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하마속]] [[분류:고생물]] ||<-2><#F60> '''{{{#FFF {{{+1 히포포타무스 고르곱스}}}(고르곱스하마)[br]Hippopotamus gorgop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ippopotamus_gorgops.jpg|width=100%]]}}} || ||<#F93> '''학명''' || ''' ''Hippopotamus gorgops'' '''[br]Dietrich, 1928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포유류|포유강]]^^Mammali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우제목]]^^Artiodactyl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아목'''}}}]] ||경하마형아목^^Whippomorph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하마과^^Hippopotamid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하마속^^''Hippopotamus''^^||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종'''}}}]] ||†'''히포포타무스 고르곱스^^''H. gorgops''^^'''||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고르곱스하마.jpg|width=100%]]}}} || || '''복원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고르곤.jpg|width=100%]]}}} || || '''히포포타무스 고르곱스/고르곱스하마''' || 신생대 [[플리오세]] 시대에 등장하여 [[플라이스토세]] 시대까지 번성하다 멸종한 [[하마]]의 일종이다. 플리오세 시대에는 아프리카에서 번성하였으나, 점차 서식지를 늘려가기 시작하더니 플라이스토세 초기에는 유럽까지 번성하였다. == 특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다스플하마.jpg|width=100%]]}}} || || '''다스플레토사우루스와의 크기비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하마종크기.png|width=100%]]}}} || || '''하마과 생물들과의 크기비교''' [* 왼쪽부터 고르곱스하마, [[히포포타무스 안티쿠스|유럽하마]], 아르카이오포타무스, 헥사프로토돈, 키프로스난쟁이하마, [[하마]], [[피그미하마]]다.] || 현생 하마와 비교해 굉장히 큰 덩치를 지녔다.[* 최대 3~4t까지 나갔다고 한다.] 위 사진처럼 중형 티라노사우루스과 수각류인 [[다스플레토사우루스]]와 크기가 비슷할 정도로 큰데, 이정도면 현생 [[아시아코끼리]]와 맞먹는 수준이다. 현생 하마가 매우 포악한 동물인만큼 이 하마도 성질이 포악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동시대에 살던 대형 포식자로 [[마카이로두스]], [[호모테리움]], [[서뱌너슨악어]]가 있었으나 이들보다 거대해서 위협적인 천적으로 보기엔 난이도가 낮았을 것으로 보인다. 그나마 위협적인 존재로 고르곱스하마보다 3배가량 더 큰 [[데이노테리움]]과 스테고테트라벨로돈이 있는데 아마 현생 하마와 [[아프리카코끼리]]의 관계와 유사했을 것이다. 이외에도 하마 특유의 두개골 위에 돌출된 눈동자 모양의 궤도를 가지고 있어서 물 속에 있는 동안 주변을 더 쉽게 볼 수 있게 해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 대중 매체 == [[최강 동물왕: 멸종동물편]]에서 등장하여 [[암불로케투스]], 프로콥토돈을 이기지만 나중에 하필 [[파라케라테리움]]이랑 붙는 바람에 익사하여 패배한다. [[Ancestors: The Humankind Odyssey]]라는 게임에서도 등장하여, 사실상 삼림지역에서 최강자로 묘사된다. 그래서 사냥 난이도가 네우마이리 [[흰코뿔소]]와 스테고테트라벨로돈[* 마이오세에 살았던 코끼리의 일종.] 못지않게 상당히 어려운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