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주고쿠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히로시마현 제6구}}}}}}'''[br]{{{-1 {{{#ffffff 広島県第6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Hiroshima6.svg|width=100%]]}}}|| ||<-2><:>'''선거인 수'''||<-2><:>299,094명 (2020)|| ||<-2><:>'''상위 도도부현'''||<-2><:>[[히로시마현]]|| ||<-2><:>'''하위 행정구역'''||<-2><:>[[후쿠야마시]]|| ||<-2><:>'''국회의원'''||<:>[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사토 고지]]|| [목차] [clearfix] == 개요 == [[히로시마현]]의 [[후쿠야마시]]를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과거 이 지역구 의원이었던 [[국민신당(일본)|국민신당]] 당수 [[가메이 시즈카]]의 강력한 지역 기반이었다. 가메이 의원이 자민당에 몸담고 있을 때는 자민당 지지세가 강했으나, 자민당을 나온 이후부터는 야당 지지세가 조금 강해졌다. 현재 [[주고쿠]] 지방 지역구 중의원 중 유일하게 입헌민주당 의원인 지역구다. 현재도 가메이 시즈카가 야권 후보인 [[사토 고지]]를 지원하고 있기에 히로시마에서 유일하게 야권이 힘을 낼 수 있는 중의원 지역구로 남았다.[* 사실 가메이 시즈카는 2006년부터 사토 고지를 지원하며 협력 관계에 있었다.] 여담으로, 기업인 [[호리에 타카후미]]가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당시 이곳에 출마했으나 84,000표로 낙선했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 소속 [[사토 고지]].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히로시마현 제6구 역대 중의원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7> [[가메이 시즈카]] ||<|3>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2>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 [include(틀:일본 미래당)]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include(틀:무소속)]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2> [[사토 고지]] || [include(틀:희망의 당(2017년))]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히로시마현 제6구|{{{#fff 히로시마현 제6구}}}]]}}}'''[br]{{{#fff 미하라시, 오노미치시, 인노시마시, 후추시,[br]미요시시, 쇼바라시, 미츠기군, 세라군,[br]진세키군, 코오누군, 후타미군, 히바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가메이 시즈카]][br](亀井静香)''' || '''122,071'''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8.84%''' || '''당선''' || ||<|2><#cf0a2c> [[신진당|[[파일:신진당 로고 반전.png|width=50]]]] || [[사토 고지]][br](佐藤公治) || 88,391 || 2위 || || [include(틀:신진당)] || 35.37% || 낙선 || ||<|2> [[신사회당|[[파일:신사회당로고.jpg|width=60]]]] || 코모리 타츠쿠니[br](小森 龍邦) || 29,092 || 3위 || || [include(틀:신사회당)] || 11.64%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 공산당 흰색 로고.svg|width=60]]]] || 하시모토 토모유키[br](橋本奉文) || 10,373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4.1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331,003 ||<|2> '''투표율'''[br] || || 총 선거인수 ||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히로시마현 제6구|{{{#fff 히로시마현 제6구}}}]]}}}'''[br]{{{#fff 미하라시, 오노미치시, 인노시마시, 후추시,[br]미요시시, 쇼바라시, 미츠기군, 세라군,[br]진세키군, 코오누군, 후타미군, 히바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가메이 시즈카]][br](亀井静香)''' || '''138,790'''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7.92%''' || '''당선''' || ||<|2><#ffffff> [[자유당(일본 1998년)|[[파일:자유당.gif|width=50]]]] || [[사토 고지]][br](佐藤公治) || 81,181 || 2위 || || [include(틀:자유당(일본 1998))] || 33.88% || 비례당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 공산당 흰색 로고.svg|width=60]]]] || 무라카미 요시히코[br](村上好彦) || 19,640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8.20%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331,003 ||<|2> '''투표율'''[br] || || 총 선거인수 ||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히로시마현 제6구|{{{#fff 히로시마현 제6구}}}]]}}}'''[br]{{{#fff 미하라시, 오노미치시, 인노시마시, 후추시,[br]미요시시, 쇼바라시, 미츠기군, 세라군,[br]진세키군, 코오누군, 후타미군, 히바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가메이 시즈카]][br](亀井静香)''' || '''117,659'''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1.34%''' || '''당선''' || ||<|2><#fff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사토 고지]][br](佐藤公治) || 100,677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3.93% || 비례당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 공산당 흰색 로고.svg|width=60]]]] || 데라다 아키미쓰[br](寺田明充) || 10,846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4.73%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331,003 ||<|2> '''투표율'''[br] || || 총 선거인수 ||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히로시마현 제6구|{{{#000 히로시마현 제6구}}}]]}}}'''[br]{{{#000 미하라시, 오노미치시, 인노시마시, 후추시,[br]미요시시, 쇼바라시, 미츠기군, 세라군,[br]진세키군, 코오누군, 후타미군, 히바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fff> [[국민신당(일본)|[[파일:일본 국민신당 로고.svg|width=50]]]] || '''[[가메이 시즈카]][br](亀井静香)''' || '''110,979''' || '''1위''' || ||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 '''41.53%''' || '''당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호리에 타카후미]][br](堀江貴文) || 84,433 || 2위 || || [include(틀:무소속)][*자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추천] || 31.60% || 낙선 || ||<|2><#fff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사토 고지]][br](佐藤公治) || 68,365 || 3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5.58% || 낙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이토 요지[br](伊藤洋二) || 3,433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1.28% || 낙선 || ||<|2> '''계''' || 총 선거인수 || 331,003 ||<|2> '''투표율'''[br]67.51% || || 유효표 || 228,167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히로시마현 제6구|{{{#000 히로시마현 제6구}}}]]}}}'''[br]{{{#000 미하라시, 오노미치시, 인노시마시, 후추시,[br]미요시시, 쇼바라시, 미츠기군, 세라군,[br]진세키군, 코오누군, 후타미군, 히바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fff> [[국민신당(일본)|[[파일:일본 국민신당 로고.svg|width=50]]]] || '''[[가메이 시즈카]][br](亀井静香)''' || '''137,287''' || '''1위''' || ||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 '''60.17%''' || '''당선'''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고지마 도시후미[br](小島敏文) || 69,808 || 2위 || || [[자유민주당(일본)|[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 || 30.60%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 공산당 흰색 로고.svg|width=60]]]] || 하나오카 다미요[br](花岡多美世) || 17,383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62% || 낙선 || ||<|2><#ff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로고.svg|width=60]]]] || 에비스모토 쿄코[br](胡本協子) || 3,689 || 4위 || || [[행복실현당|{{{#!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CDF; font-size: .9em" {{{#ffffff '''행복실현당'''}}}}}}]] || 1.62% || 낙선 || ||<|2> '''계''' || 총 선거인수 || 331,003 ||<|2> '''투표율'''[br]69.28% || || 유효표 || 228,167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히로시마현 제6구|{{{#fff 히로시마현 제6구}}}]]}}}'''[br]{{{#fff 미하라시, 오노미치시, 인노시마시, 후추시,[br]미요시시, 쇼바라시, 미츠기군, 세라군,[br]진세키군, 코오누군, 후타미군, 히바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00A650> [[일본 미래당|[[파일:일본미래당_투명.png|width=60]]]] || '''[[가메이 시즈카]][br](亀井静香)''' || '''91,078''' || '''1위''' || || [include(틀:일본 미래당)] || '''49.00%''' || '''당선'''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고지마 도시후미[br](小島敏文) || 78,747 || 2위 || || [[자유민주당(일본)|[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공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2.37% || 비례당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 공산당 흰색 로고.svg|width=60]]]] || 하나오카 다미요[br](花岡多美世) || 16,046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8.63% || 낙선 || ||<|2> '''계''' || 총 선거인수 || 321,391 ||<|2> '''투표율'''[br]60.54% || || 유효표 || 185,871 || [[일본 미래당]]이 의석이 62석에서 9석으로 줄어드는 대참패를 당하는 와중에도 현역 의원 [[가메이 시즈카]]가 지역구에서 당선되며, [[이와테현 제4구]]의 [[오자와 이치로]]와 함께 단 2명뿐인 미래당의 지역구 당선자가 되었다.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히로시마현 제6구|{{{#fff 히로시마현 제6구}}}]]}}}'''[br]{{{#fff 미하라시(동부), 오노미치시(세토다 제외),[br]후추시, 미요시시, 쇼바라시, 세라군, 진세키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가메이 시즈카]][br](亀井静香)''' || '''89,756''' || '''1위''' || || [include(틀:무소속)] || '''52.16%''' || '''당선'''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고지마 도시후미[br](小島敏文) || 65,494 || 2위 || || [[자유민주당(일본)|[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공 [include(틀:공명당)] 추천] || 38.06% || 비례당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 공산당 흰색 로고.svg|width=60]]]] || 데라다 아키미쓰[br](寺田明充) || 16,839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9.79% || 낙선 || ||<|2> '''계''' || 총 선거인수 || 314,804 ||<|2> '''투표율'''[br]56.07% || || 유효표 || 172,089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히로시마현 제6구|{{{#fff 히로시마현 제6구}}}]]}}}'''[br]{{{#fff 미하라시(동부), 오노미치시(세토다 제외),[br]후추시, 미요시시, 쇼바라시, 세라군, 진세키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046240> [[입헌민주당(2020년)|[[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width=60]]]] || '''[[사토 고지]][br](佐藤公治)''' || '''85,616''' || '''1위''' || || [include(틀:희망의 당(2017년))][*민 [include(틀:민진당(일본))] 히로시마현 총지부 연합회 추천] || '''50.54%''' || '''당선'''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고지마 도시후미[br](小島敏文) || 69,209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공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0.85% || 비례당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 공산당 흰색 로고.svg|width=60]]]] || 데라다 아키미쓰[br](寺田明充) || 14,585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8.61% || 낙선 || ||<|2> '''계''' || 총 선거인수 || 310,908 ||<|2> '''투표율'''[br]55.66% || || 유효표 || 169,410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히로시마현 제6구|{{{#fff 히로시마현 제6구}}}]]}}}'''[br]{{{#fff 미하라시(동부), 오노미치시(세토다 제외),[br]후추시, 미요시시, 쇼바라시, 세라군, 진세키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40]]]] || '''[[사토 고지]][br](佐藤公治)''' || '''83,796''' || '''1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51.42%''' || '''당선'''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고지마 도시후미[br](小島敏文) || 79,158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공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8.58% || 비례당선 || ||<|2> '''계''' || 총 선거인수 || 294,154 ||<|2> '''투표율'''[br]56.35% || || 유효표 || 162,954 || 입헌민주당 [[사토 고지]] 후보가 다시 한번 지역구 당선되었지만 여야 1대1 구도였음에도 4년전 열린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제48회 총선]]때보다 득표수가 2,000표 가까이 줄어들었다. 그래도 히로시마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았을뿐더라, 주고쿠로 범위를 넓히더라도 유일하게 지역구에서 승리한 야당 당선자가 되었다. 정계 은퇴 이후로도 사토 고지를 개인적으로 돕고 있는 [[가메이 시즈카]] 전 건설대신의 영향력이 아직 큰 것으로 보인다. 반면 자민당 고지마 도시후미 후보는 49% 득표로 선전하면서 다시 한번 석패율제 구제를 받는데 성공했다. 하지만 고지마 후보의 패배로 기시다 총리가 목표로 삼았던 자민-공명 연립여당의 히로시마 석권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0증10감 선거구 개편으로 인해 [[후쿠야마시]]만 관할하게 되었다. 사실상 기존 7구의 명칭이 6구로 바뀐 셈이다. [[자유민주당]]에서는 구 [[히로시마현 제7구|히로시마 7구]] 의원인 고바야시 후미아키가 신 히로시마 6구 지부장이 되면서 출마할 예정이다.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히로시마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