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짱구는 못말려 극장판의 최종보스)] ||<-2>
[[파일:히리야 미츠루.jpg|width=100%]]|| ||<-2> '''짱구는 못말려 극장판 31기''' || ||<-2> '''{{{+2 히리야 미츠루 / 음지남}}} [br]非理谷 充''' || || '''종족''' ||[[인간]] || || '''신분''' ||[[프리터]] || || '''포지션''' ||[[악역]] || ||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마츠자카 토리]][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이상호(성우)|이상호]] / [[신동식]](타락 버전) / [[유혜지]](어린 시절) || || '''등장 극장판''' ||[[신차원! 짱구는 못말려 더 무비: 초능력 대결전 ~날아라 수제김밥~]] || [목차] [Clearfix] == 개요 == > '''이 힘으로... 더욱 복수해주겠어!''' > (더빙:'''이 힘으로... 세상에 복수해주겠어!''') [[신차원! 짱구는 못말려 THE MOVIE: 초능력 대결전 ~날아라 수제 김밥~ |짱구 극장판 31기]]의 메인 빌런. 원작의 악의 초능력자 포지션, 신노스케(짱구)의 [[안티테제]]를 맡는 캐릭터다. == 작중 행적 == 작은 아르바이트로 먹고 사는 [[프리터]]로, 어린시절 부모님이 맞벌이로 집에서 방임 당하다가 중학생 시절부터는 부모님은 이혼. 학창시절에는 이지메 피해자로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했다. 그나마 좋아하던 최애 아이돌의 결혼소식+지명수배범과 똑같은 인상착의로 인한 누명 등 아르바이트로 열심히 일했는데도 사람들이 잘 봐주지 않으면서[* 유일하게 자신이 넘어졌는데 히로시가 손을 내밀면서 괜찮냐고 말을 했다. 그러나 비웃는게 아니었는데 히로시도 본인을 비웃을까봐 제대로 마음을 열지 못한 것이다. 어떤 의미로는 자기방어기제로 경계심을 가졌던 셈.] 온갖 [[억까]] 수준의 심각한 불행에 시달리며 세상에 불만을 품던 차에 지명수배범으로 오해받아서 경찰에게 쫓기다가 검은 빛을 받고 초능력자로 각성하면서 자신을 쫒던 경찰들을 쓸어버린 걸 시작으로, 세상에 복수하기로 결심한다. 처음에는 세상에 복수하겠다고 날뛰지만 ''''누가 날 이 지경에 몰아넣은거냐''''(더빙: '''누구야... 누가 날 이렇게 만들었지?''')고 절규하거나 신노스케의 칸탐로봇을 보고 칸탐로봇과 대결하게되서 기쁘다고 하는 등 여리고 순수한 면모가 존재한다. 초능력을 얻고 난뒤로 카스카베유치원으로 처들어가 아이들의 도시락을 훔처먹거나 위협을 하며 행패를 부리기도 하였으며[* 다른게 아니라 본인이 좋아하던 아이돌이 유치원 교사 컨셉이어서 화풀이랍시고 유치원에서 행패를 부린거다.] 미도리 선생님과 카스카베 방범대 사총사를 인질로 잡다가 이때 처음으로 신노스케를 만나 또다른 초능력자임을 알게 된다. 경찰이 던진 연막탄을 피해서 도망쳤고 미도리 선생님과 카스카베 방범대와 신노스케는 무사히 빠져나오게 된다. 이후 어느 옥상에서 궁시렁 대다가 누슷트라다느스 2세를 만나게 되었으며 누슷트라다느스2세의 아지트인 폐 놀이동산으로 가게된다. 이곳에서 미츠루는 누슷트라다느스로 인해 온몸에 전선이 묶여저 강제로 우울에너지를 뽑히다가 거대화가 된다. 이후 누슷트라다느스 2세의 화상통화를 통해 출동한 일행들이 가지고온 칸탐 로봇과 대결을 펼친다.[* 이때 '칸탐과 싸울 수 있다니 기쁘다'라고 말한다. 언듯보면 비꼬는듯한 말이지만 이후 장면들을 미루어 보아 진심으로 기뻐서 한 말로 보인다.] 염력으로 일행들을 위협하였으며 신노스케가 주변의 부셔진 잔해들로 만든 김밥들로 공격하자 격전을 펼친다. 패배직전 까지 몰아가지만 히마와리의 초능력 각성을 통해서 쓰러지고 만다. 하지만 그순간 초능력의 힘이 끝내 폭주하여 무너진 놀이동산 잔해들을 끌어모아 거대한 괴수가 되어버린다. 도망치는 일행들에게 거대한 빔을 쏘면서 위협하다가 신노스케를 잡아먹고야 만다. 하지만 무서운 겉모습과는 다르게 그 속은 히리야의 비참했던 삶을 보여주고 있었다. 어린 시절에는 부모의 맞벌이로 인해서 매 끼니마다 과자와 편의점 도시락으로 해결하였으며,[* 사실 말이 좋아서 맞벌이지 부모 둘다 아이를 방치하고 있었다. 다만 히리야의 어머니는 히리야에게 미안하긴 했는지 도시락 옆에 미안하다는 (いつもごめんね。チンしてたべてね。ママ) '항상 미안해 데워먹으렴 엄마가'라는 쪽지를 남겼었다.] 게다가 '''한창 아이들과 뛰어 놀 나이 임에도 집에서 칸탐로봇을 보면서 지내고 있었으며''' 간접적으로 나오긴 하지만 이 시절부터 집안 분위기가 썩 좋지 않았었다. '''유치원 운동회 때에도 자신감을 잃은채 바구니 공넣기에서 열심히 공을 던지는 아이들을 지켜만 볼 뿐이었으며 학창시절에는 아이들에게 지독하게 괴롭힘 당하다가 결국 부모가 이혼하면서 사람이 비뚤어지게 되었던 것이었다'''. || [Youtube(7n2vcb8XAcc,start=73s)] || 하지만 심상세계에서 신노스케를 만나면서 모든게 변하게 되었다. 외롭게 만화를 보는 순간에서도 신짱이 같이 [[초코비]]도 먹고 만화를 보면서 그의 곁에 있어주었으며 유치원 운동회에서도 한번 공을 던져보라는 신짱의 격려덕분에 자신있게 공을 던저 바구니에 넣는다. 이지매를 당하는 순간 속에서도 신짱은 그의 곁을 떠나지 않은체 ''''내 친구! 괴롭히지마!'''' (더빙: '''내 소중한 깐부! 괴롭히지마!''')라고 하며 끝까지 맞써싸웠다. 그 모습을 보고 용기를 얻은 히리야는 신짱과 같이 맞서 싸웠으나 점차 밀리고 있었다. 그 순간 히로시의 고약한 양말이 두사람 앞에 떨어진다.[* 누슷트라누스의 예언서에서 독구슬 두 개에 대한 내용이 나와있었는데 이때 아이디어가 떠오른 신영식이 즉석으로 양말을 공모양으로 만들어 괴물 입안에 던저 넣었기 때문이다.] 발구린내나는 양말을 이용해 신짱과 히라야는 일진들에게 발냄새 샷을 날리며 그들과의 싸움에서 이기게 된다. 모든 싸움이 끝나고 초능력이 없어진 히라야는 다시 제정신을 차리고 심상세계에서 함께해준 짱구와 [[피스트 범프]][[https://twitter.com/shinchan3dcg/status/1694883018459254965?s=20|#]]를 하며 화해를 한다.[* 이때 짱구를 보며 그리움에 복받치는데 비록 실제는 아니었지만 자신이 가장 괴로울 시절마다 나타나 자신을 지탱해주고 도와준 소중한 친구였기 때문, 짱구를 보자마자 짱구니 하더니 짱구가 괴로워할 정도로 강하게 껴안는다.] 이후 에필로그에선 결자해지를 위한 사죄로 신영식의 망가진 차를 고쳐주고, 처음으로 신영식 일가와 초능력자들과 함께 서로 김밥을 만들어 먹으며 이야기는 막을 내린다. == 평가 == 역대 짱구는 못말려 극장판의 악역들(적대 세력) 중에서 [[쿠로이와 진타로|22기의 최종보스]], 24기의 악역 유몽해 박사, [[시리리의 아버지|25기의 최종보스]] 이상으로 비참한 사연을 가진 인물이다. 특히 유소년기 시절을 대조하면 21기 최종보스 [[로열 황태자]]와 비슷한데, 로열 황태자와 히리야 둘 다 부모님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받으며 어른으로 자랐다는 공통점이 있다. 물론 로열 황태자는 부모에게 식사하는 법까지 심하게 간섭 받는 수준이었지만, 본인이 A급 음식으로 세상을 채우자는 신념을 가지고 조직을 꾸릴 기반과 그 조직을 이끌 정도의 교육을 제공 받았다. 반대로 히리야는 부모의 맞벌이와 무관심으로 인한 방임, 이혼으로 인해 본인이 어떤 식으로라도 자립할 수 있는 신념이나 기반, 능력조차 만들지 못한 채 불안정한 삶을 이어왔기에 세부적으로는 차이점이 많다. 작품의 제목처럼 김밥은 히리야에게 있어서 큰 의미를 지닌 음식인데 어린시절 부모님이 이혼한 순간 마지막 식사로 먹었던 음식이 김밥이며, 영화의 에필로그에서 짱구의 가족들과 함께 먹은 음식 또한 김밥이다. 언뜻 보면 별 의미 없어 보이는 것 같지만 두 장면 간의 차이는 무척 극명하다, 어린 시절 마지막 식사로 나온 김밥은 히리야가 마음의 문을 닫게 되어버린 결정적인 순간을 상징한다면 훗날 노하라 일가와 함께 김밥을 먹은 것은 히리야가 마음을 연 동시에 신짱과의 우정과 가족의 사랑을 상징한다. 같은 음식이었음에도 가지고 있는 의미가 무척 다르니 히리야의 마음의 변화를 나타낸 음식이라 볼수가 있다. == 기타 == 극장판과는 다르게 원작의 악의 초능력자는 [[구조조정]]된 [[샐러리맨]]으로 나온다. 거기다가 도망치던 중에 [[닭꼬치]]를 무전취식하거나, 도와주려는 [[노하라 히로시|히로시]]에게 되려 성질을 내는 등 아주 무고한 시민은 아닌걸로 나왔다. 사실 현실에서부터 집단 따돌림이나 괴롭힘을 당한 사람들이 다른 사람에 대한 경계심과 불신을 키우는 경우가 많으니 아예 이상한 것도 아니다. 그동안 가족간의 사랑이나 친구들의 우정, 연애도 한번도 못하고 사회에서도 냉대와 외톨이 취급들만 받고 살았으니 완전 공감되는 점들도 있다.[* 특히 학교 괴롭힘(범죄) 피해자나 사회 공포증을 가지고 있거나 운둔형 외톨이가 되는 경우는 심각하면 밖에도 나가지도 못하고 고통스러워 한다.] 이름의 유래는 '비(非)[[리얼충]]'[* [[사회부적응자|현실에 충실하지 않는 인물]](가벼운 의미로는 [[아싸(신조어)|아싸]])을 뜻하는 일본의 은어로, ''''히리아'''쥬우'라고 읽는다.]으로 추정. 거기다 성은 [[비리]](非理)가 붙어 있다. 반면 이름은 힘들었던 인생과 대비되는 '가득하다'는 뜻이 담겨있다. 혹은 힘들었던 인생과 연결하여 불행이 가득하다는 의미로도 풀이할 수 있다. 한국어 버전은 ‘음지남’인데 [[음지]], [[양지]]할 때 그 음지이다. 한국어 버전도 캐릭터의 배경과 성격을 잘 고려한 편이다. 후반에 짱구가 ‘지남이’라고 하는데 이게 은근 친근한 느낌이 강해서 짱구와 음지남의 우정을 잘 나타내준다. 이전의 등장인물들을 연상하게 하는 외모를 지녔는데 타락하기 이전의 바가지머리에 안경 쓴 모습이 [[어른제국의 역습]]에서 등장한 [[켄(크레용 신짱)]]을 떠올리게 하며 초능력을 얻고 난 뒤의 뾰족머리 모습은 특유의 두툼한 입술 탓인지 미츠루와는 완전 상극 성향의 [[아츠쿠루 시이조]](한국명 ‘이소룡‘)가 생각나는 모습이다.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정면승부! 로봇아빠의 역습|22기]]의 [[쿠로이와 진타로|악역]]에 뒤를 이어 이번에도 21세기 암울한 일본사회를 포함한 국제사회가 품은 현실 중 한 갈래를 표현한 캐릭터이다. 그것도 복수 동기와 타락 과정, 트라우마를 제대로 서술한 복수자로 말이다.[* 특히 [[켄(크레용 신짱)|9기 악역]]에 더 비슷한 악역인데, 이 둘의 배경은 경기 침체를 겪고 있는 [[잃어버린 10년/일본|일본]] [[대봉쇄|사회]]와 관련이 있다. 각각 망가져버린 일본의 21세기 사회를 없애기 위해 모든 어른을 20세기 시절처럼 돌려버리고 '''자신의 세상(20세기의 귀환)'''을 만드려는 자와([[켄(크레용 신짱)|켄]]), 21세기 일본 경기 불행의 피해로 세상을 부수고 '''자신의 세상(누스트라다무스를 없애고 자신이 신이 되는 세계)'''을 만드려는 자(히리야 미츠루)라는 점이 그러하다.] 최종결전 때 변신하는 모습의 호불호가 상당히 갈린다고 하는데, "어린이용 작품치고는 좀 심하게 징그러웠다.", “3D로 표현할 만한 의미 있는 공격적인 디자인이라서 좋다.”는 평을 받는 등 [[그로테스크]]하게 묘사된다. X파일 3기 마지막화와 원작에서는 스토리가 추가되거나 일부분이 바뀌었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신차원! 짱구는 못말려 THE MOVIE: 초능력 대결전 ~날아라 수제 김밥~, version=348)] [[분류:신차원! 짱구는 못말려 더 무비: 초능력 대결전 ~날아라 수제김밥~]][[분류:짱구는 못말려/극장판/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