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淚}}}눈물 루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水|{{{#000,#fff 水}}}]], 8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3급 한자|{{{#000,#fff 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戶의 위가 一자고 점 하나가 빠져서 [[犬]](개 견) 대신 [[大]](큰 대)를 쓴다.]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ルイ{{{#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なみだ{{{#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lèi{{{#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淚는 ''''눈물 루''''라는 [[한자]]로, '[[눈물]]'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6DDA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水竹尸大(EHSK)로 입력한다. [[水]](물 수)와 [[戾]](어그러질 려)가 합쳐진 [[회의자]]이다. 戾는 문 안에 개가 갇혀 있는 모습을 그린 것인데, 삼수변이 붙은 淚는 개가 밖으로 나가기 위해 발버둥치며 운다는 뜻이다. [[이체자]]로는 㴃(U+3D03), [[泪]](U+6CEA)가 있다. == 용례 == === [[단어]] === * 감루([[感]]淚) * 낙루([[落]]淚) * 누관(淚[[管]]) * 누액(淚[[液]]): [[눈물]] * 별루([[別]]淚) * 수루([[垂]]淚) * 용루([[龍]]淚): [[왕]]의 눈물[* 왕족의 눈물은 안수([[眼]][[水]])라고 한다.] * 최루([[催]]淚) * [[최루탄]]([[催]]淚[[彈]]) * 혈루([[血]]淚) === [[인명]] === * [[모치다 루이]]([[持]][[田]] 涙) * [[사텐 루이코]]([[佐]][[天]] 涙[[子]]) === [[창작물]] === * [[혈의 누]](血의 淚) * [[涙×]] * [[血、汗、涙]] * [[Say Good-Bye 涙]] * [[涙をみせないで]] * [[飾りじゃないのよ涙は]]([[장식이 아니야 눈물은]]) === [[일본어]] === [[신자체]]에서는 [[犬]](개 견)이 아닌 [[大]](큰 대)를 쓰므로 주의. ==== [[훈독]] ==== * 涙(なみだ): 눈물. [[초밥]]집에서는 [[와사비]]를 뜻하는 말로도 쓰는데, 와사비가 눈물이 날 정도로 매워서다(...). ==== [[음독#s-1]] ==== ルイ. * 催涙弾(さいるいだん): [[최루탄]] == 유의자 == * [[涕]](눈물 체) * [[𠗍]](눈물 피)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捩]](비틀 렬) * [[戾]](어그러질 려) == 기타 == 드라마 루갈의 루갈은 이 눈물 루와 마를 갈 한자로 만들어진 창작어 이다. 뜻은 눈물이 마르다. [[분류: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일본의 상용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