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653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히어로 키즈, 일어판명칭=ヒーロー・キッズ, 영어판명칭=Hero Kid, 속성=땅, 레벨=2, 공격력=300, 수비력=600, 종족=전사족, 효과1=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 덱에서 "히어로 키즈"를 임의의 매수만큼 특수 소환할 수 있다. )] [[유우키 쥬다이]]가 [[엘리멘틀 히어로]]와 함께 사용한 카드. 과거에는 [[거대쥐(유희왕)|거대쥐]], [[엔젤 리프트]]로 소환하는게 편하며 전사족임을 살려 [[황야의 여전사]]나 [[선봉 대장]], [[트루스 리인포스]]를 이용했었다. 대량 전개에 능하다. 하지만 패에 들어오면 곤란하므로 당시에는 [[고블린의 운영 실력]]이나 [[요술망치]], [[리로드(유희왕)|리로드]]를 준비했었다. 또한 "~때"의 효과여서 체인 형성 후 특소하면 효과가 발동하지 않으니 주의할 것. 보통 대량전개를 한다면 [[지옥의 폭주소환]]으로 간단히 할 수 있다. 그러나 상대에게 몬스터를 주고싶지 않다거나 패 소모를 줄이고 싶다면 이 카드 쪽이 좋다. 몬스터 3마리의 제물이 필요한 [[길포드 더 라이트닝]], [[모이스처 성인]], [[The tripping MERCURY]], [[신수왕 바르바로스]], [[삼환신]], [[삼사신(유희왕)|삼사신]], [[데스티니 히어로 블루-D]]를 쓴다면 [[종언의 화염]]+[[데블의 성역]], [[토치 골렘]], [[나이트메어 데몬즈]], [[환상의 총사]], [[방해꾼 트리오]], [[리바이벌 기프트]], [[메타보 서커]]처럼 사용해 봐도 좋다. [[엑시즈 소환]]의 등장 후 상대적으로 랭크 2 엑시즈 몬스터를 간단하게 소환할 수 있는 이 카드의 가치가 올랐다. 원작에서는 쥬다이가 벽으로 쓰곤 했다. 가끔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같은 상급 몬스터의 제물이 되기도 했고, 미러클 키즈라는 서포트 카드가 존재한다. 게다가 버블맨 네오와 클레이 가드맨의 융합소재였으며 또한 [[얕은 무덤]]으로 부활했는데도 효과가 발동하기도 했지만 실제로는 뒷면 수비표시로 소환되기 때문에 불가능하다. 서포트 카드를 통해 엘리멘틀 히어로와 관련된 운용이 가능한 카드라 특히 오해하기 쉬운데, 이 카드는 일본어판에서 이름의 "히어로" 부분을 "HERO"라고 쓰지 않기 때문에 '''룰상 "[[히어로(유희왕)|히어로]]" 카드로 인정되지 않는다.'''[[https://www.yugioh.co.kr/board/board_info.php?b_category=important&b_no=146|#]] 따라서 [[엑스트라 히어로 크로스 가이]] 이외의 엑스트라 히어로들의 링크 소재가 될 수 없다. 크로스 가이는 히어로만 특수소환할 수 있는 맹세효과가 있기 때문에 결국 이 카드가 히어로의 링크 전개를 도울 일은 없는 셈이다. 신 마스터 룰이 적용되고 [[성기사(유희왕)|성기사의 추상 이졸데]]를 활용해 장착 마법 2장을 묘지로 보내고 이 카드를 꺼내 전개하는 방법을 사용해 FTK나 날빌을 세우는 등 위상이 갑자기 올랐다. 마스터 듀얼에서는 23년 9월 [[도깨비 개구리]]와 제트가 OCG에서와 동일하게 제한을 먹으면서 [[스프라이트(유희왕)|스프라이트]] 덱이 채용하기 시작했다. == 관련 카드 == === 키즈 가드 ===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KidGuard-EN-Anime-GX.png|width=300]] || [[파일:card100122910_1.jpg]] || ||<:> 원작 ||<:> OCG ||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키즈 가드, 일어판명칭=キッズ・ガード, 영어판명칭=Kid Guard, 효과1=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히어로 키즈" 1장을 제물로 바친다. 상대 몬스터의 공격을 무효로 하고\, 자신의 덱에서 "엘리멘틀 히어로"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 히어로 키즈를 필요로 하는 카드다. 하지만 소환 자체가 어려울 뿐더러, 서치에서는 [[엘리멘틀 히어로 에어맨]]과 [[E-이멀전시 콜]] 쪽이 쓰기 더 편하다. 다행히도 레벨 3 이하인지라 서포트하기 쉬워서 [[엘리멘틀 히어로 에지맨]]이나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의 서포트는 가능하다. 원작에서는 쥬다이 VS 에드의 리턴매치에서 [[네오 스페이시언 플레어 스캐럽]]을 지키고,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를 패에 넣어서 [[엘리멘틀 히어로 플레어 네오스]]로 전개했다. === 미러클 키즈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710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미러클 키즈, 일어판명칭=ミラクル・キッズ, 영어판명칭=Miracle Kids, 효과1=엔드 페이즈까지 상대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은\,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히어로 키즈"의 장수 × 400 포인트 내려간다. )] 최대 1200까지 공격력을 내릴 수 있지만, [[수축(유희왕)|수축]]보다도 낮은 성능으로 사용 가치가 없다. 원작에서는 [[만죠메 쥰]]의 [[암드 드래곤 LV7]]의 공격력을 1200 내려 프레임 윙맨으로 파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 관련 문서 == * [[엘리멘틀 히어로]] * [[이블 히어로#이블 히어로 헬 블러드|이블 히어로 헬 블러드]] 이 카드가 타락하면서 된 몬스터. [[분류:유희왕/OCG/전사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