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JR 동일본의 철도 노선)] ||<-2><)>{{{#!wiki style="margin: 0px -5px" [[JR 동일본|[[파일:JRE_Wlogo.svg|height=40&align=left]]]]}}}{{{#!wiki style="padding-top: 10px" [[JR 동일본|{{{#ffffff JR 동일본}}}]]}}}|| ||<-2> '''{{{+1 {{{#db2027 [ruby(品鶴線, ruby=ひんかくせん)]}}}}}}'''[br]{{{#db2027 Hinkaku Line | 힌카쿠선}}} || ||<-2> [[파일:external/24.media.tumblr.com/4sCKwDCJXmonfxne4VL2OwTYo1_500.jpg|width=100%]] ---- 특급 '[[나리타 익스프레스]]' || ||<-2> '''노선 정보''' || || '''분류''' ||화물선, 지선, 연락선 || || '''기점''' ||[[시나가와역]] || || '''종점''' ||[[츠루미역]] || || '''역 수''' ||6 (신호장 포함) || || '''개업일''' ||[[1929년]] [[8월 21일]] || || '''소유자''' ||[[JR 동일본|[[파일:JR 동일본 로고.svg|width=220]][br]{{{#008900,#76ff76 JR 동일본}}}]] || || '''운영자''' ||[[JR 동일본|[[파일:JR 동일본 로고.svg|width=220]][br]{{{#008900,#76ff76 JR 동일본}}}]][br][[JR 화물|[[파일:JR 화물 로고.svg|width=200]][br]{{{#2d86bd,#419ad2 JR 화물}}}]] || ||<-2>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17.8km || || '''궤간''' ||1067mm || || '''선로구성''' ||복선 || || '''사용전류'''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 || '''폐색방식''' ||자동폐색식 || || '''신호장비''' ||ATS-P || || '''최고속도''' ||120km/h || || [[파일:attachment/2014030308a.png|width=100%]] || || {{{#ffffff 실질적인 힌카쿠선 노선도}}} || || [youtube(nkp8cCsbmpw)] || || {{{#ffffff 요코스카선 힌카쿠선 구간 주행영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도쿄도]] [[미나토구(도쿄)|미나토구]]의 [[시나가와역]]에서부터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츠루미구(요코하마)|츠루미구]]의 [[츠루미역]]을 잇는 [[도카이도 본선]]의 지선 철도이다. 노선명은 시나가와('''品'''川)와 츠루미('''鶴'''見)의 앞글자를 따서 명명된 것. 힌카쿠선이라는 이름은 통칭이며, 서류상으로는 [[도카이도 본선]]의 이름없는 지선이다. 안내방송이나 표지판 등에서는 [[요코스카선]]으로 안내된다. == 노선의 역사 == 당초엔 화물열차를 운행시키기 위해 건설했던 노선으로, 지금도 [[도카이도 본선]]의 우회선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1980년대 들어 [[요코스카선]] 열차를 [[도카이도선]]과 분리해내는, 이른바 "SM 분리"[* S는 [[요코스카선]]의 열차, M은 [[도카이도선]]의 열차를 나타내는 기호이다. 다만 도카이도 본선의 경우, 주로 E를 할당받으며, M은 단순히 도카이도선 뿐만 아니라 일본 전국구 회송, 시운전, 임시·단체열차를 비롯하여 지방교통선 및 근교지역의 간선에서 운행하는 전동차 편성 열차에 범용적으로 할당되는 기호이다.]를 위해 여객화되어, 현재는 대부분 [[요코스카선]]과 [[쇼난신주쿠라인]], [[소테츠·JR직통선]] 등의 열차의 운행 경로로 사용되고 있다. [[도카이도 신칸센]] 건설 당시 수도권의 살인적인 땅값때문에 이 힌카쿠선 선로 부지를 이용하여 노선을 건설하기도 하였다.[* 그래서인지 일부 철덕들은 이 노선도 [[사이쿄선]]처럼 지어진것 아니냐는 질문이 많았지만, 힌카쿠선 개통은 1933년, 도카이도 신칸센 개통은 1964년이다. 헷갈리지 말것.] == 운행 계통 == 이 구간만을 운행하는 열차는 없으며, [[소부선]]-[[요코스카선]] 계통의 열차와 [[쇼난신주쿠라인]]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요코하마역]]을 출발한 열차는 츠루미역에서 [[도카이도 본선]]으로부터 분기되어, 신카와사키(新川崎)역 방면의 선로로 진입하며, [[시나가와역]]에서 다시 도카이도 본선 선로와 만난다. [[쇼난신주쿠라인]]의 열차는 헤비쿠보 신호장(蛇窪信号場)에서 [[오사키 지선]]으로 분기되어 [[야마노테 화물선]] 오사키(大崎)역 방면으로 들어간다. 당초 화물선으로 계획된 노선이었기 때문에 화물 열차가 운행할 때에는 별로 상관이 없었지만, 여객 열차의 비중이 늘고 운행 횟수도 많아진 지금 시점에서는 이 [[요코스카선#s-4.1|헤비쿠보 신호장]]이 굉장한 지장을 주고 있는 상황. 평면교차로 인하여 열차 운행 횟수에 제한이 걸리며, 한 쪽의 지연이 다른 쪽으로 옮겨가는 등 각종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11월 30일 소테츠와 사이쿄선의 직결이 확정됨에따라 니시야~오사키간 힌카쿠선을 달리는 쇼난신주쿠라인의 계통을 공유하여 운행한다. 이외에도 신주쿠에서 출발하는 [[E257계 전동차]]와 [[E261계 전동차]]를 이용한 [[오도리코]] 계열의 특급열차들도 이 선을 경유하여 달린다. 또한 이거와는 별개로 부정기 단체나 임시열차편으로 [[E655계 전동차]] 및 [[E653계 전동차]]도 드물게 운행하는 편이다. == 역 목록 == * 전반적인 열차 운용및 운행노선에 대해서는 [[쇼난신주쿠라인]], [[요코스카선]], [[소테츠·JR직통선]] 참조바람. 특급열차는 쇼난신주쿠라인 참조바람. * 연결노선은 [[JR 동일본]]의 재래선만 기재. * 니시오이~무사시코스기 구간은 [[도쿄도]] [[오타구]]를 지나가나 역이 없다. * 메구로가와신호장과 헤비쿠보신호장은 현재 [[오사키역]](大崎駅)의 구내에 포함되어있어, 정식 명칭으로써는 사용되지 않는다. * 시나가와~니시오이 구간 통과할때 서류상 오사키역 구내로 명시되어있는 메구로가와 신호장, 헤비쿠보 신호장을 경유하지만 운임계산시 오사키역은 경유하지 않은 걸로 간주된다. * 쇼난신주쿠라인 열차는 야마노테선 오사키~오사키지선~헤비쿠보신호장~니시오이를 경유하지만 운임계산상은 오사키~시나가와~니시오이를 경유한 걸로 간주된다. 이 경우도 경로특정구간이 적용된다. * 츠루미역은 실질적인 힌카쿠선과 도카이도본선의 합류지점이나 도카이도본선의 각역정차격인 [[케이힌토호쿠선]]의 승강장만 있어 승하차가 불가능하며, [[요코하마역]]까지 가서 갈아타야 한다. 따라서 신카와사키나 니시오이 등에서[* 무사시코스기역은 난부선 이용으로 간주.] 츠루미를 통해 카와사키 등으로 갈 때에는 어쩔 수 없이 츠루미~요코하마를 왕복해야 하지만, 이 중복승차에 대해서는 운임을 부과하지 않고 츠루미에서 바로 케이힌토호쿠선을 갈아타는 것으로 처리하여 구간외 승차가 인정된다. * 시나가와 이북과 츠루미 이남사이를 힌카쿠선을 이용하는 경우 카와사키 방향 본선과 같은 영업거리로 계산 ([[경로특정구간]] 적용) ||<-6> [[JR 동일본|{{{#ffffff '''JR 동일본'''}}}]] {{{#ffffff '''도카이도 본선 지선(힌카쿠선)'''}}} || || {{{#ffffff 역명}}} || {{{#ffffff km}}} || {{{#ffffff 여객}}} || {{{#ffffff 환승노선}}} ||<-2> {{{#ffffff 소재지}}} || || [[시나가와역|시나가와]][br](品川) || 0.0 || ● ||[[도카이도 본선]], [[야마노테선]] ||<|4> 도[br]쿄[br]도 || 미나토구 || || 구 메구로가와 신호장[br](旧 目黒川信号場) || 1.3 || ||[[야마노테 화물선]] ||<|3> 시나가와구 || || 구 헤비쿠보 신호장[br](旧 蛇窪信号場) || 3.1 || ||[[오사키 지선]] || || [[니시오이역|니시오이]][br](西大井) || 3.6 || ● || || || [[무사시코스기역|무사시코스기]][br](武蔵小杉) || 10.0 || ● ||[[난부선]][* 무사시코스기 직전에 난부선이 힌카쿠선 선로 위를 지나다니지만 실질적인 선로로 연결되어 있지는 않다. 때문에 난부선을 가려면 신츠루미 신호장에서 싯테지선 방면 화물지선을 이용해야한다.] ||<|4> 카[br]나[br]가[br]와[br]현 || 카와사키시[br]나카하라구 || || [[신카와사키역|신카와사키]][br](新川崎) || 12.7 || ● || ||<|2> 카와사키시[br]사이와이구 || || 신츠루미 신호장[br](新鶴見信号場) || 13.9 || ||[[무사시노선]], 난부선 화물지선 || || [[츠루미역|츠루미]][br](鶴見) || 17.8 || △[* 여객영업은 하나 힌카쿠선 선로에 승강장이 있는게 아닌 도카이도 본선의 [[케이힌토호쿠선]]에만 승강장이 있다.] ||도카이도 본선 (본선, [[도카이도 화물선]], [[타카시마선]]), [[츠루미선]][* 이 역시 츠루미선과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고 형식상으로만 만난다.] || 요코하마시[br]츠루미구 || [[분류:일본의 철도 노선]][[분류:1929년 개업한 철도 노선]][[분류:힌카쿠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