ケ]][[崎]][[市]]) * [[중국]] [[헤이룽장성]] ([[黑]]龙[[江]][[省]]) * [[충청남도]] [[계룡시]] ([[忠]][[淸]][[南]][[道]] [[鷄]]龍[[市]]) * [[홍콩]] [[구룡반도]] ([[香]][[港]][[特]][[別]][[行]][[政]][[區]] [[九]]龍[[半]][[島]]) * [[황룡사]] ([[皇]]龍[[寺]]) === [[창작물]] === * [[고룡종]] (古龍種) * [[용환사]] (龍喚士) * [[용계사]] (龍契士) * 용성쌍의록(龍[[城]][[雙]][[義]][[錄]]) * [[푸른 눈의 백룡]] (青眼の白龍) * [[붉은 눈의 흑룡]] (真紅眼の黒龍) * [[정룡]] (征竜) * [[가면라이더 류우키]] (仮面ライダー 龍騎) * [[동방홍룡동 ~ Unconnected Marketeers.]] (東方虹龍洞) * [[이즈나마루 메구무]](飯綱丸 龍) * [[용과 같이 시리즈|용과 같이]] (龍が如く) === 기타 === * [[마용성]]([[麻]]龍[[城]]) * [[己龍]]: 일본의 록밴드 == 철도역 == * [[용마산역]] * [[용산역]] * [[신용산역]] * [[용문역(중앙선)]] * [[회룡역]] * [[구룡역]] * [[용두역]] * [[용답역]] * [[용문역(대전)|용문역(대전 1호선)]] * [[오룡역]] * [[쌍용역]] * [[쌍룡역]] * [[시청·용인대역]] * [[봉천동|청룡동]] * [[서울대입구역]] * [[봉천역]] == 여담 == 龍은 16획으로, 부수 중 두 번째로 획수가 많은 제부수 한자이다. 첫 번째는 17획의 [[龠]](피리 약). 같은 한자를 네 개까지 합쳐서 다른 한자를 만들 수 있는 한자 중 하나이다.[* 다른 하나는 火이다. [[火]], [[炎]], [[焱]], [[燚]]가 존재한다.] {{{+5 龍, [[龖]], [[龘]], [[𪚥]]}}}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4급 한자]][[분류:제부수 한자]][[분류:용]][[분류:일본의 상용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