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凜}}}찰 름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冫|{{{#000,#fff 冫}}}]], 13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5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1급 한자|{{{#000,#fff 1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リン}}}}}}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さむ-い, すさ-まじい}}}}}}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lǐ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凜은 ''''찰 름'''' 혹은 ''''늠름할 름''''이라는 [[한자]]로, '차갑다', '의젓하다', '늠름(凜凜)하다' 등의 뜻을 나타낸다. == 상세 == 뜻을 나타내는 [[冫]](얼음 빙)과 소리를 나타내는 [[稟]](여쭐 품, 줄 품)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참고로 '름' 소리를 가진 한자는 稟 자가 발음 요소로 붙는 경우가 많다. [[대한민국]]과 [[일본]]에서 인명용 한자로 사용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주로 여성 이름에 쓰이는데 'OO름'과 같이 끝에 쓰이는 경우가 많다. (예: [[아름]](娥凜)) 보통 '름' 자로 끝나는 이름은 [[순우리말 이름]]인 경우가 많지만, 한자 표기가 호적상으로 존재하는 이름인 경우는 대부분 이 凜을 쓴다고 보면 된다. 인명용 한자로 사용 가능한 또다른 '름' 자로는 [[廩]](곳집 름)이 있다. 원래 凜만 인명용 한자였다가 나중에 廩이 추가되었다. 凜의 이체자인 凛도 허용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에서는 인명용으로 잘 사용하는 반면 중국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으며, 사용례도 한국이나 일본의 인명으로 사용한 단어를 중국식으로 발음하거나 하는 등의 사용 뿐이며, 간혹가다 격식차린 문장체에서 사용되기는 하나 이것도 보통은 더 쉬운 대체단어로 사용되지 해당 한자를 사용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일본에서도 凜과 凛 모두 인명용 한자로 사용할 수 있으나, 주로 凛이 많이 쓰인다. 왼쪽의 변이 삼수변이 아닌 이수변이라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삼수변을 쓰면 [[澟]](서늘할 름)이 된다. 참고로 이 문서는 '름'을 치고 한자 변환하여 들어와야 한번에 들어올 수 있다. '늠'으로 변환하면 호환용 한자 凜(U+F954)이 뜬다. 이체자의 유니코드 및 창힐수입법은 아래와 같다. * 凛 (유니코드 51DB, IMYWF(戈一卜田火)) == 용례 == === [[단어]] === * 늠름(凜凜) === 인명, 지명, 캐릭터명, 작품명 등 === * [[리오(도쿄 구울)|리오]](凛[[央]]): [[도쿄 구울]]의 등장인물 * [[에스토크 V1|린펑]](凛風) * [[마츠오카 린]](松岡 凛) * [[무라카미 린]](村上 凛) * [[사쿠마 리츠]](朔間 凛月) * [[시라키인 리리치요]](白鬼院 凜々蝶) * [[시모츠키 린]](霜月 凛) * [[시부야 린]](渋谷 凛) * [[사랑×친애 그녀#s-2.1.5| 시죠 린카]](四條 凛香) * [[오오바 리사키]]([[大]][[庭]] 凜[[咲]]) * [[오오야마 린]](大山 凛) * [[야마토 린코]](大和 凛子) * [[코바야카와 린코]](小早川凛子) * [[쿠죠 린]](九条 凛) * [[키자키 린타로]](木崎 凛太郎) * [[토오사카 린]](遠坂 凛) * [[호시조라 린]](星空 凛) * 'OO름' 인명 중 한자 이름인 경우의 대부분 * [[남다름]](南多凜) === 그 밖에 === * [[凛として咲く花の如く]] * [[린토시테시구레]] * [[凛(태고의 달인)]] === [[일본어]] === ==== [[훈독]] ==== * 凛(さむ)い: 춥다.[* 보통은 [[寒]](찰 한)을 써서 寒い로 쓰며 凛으로는 거의 쓰지 않는다.] * 凛(すさ)まじい: 무섭다, 무시무시하다. * 凛々(りり)しい: 늠름(凜凜)하다, 씩씩하다. == 유의자 == * [[凉]](서늘할 량) * [[冷]](찰 냉, 랭) * [[凄]](찰 처) * [[寒]](찰 한)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澟]](서늘할 름) * [[懍]](위태할 름) [[분류:1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