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373a3c,#dddddd '''{{{+1 히마와리}}}'''[br]ひまわり (気象衛星)[br]Himawari}}} || ||<-2> [[파일:ひまわり9.webp|width=100%]] || ||<-2> 現 히마와리 9호 (2016년) || || {{{#373a3c,#dddddd 종류}}} || 기상위성 || || {{{#373a3c,#dddddd 궤도}}} || 정지궤도 || || {{{#373a3c,#dddddd 운영}}} || 1977년 7월 14일 ~ || || {{{#373a3c,#dddddd 관리}}} || [[일본 기상청]]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 기상청]]에서 1977년부터 운영하고 있는 정지기상위성으로 2024년 현재는 2016년 발사된 히마와리-9호가가 운용중이다. 이름에서 알수 있듯이 [[해바라기]]에서 명칭을 따왔다. 항상 태양을 바라보는 해바라기의 특징에 기인하여 위성도 언제나 지구를 바라보기에 이러한 명칭을 붙였다고 한다. == 특징 == 일본 상공에 있는 정지위성 특성 상 일본 열도와 한반도는 물론 동남아시아와 오세아니아까지 관측이 가능하기에 지구 대기 개발 계획(GARP)의 하나로 전 세계적인 기상 관측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인접국에게도 기상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히마와리 7호까지는 한국의 다목적과학위성처럼 다양한 용도[* 기상관측, 항공관제, 위성촬영, 통신중계 등]로 함께 사용했으나 8호부터는 온전히 기상관측 용도로만 사용하게 됨에 따라 일본기상청은 드디어 기상청 단독으로 위성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이로 인해 위성 수명이 증대되었으며 더 다양한 관측센서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해 기존에 위성을 같이 사용하던 [[국토교통성]]과 [[일본 기상청]]간 예산 다툼이 있었다고 한다...만 다행이도 방재의 목적 등을 통해 2019년 히마와리 9호의 운영에 필요한 예산 77억엔을 받았다.[[https://www.jma.go.jp/jma/kishou/tyoukan/2009/dg_20090115.html|#]] ] 아울러 초기를 제외하고 발사체와 기상위성 제작/운영 일체를 일본의 [[미쓰비시 중공업]]과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에서 전담하며 지금 까지도 일본의 우주산업 발전에 영향을 주고있다. == 목록 == || 이름 || 발사 || 운용 || || 히마와리[br](GMS) || 1977.07.14.[br][[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 || 1977.07.14. ~ 1989.06.30. || || 히마와리 2호[br](GMS-2) || 1981.08.11.[br][[다네가시마 우주센터]] ~ || 1981.12.24. ~ 1987.11.20. || || 히마와리 3호[br](GMS-3) || 1984.08.03. || 1984.08.27. ~ 1995.06.23. || || 히마와리 4호[br](GMS-4) || 1989.09.06. || 1989.12. ~ 2000.02.24. || || 히마와리 5호[br](GMS-5) || 1995.03.18. || 1995.06.21. ~ 2005.07.21. || || 히마와리 6호[br](MTSAT-1R)[* R이 붙은 이유는 '99.11.15.에 MTSAT-1이 발사실패하였기 때문이다. (H-II 8호)] || 2005.02.26. || 2005.6.28. ~ 2015.07.07. || || 히마와리 7호[br](MTSAT-2) || 2006.02.18. || 2010.07.01 ~ 2017.03.10. || || 히마와리 8호[br](Himawari-8) || 2014.10.07. || 2015.07.07. ~ 대기운영중[* 9호 백업] || || 히마와리 9호[br](Himawari-9) || 2016.11.02. || 2022.12.13. ~ 운영중 || || 히마와리 10호[br](Himawari-10) || 미정 || 계획중 || == 한국에서 == 위성이 위치한 궤도가 넓은 일본 열도를 커버하다 보니 한반도도 수혜지역이라[* 동북아시아 ~(일본 열도) ~ 오세아니아 ] [[대한민국 기상청]]과 [[공군기상단]]의 기상예보에도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실제로 우리 기상청과 공군에서는 자료 분석 과정에서 [[천리안 위성]]과 함께 히마와리-9 데이터를 함께 이용하고 있으며 가끔 천리안이 고장나거나 점검할 때 히마와리 데이터를 사용하기도 한다. 실제 2018년 2월 11일과 2019년 5월 8일에 [[천리안 위성|천리안 1호]]가 고장나서 한국 기상청에서는 히마와리-8 데이터를 사용했으나[* 당시 일본에 대한 한국 정부와 국민 여론이 좋지않았고, 정부에서는 천리안 위성 발사 성공에 대해 성대히 홍보했다.] 언론이나 뉴스에서는 [[손바닥으로 하늘가리기|단순히 외국의 위성자료라고만]] 언급한 적도 있었다. [[https://www.sankei.com/article/20180213-4JVGCBFYSJONHETFSKPUW2IOYA/|#]] [[https://www.donga.com/news/It/article/all/20190509/95443364/1|#]] 2023년 지금도 종종 [[천리안 2A호]]가 점검이나 고장이 나는 경우 히마와리를 참고하는 경우가 많다. == 기타 == * 실시간 히마와리 데이터를 볼 수 있는 사이트도 있다 [[https://himawari.asia/]] * 2022년 기준으로 히마와리의 테이터 접속 및 이용처의 50%는 일본 국외로 나타났으며, 특히 태국, 필리핀, 대만,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폴 등이라고 한다.[[https://www.data.jma.go.jp/sat_info/himawari/nmhs.html|#]] [[분류:인공위성]][[분류:JAX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