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준6급 한자]][[분류:다음자/한국어]][[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讀}}}읽을 독, 구절 두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言|{{{#000,#fff 言}}}]], 1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22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6급 한자|{{{#000,#fff 준6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ドク, トク, (ト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よ-む{{{#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dòu, dú{{{#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읽을 독'''', ''''구절 두'''' 주로 '읽다'라는 뜻을 가진 한자. [[유니코드]]에는 U+8B80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YRGWC(卜口土田金)으로 입력한다. == 상세 == 言(말씀 언)+賣(팔 매)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형성자가 맞으나, 이 글자가 '매'가 아니라 '독'으로 읽히는 이유는 간단하다. 사실 이 글자는 言+賣를 합쳐 만든 한자가 아니다. 이는 예서에서의 자형을 비교해 보면 쉽게 구별할 수 있다. ||
<:>[[https://en.wiktionary.org/wiki/%E8%AE%80#/media/File:%E8%AE%80-seal.svg|讀2]]||<:>[[https://en.wiktionary.org/wiki/%E8%B3%A3#/media/File:%E8%B3%A3-seal.svg|賣2]]|| ||讀(읽을 독)의 예서||[[賣]](팔 매)의 예서|| ||<-2>賣(팔 매)의 경우 貝(조개 패)의 위에 그물(网=그물 망)이 드리워져 있는 형태인데, 讀(읽을 독)의 경우 그 자리에 [[囧]]이 들어서 있다.|| 특정 폰트에서는 굳이 예서끼리 비교하지 않고도 인쇄체만으로 알아차릴 수도 있다. 讀의 오른쪽에 들어간 글자는 실제로는 다음과 같이 생겼다. {{{+3 𧶠}}}[* 이 한자의 전서체는 다음과 같다. [[파일:팔 육.png|width=25%]]] 이 글자는 '[[𧶠|팔 육]]'이라고 하는 글자다. 그러나 거의 사장된 글자고, 예서 이후의 서체에서는 賣와 거의 똑같은 모양이기 때문에 혼동된다. 당장 중국의 간체자도 이를 두고 卖(mài=팔 매)를 취해서 读(dú=읽을 독)으로 만들어 놨고, 일본의 경우도 売(ばい=팔 매)를 취해 読(どく=읽을 독)의 형태로 지정하였다. 한국에서 言+𧶠의 자형은 존재하기도 하나 言+賣의 형태도 혼용된다. 續(이을 속), 瀆(도랑 독), 犢(송아지 독), 牘(편지 독) 등의 한자도 이 글자에서 소리를 취했다. == 용례 == === [[단어]] === ==== 독 ==== * [[가독성]]([[可]]讀[[性]]) * 강독([[講]]讀) * [[구독]]([[購]]讀) * 구독료([[購]]讀[[料]]), 구독자([[購]]讀[[者]]) * 난독([[難]]讀) * [[난독증]]([[難]]讀[[症]]) * 낭독([[朗]]讀) * 다독([[多]]讀) * 대독([[代]]讀) * [[독도법]](讀[[圖]][[法]]) * 독법(讀[[法]]) * 독본(讀[[本]]) * [[독서]](讀[[書]]) * 독서가(讀[[書]][[家]]),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 [[독서실]](讀[[書]][[室]]), 독서열(讀[[書]][[熱]]), 독서인(讀[[書]][[人]]), 독서회(讀[[書]][[會]]) * 독송(讀[[誦]]) * [[독순술]](讀[[脣]][[術]]) * [[독심술]](讀[[心]][[術]]) * 독음(讀[[音]]) * [[독자]](讀[[者]]) * 독파(讀[[破]]) * [[독해]](讀[[解]]) * 독해력(讀[[解]][[力]]) * [[독후감]](讀[[後]][[感]]) * 묵독([[默]]讀) * [[속독]]([[速]]讀) * 송독([[誦]]讀) * 숙독([[熟]]讀) * [[오독]]([[誤]]讀) * [[음독]]([[音]]讀) * [[정독]]([[精]]讀) * 통독([[通]]讀) * 판독([[判]]讀) * [[필독]]([[必]]讀) * [[필독서]]([[必]]讀[[書]]) * [[해독]]([[解]]讀) * [[훈독]]([[訓]]讀) ==== 두 ==== * [[구두]]([[句]]讀) * 구두법([[句]]讀[[法]]) * 구두점([[句]]讀[[點]]) * 음두([[音]]讀) * [[이두]]([[吏]]讀) === [[고사성어]]/[[숙어]] === * 남아수독오거서([[男]][[兒]][[須]]讀[[五]][[車]][[書]]) * 독서백편의자현(讀[[書]][[百]][[遍]][[義]][[自]][[見]]) * 독서삼여(讀[[書]][[三]][[餘]]) * 우이독경([[牛]][[耳]]讀[[經]]) * 일일부독서 구중생형극([[一]][[日]][[不]]讀[[書]] [[口]][[中]][[生]][[荊]][[棘]]): 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 입안에 가시가 돋친다 * 주경야독([[晝]][[耕]][[夜]]讀) === [[인명]] === * [[요미우리 니케이]](讀[[賣]] [[日]][[經]]) * [[츠쿠요미 시라베]]([[月]]読 [[調]]) * [[츠키요미 키나코]]([[月]]読 きなこ) === [[창작물]] === * 이두편람([[吏]]讀[[便]][[覽]]) === 기타 === * [[독문]](讀[[文]]) * [[요미우리]](読[[売]])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瀆]](도랑 독) * [[牘]](서찰 독) * [[犢]](송아지 독) * [[贖]](속죄할 속) * [[續]](이을 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