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e스포츠 경기장)] [목차] [clearfix] == 개요 == [[MBC GAME]]의 전용 공개 스튜디오 겸 [[e스포츠]] 스타디움. 이곳을 사용하기 전에는 여의도에 위치한 MBC 경영센터[* 구 동서증권빌딩, 현 심팩 사옥. 구 MBC 여의도 본사(현 브라이튼 여의도) 건너편에 있다.]에서 방송을 진행했다. 히어로 센터는 [[COEX|코엑스]] 시기(세중게임월드, [[2003년]] ~ [[2006년]], 코엑스 내부 위치 이전 [[2006년]] ~ [[2008년]])와 ~~암흑시대인~~ LOOX 시기([[2008년]] ~ [[2011년]])으로 나뉜다. == MBC 경영센터 시절 == [[파일:external/game.donga.com/gambc20020416_4.jpg]] [[MBC GAME]] 개국부터 사용했던 스튜디오. 이때는 채널 이름부터가 gembc(겜비씨, 게임 + MBC)였던 시절이다. 일종의 셋방살이처럼 본사 경영센터에 위치한 A/B 스튜디오에서 게임이 진행되었다. 이런 기형적인 형태가 된 것은 당시 gembc가 [[MBC PLUS]]에 정식으로 편입되기 전이라 제대로 된 지원을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스튜디오 크기를 보면 그야말로 열악하다고 밖에 할 수 없는 수준이었지만, 당시 방송이 가능한 곳이 이곳 밖에 없었다. 버라이어티 프로그램도 이곳에서 테이블만 치우고 진행했다. 관중들은 직관을 가도 수용 인원이 십수 명에 불과했기 때문에 [[LCD]] [[모니터]]도 아닌 [[브라운관]] [[TV]](!!!)로 화면을 봐야 했던 사실상 관람이 불가능한 구조였는데, [[임요환]]과 [[홍진호]], [[이윤열]], [[박정석]] 등의 인기로 e스포츠 팬층이 늘어나자 직관이 가능한 스튜디오의 필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특히 개국 초기부터 코엑스에서 [[메가 웹 스테이션]]이라는 오픈 스튜디오를 운영했던 [[온게임넷]]은 관중들이 직관을 찾아오면서 흥행에 재미를 많이 보고 있었던 시기였다. 그래서 2002년경을 기점으로 이 스튜디오 옆에 TV가 설치된 별도의 방을 만들어서 관객들이 관람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두었고, 일반 예능 프로처럼 방청객석 형태로 카메라 뒤에 플라스틱 의자를 설치한 관중석을 운영했다. == MBC 세중게임월드 시절 == [[파일:external/game.donga.com/xbox20031117.jpg]] [[파일:external/game.donga.com/xbox20030426_04.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060622MSL-10map-shsechs.png]] 2003년 오픈. 메가 스튜디오와 비슷하게 관람객들이 앉아서 시청할 수 있었으며 뒤쪽에는 게임 전시회관이 설치되어 각종 게임을 즐길 수 있었다.[* 당시 [[마이크로소프트]]의 콘솔 게임이 [[Xbox]]의 사업을 담당하던 세중게임과 연관이 있었다. 그래서 Xbox 런칭 초기 MBC GAME을 통해서 홍보 프로그램이나 리그가 많이 방영되었다. 다만 세중게임은 2004년 말에 Xbox 유통에서 철수하였고, 지금처럼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직접 발매하고 있다.] 메가 스튜디오와 비슷한 위치에 있었으며, 조금만 돌아가면 바로 온게임넷과 MBC GAME의 스튜디오를 넘나들 수 있어서 관람객이나 선수들 입장에서는 경기를 치르러 오거나 직관하는 것이 편했다고 한다. 초기에는 칸막이가 없는 개방형이었다가 귀맵 등의 각종 논란이 발생하자 아크릴판으로 임시 방음부스를 설치했지만 별다른 효과는 없었다. 이 당시 세중게임월드 바로 뒤에는 [[노래방]]이 있었는데 중계석이 위치한 방과 벽 하나를 두고 붙어있는 구조였기에 방음이 안 되어 방송 중에 노래방 소리가 전파를 타버리는 웃지 못할 상황이 발생했고 이는 세중게임월드를 떠날 때까지도 고쳐지지 않았다. [[MSL]] 출범과 함께 사용한 곳이었고, 벽으로 막혀 있는 구조였던 [[온게임넷]]의 [[메가 웹 스테이션]]과 달리 완전 개방형 스튜디오라 좀 더 탁 트인 느낌을 주기도 했다. 격차가 존재하기는 했지만, 그래도 이 스튜디오 사용을 시작으로 MBC GAME이 [[MSL]], [[팀리그#s-2]], 프라임리그 등을 런칭하여 인기를 끌어올리던 시기였다.[* 팀리그는 경영지원 센터 시절부터 시작된 리그이긴 했지만 리즈시절은 세중게임월드 시기로 보는 팬들이 많다.] 이곳은 [[Stout MSL]]부터 [[프링글스 MSL 시즌1]]까지 사용되었다. 구체적으로 이곳이 사용된 마지막 대회는 2006 8th MBC MOVIES배 MSL 서바이버리그. 또한 이 시기에는 [[메가 웹 스테이션]]도 COEX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COEX는 단숨에 2000년대 초반 실내 e스포츠의 메카로 떠오르게 되었다. == [[COEX]] 히어로 센터 == [[파일:external/pds3.egloos.com/c0072455_04103873.jpg]] [[파일:external/pds2.egloos.com/c0072455_04104615.jpg]] [[삼성동(강남구)|삼성동]] [[코엑스몰]]에 위치했던 시기. 당시 세중게임월드를 사용하고 있던 [[MBC GAME]]은 계약이 만료되자 건너편에 있던 빈 점포 공간을 임대, 개조해 스튜디오로 사용했다. 지하철 연결 통로와 코엑스 본관 연결 통로와 가까웠기 때문에 당시 [[코엑스]] 깊숙히 있던 [[온게임넷]]의 메가 스튜디오보다 접근성이 좋았다. 공교롭게도 온게임넷도 동시기 개최된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2]]부터 [[용산 e-Sports 스타디움]]이라는 새로운 경기장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이곳은 [[프링글스 MSL 시즌2]]부터 [[곰TV MSL 시즌4]]까지 사용했다. 하지만 코엑스 히어로 센터에는 결정적인 가장 큰 문제가 하나 있었는데, 바로 경기장이 좁다는 것. 관중석도 좁아서 관중 수용 인원도 적었고, 메인 무대까지도 좁았다. MSL [[조지명식]]에서는 모든 선수를 무대 안에 수용하지도 못해 벤치에 나눠 앉혀야 했을 지경. 동시기에 개장했던 온게임넷의 [[용산 e-Sports 스타디움]]은 무대도 넓고, 관객석도 넓은 편이라 히어로 센터는 평가절하를 많이 당했다. 완전 오픈형이었던 세중게임월드를 그리워 하는 사람들이 있었을 정도. 이곳에서의 공식전 마지막 경기는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삼성전자 칸]] vs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SK텔레콤 T1]]의 [[송병구]]와 [[고인규]]의 [[https://www.youtube.com/watch?v=gsphHkJWnyM|경기]]였다. 결과는 송병구의 승리. 또한 코엑스 히어로 센터 시기부터 역대 [[MSL]] 우승자들의 사진과 사인을 전시해둔 [[http://pds8.egloos.com/pds/200804/22/47/f0006347_480de5fd6b697.jpg|MSL Hall of Fame]]도 전시하였다.[* [[MSL]]의 전신이 되는 [[2002 KPGA 투어 1차 리그]]의 우승자인 [[임요환]]부터 올라와 있었다.] 또한 이는 룩스 히어로 센터 때에도 유지되었다. 코엑스몰이 2014년에 전면 리모델링된 관계로 현재는 흔적이 남아 있지 않다. 이는 위에서 말한 세중게임월드도 마찬가지. 이후 2017년에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가 출시되어 아프리카TV에서 방영한 리플레이 프로그램인 [[https://www.youtube.com/watch?v=evBgrSYXsnQ|스타 리마스터 리콜 2화]]에서 서연지가 옛 COEX 히어로 센터를 방문하였다. 30분 1초부터 볼 수 있다. == LOOX 히어로 센터 == [[파일:/pds/201011/07/55/d0035755_4cd5a1bb9b7e2.jpg]] [[파일:external/www.newscj.com/88568_69963_126.jpg]] [[MBC GAME]]은 [[코엑스]]와의 계약이 만료되고 본사 사옥이 새로 들어서는 [[상암 IT 컴플렉스 e스포츠 전용 경기장]]으로 옮길 계획을 세우기도 했지만 MBC 본사 신사옥을 비롯한 [[디지털미디어시티]]의 완공이 늦어지면서 결국 [[문래동]] LOOX로 이전하게 됐다. 다만 이 선택은 현재까지도 [[MBC GAME]]의 최악의 선택으로 회자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교통편이 그다지 좋지 못하고[* [[문래역]] 4번 출구로 나가서 약 5분 정도 걸어야 한다. 뭔가 애매한 거리.] 인근 공업단지[* 히어로 센터가 있던 LOOX도 본래 [[방림(기업)|방림]] 공장이 있던 곳이다.]의 상업지구 재개발이 무산되는 바람에 유동인구마저 적어져 관중수가 엄청나게 급감해버렸기 때문이다. 관중들이 오고 싶어도 식사하기도 힘든 곳에 오고 싶을 리가...[* 그나마 다행인 것은 5분 거리에 영등포 [[경방 타임스퀘어|타임 스퀘어]]가 개장 1년 후에 생겼다는 것이었다. 식당은 그쪽에 많으니 식사는 그쪽에서 해결할 수 있었다.][* 후술할 스타 리마스터 리콜을 봐도 알겠지만, 지금도 LOOX는 여전히 공실이 많다.] 이곳은 [[Arena MSL 2008]]부터 [[ABC마트 MSL]]까지 사용되었다. 경기장 바로 옆에는 [[MBC GAME HERO]]와 [[STX SouL]]의 연습실이 다닥다닥 붙어 있었던 등 룩스 히어로 센터 자체도 그리 좋지는 않았다. 물론 코엑스 시절보다 훨씬 공간이 넓어졌지만, 그래도 [[용산 e-Sports 스타디움]]에 비하면 다소 작았다. 또 [[타임머신]]이 설치돼 있긴 했지만, 관중석과 무대가 워낙 가까운 탓에 여러 차례 [[귀맵]] 논란에 시달리기도 했다. 게다가 LOOX의 터가 [[풍수지리]]적으로 [[영 좋지 않은]] 모양인지 이사를 가자마자 줄줄이 악재가 터지면서 '''[[MSL]]의 [[막장]] 행보라는 [[흑역사]]가 시작되었다'''. * [[Arena MSL 2008]] [[박지수(프로게이머)|박지수]]의 '''[[정ㅋ벅ㅋ]]'''. * [[Clubday Online MSL 2008]] [[김동준(게임 해설가)|김동준]] 해설과의 불편한 뒷마무리. 그리고 이때부터 3연속 [[타게임 스폰서]]의 전설이 시작되었다.[* 심지어 클럽데이 온라인은 결승전이 끝난 직후 2009년 2월 28일에 서비스를 종료하였다!] * [[로스트사가 MSL 2009]] 후에 [[스타크래프트 승부조작 사건]]에 가담한 ~~[[박찬수]]~~의 우승으로 기록이 [[흑역사]].[* [[ABC마트 MSL]] 엔딩에서 ~~[[마재윤]]~~의 우승 기록과 함께 삭제되었다.] * [[아발론 MSL 2009]] 리그방식 개악으로 관중수 급감, 희대의 [[저저전]] 결승으로 인한 흥행 대 실패, [[강민]] 해설의 석연찮은 이적. * '''[[NATE MSL]]''' '''[[1.23 정전사건]]''' 발생.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공교롭게도 그 사건이 일어난 곳은 이미 사건이 터지기 몇 년 전에 최악의 [[방송사고]] 중 하나인 [[생방송 음악캠프 알몸노출 사건]]이 터졌던 곳이기도 하다.] * [[하나대투증권 MSL]], [[빅파일 MSL]] [[하나대투증권 MSL]]은 바로 전 시즌의 대형사고로 인해 32강 4회차 때 스폰서가 잡히기 전까지 2010 MSL 시즌 1이란 이름을 썼고, [[빅파일 MSL]]은 [[웹하드]] 스폰서 때문에 시작 전부터 여기저기서 말이 많은 데다, 리그 후반부에는 [[그래텍]]과의 [[스타크래프트 방송권 분쟁|협상 실패]]로 인해 불법 리그라는 오명을 쓰고 진행해야 했다. * '''[[피디팝 MSL]]''' '''4강 [[이제동|4]][[신동원|저]][[김명운|그]][[차명환|조]]'''. 역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ABC마트 MSL]]''' [[MBC GAME]] 관계자들을 경악시킬 만한 32강 [[DSL]] 사건. 거기다 이것이 '''마지막 [[MSL]]'''이 되었다.[* 이후 [[2011 MSL 시즌 2]] 서바이버 토너먼트가 열리기는 했으나, 본선까지는 못 가고 결국 완전히 폐지되었다.] 게다가 설상가상으로 그나마 있던 유동인구는 [[문래역]] 바로 앞에 있는 [[홈플러스 영등포점]]이 다 쓸어가버렸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임대기간이 한참 남은 [[2009년]] 말에 [[동대문 패션타운 관광특구|동대문]][* [[워크래프트 3]] 팬들에게는 [[hello apM WEG]] 결승전이 열렸던 곳으로 알려졌다.]으로 이전한다는 소문까지 나왔었다.[* 후에 [[곰TV]]도 목동에서 동대문의 굿모닝시티로 경기장을 이전하려다 무산됐다는 말이 있는 걸로 봐서는 MBC GAME도 이와 비슷한 시도를 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동대문에는 [[VSPN]]의 [[V.SPACE]]가 들어왔다.] 지금까지 전례를 봐서는 [[2010년]] 말까지 임대 계약이 된 듯한데, 그때까지는 [[MBC GAME]]에게는 고난의 시기가 될 것으로 보였고 [[스타크래프트 저작권 분쟁|결국 터질 게 터졌다]]. 진짜 터가 안 좋긴 안 좋은 듯. 특히 [[MBC GAME]]의 악재란 악재는 LOOX로 오고 나서 터지기 시작했다. ~~하루 빨리 다른 곳으로 이사를 가는 게 좋을지도...~~ 그리고 결국은 [[MBC GAME 폐국 사태|MBC GAME의 폐국]]이라는 이 이상 최악이 없는 악재가 나와버렸다. 그와 함께 자연스럽게 엠겜의 상암 입성도 무산되었으며, 결국 [[상암 IT 컴플렉스 e스포츠 전용 경기장]]은 2016년 4월이 돼서야 완공되어 [[서울 OGN e스타디움]]으로 명칭이 확정되면서 공사비를 지원해 사용권을 따낸 OGN의 주 경기장으로 사용되게 되었다.[* 이후 2020년 OGN이 매각 절차를 밟는 관계로 폐쇄되었으며, 빈 자리는 [[아프리카TV]]가 인수하여 '상암 아프리카 콜로세움'이 된다.] 폐국 이후 한동안은 [[MBC]] 본사나 [[MBC every1]], [[MBC MUSIC]]의 [[예능 프로그램]] 녹화 장소로 쓰였으나, 2012년 6월에 철거/폐쇄되었다. 이후 2012년 6~11월에 촬영한 사진을 보면 내부에 벽을 설치하는 등의 리모델링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http://blog.naver.com/swyl1220/220612822950|2016년 1월에 누군가가 현장을 찍어 올린 글에 따르면 현재는 해물뷔페나 여러 컨설턴트 기업들의 사무실로 사용되고 있는 듯하다]]. 이후 2017년에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가 출시되어 [[아프리카TV]]에서 방영한 리플레이 프로그램인 [[https://www.youtube.com/watch?v=gliMTiLHW5I|스타 리마스터 리콜 3화]]에서 서연지가 옛 LOOX 히어로 센터를 방문하였다. 34분 15초부터 볼 수 있다. 임시 개장 첫 경기는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MBC GAME HERO]] vs [[웅진 스타즈]]의 [[민찬기]]와 [[김명운]]의 경기로, 승자는 민찬기였다. 공식전 첫 경기는 [[위메이드 폭스]] vs MBC GAME HERO의 [[박성균]]과 [[고석현]]의 경기로, 승자는 박성균이었다. 그리고 마지막 경기는 MBC GAME에서 중계한 마지막 공식전인 [[김기현(프로게이머)|김기현]]과 [[염보성]]의 [[2011 MSL 시즌 2]] 서바이버 토너먼트 12조 최종전이며, 염보성의 승리로 끝났다.[* 추가로 이 경기는 MBC GAME HERO 소속 선수의 마지막 공식전이기도 하다. 단, 비공식전까지 포함하면 2011 [[경남-STX컵 마스터즈]]에서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CJ 엔투스]]와의 경기가 마지막이다.] 여담으로, 스튜디오가 있었던 건물 지하에는 서울 시내 유일한 [[워터파크]]였던 [[씨랄라]]가 있다.[* 최근 [[송파구]] [[문정동(서울)|문정동]]에 파크하비오에 워터킹덤이 개장하여 유일하지는 않게 되었다.] 또한 위층에는 [[CGV]]도 있었으나, 인근 [[경방 타임스퀘어|타임스퀘어]] [[CGV]]에 밀려서 무기한 휴관 상태였다가 결국은 폐관이 되면서 지금 그 자리에는 [[결혼식장|예식장]]이 새로 들어섰다. == 관련 문서 == * [[히어로센터 유리창 파손 사건]] [[분류:MBC GAME]][[분류:대한민국의 e스포츠 경기장]][[분류:대한민국의 없어진 건축물]][[분류:없어진 체육 시설]][[분류:COEX]][[분류:2003년 건설]][[분류:2011년 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