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주고쿠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히로시마현 제2구}}}}}}'''[br]{{{-1 {{{#ffffff 広島県第2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Hiroshima2.svg|width=100%]]}}}|| ||<-2><:>'''선거인 수'''||<-2><:>404,009명 (2021)|| ||<-2><:>'''상위 도도부현'''||<-2><:>[[히로시마현]]|| ||<-2><:>'''하위 행정구역'''||<-2><:>[[히로시마시]] [[사에키구]]/[[니시구(히로시마)|니시구]], [[오타케시]], [[하츠카이치시]]|| ||<-2><:>'''국회의원'''||<:>[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히라구치 히로시|| [목차] [clearfix] == 개요 == [[히로시마현]]의 [[히로시마시]] [[사에키구]], [[니시구(히로시마)|니시구]]와 서부 인접지역인 [[오타케시]], [[하츠카이치시]]를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이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소속 히라구치 히로시. == 상세 == 선거구 내 유권자의 70%가 히로시마에 거주하기에 대도시 특성상 무당층 비율이 높다. 게다가 [[히로시마현 제1구|인접 선거구]] 국회의원인 [[기시다 후미오]]같이 지역 기반이 탄탄한 후보를 자민당에서 내세우지 않았다. 따라서 소선거구 출범 이후 초기에는 히로시마에서 자민당이 가장 약한 선거구로 꼽히었다. [[2012년]] 이전까지 치러진 5번의 선거 중 자민당이 딱 한 번 이겼다. 하지만 자민당이 역대급 압승을 거두고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이 역대급 참패를 한 2012년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제46회 총선]] 총선 이후, 이 선거구도 주고쿠 지방의 다른 선거구들과 마찬가지로 자민당 우세 선거구로 탈바꿈했다. 이 지역구에서 민주당 소속으로 비례대표 1번을 포함해 총 3번 당선된 마츠모토 다이스케 전 의원도, 제46회 총선부터 3번 연속으로 패배한 이후 정계를 은퇴했다. 마츠모토가 정계를 은퇴한 이후 처음 치러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제49회 총선]]은, [[일본 공산당|공산당]]까지 야권 단일화에 동참하면서 자민당과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의 1대1 대결이 치러졌음에도, 자민당 히라구치 히로시 의원이 30%가 넘는 역대급 득표차이로 압승을 거두었다. 히라구치 히로시는 관료 출신 중의원 의원으로는 드물게 50대 중반까지 관료생활을 하다 늦깍이로 정계에 진출했다. ==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2> 아와야 토시노부 || [include(틀:신진당)]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808080,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무소속회)]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 마츠모토 다이스케 ||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히라구치 히로시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마츠모토 다이스케 ||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4> 히라구치 히로시 ||<|4>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6> '''{{{+1 {{{#fff 히로시마현 제2구}}}}}}'''[br]{{{#fff 히로시마시 사에키구, 니시구, 오타케시, 하츠카이치시, 에타지마시 일부(옛 노미초, 오키미초, 오가키초 지역)}}} || || 이름 || 소속정당 || 득표수[br](득표율) || 순위 || 당선 여부 || 비고 || ||<#E50038> '''{{{#fff 히라구치 히로시[br](平口洋)}}}''' || '''[[자유민주당(일본)|{{{#E50038 자유민주당}}}]]''' || '''96,718[br](47.9%)''' || '''1위''' || '''당선''' || [[공명당]] 추천 || ||<#046240> {{{#fff 마츠모토 다이스케[br](松本大輔)}}} || [[희망의 당(2017년)|{{{#046240 희망의 당}}}]] || 68,309[br](33.8%) || 2위 || 낙선 || || ||<#1DAC42> {{{#fff 하이오카 카나[br](灰岡香奈)}}} || [[일본 유신회(2016년)|{{{#1DAC42 일본 유신회}}}]] || 18,128[br](9.0%) || 3위 || 낙선 || || || {{{#fff 후지모토 사토시[br](藤本聡志)}}} || [[일본 공산당|{{{#DB001C 일본 공산당}}}]] || 16,393[br](8.1%) || 4위 || 낙선 || || ||<#00ACDF> {{{#fff 미즈노 요시히[br](水野善丈)}}} || [[행복실현당|{{{#00ACDF 행복실현당}}}]] || 2,403[br](1.2%) || 5위 || 낙선 || || ||<|2> 계 || 유효표 수 || 201,951 ||<|2><-3> 투표율 50.78% || || 유권자 수 || 404,633 || 자민당 히라구치 히로시 의원이 당선되었다. [[희망의 당(2017년)|희망의 당]] 후보로 출마한 마츠모토 다이스케 전 의원은 이번 선거를 포함, 3번 연속 석패율제를 통해 비례대표로도 구제받지 못하고 낙선했다. 이후 정계를 은퇴했다.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히로시마현 제2구|{{{#fff 히로시마현 제2구}}}]]}}}'''[br]{{{#fff 히로시마시 사에키구/니시구, 오타케시, 하츠카이치시,[br]에타지마시(북서~남부)}}}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e50038>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히라구치 히로시''' || '''133,126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65.2%''' || '''당선'''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40]]]] || 오이 아카이 || 70,939표 || 2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34.8%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04,065표 ||<|2> '''투표율'''[br]51.48% || || 선거인 수 || 404,009인 || 현역 자민당 히라구치 히로시 의원이 재출마한다. 2021년 8월에 만 73세를 넘겼기 때문에, 자민당 내부 규정 상 례대표로는 중복 등록하지 못했다. 따라서 지역구에서 패하면 석패율제를 통해 국회에 입성할 수 없다. 5명의 후보가 난립한 지난 총선과 달리 이번에는 야권에서 단일 후보를 냈다.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은 정치학자이자 대학 강사로 재직중인 정치신인 오이 아카이 후보를 공천했다. 투표 결과, 역대 가장 큰 격차로 자민당 히라구치 후보가 승리했다. 야권이 단일화했지만, 입헌민주당 오이 후보는 낮은 인지도와, 기시다 후미오의 총리 당선으로 인해 가뜩이나 더 높아진 히로시마의 자민당 지지율을 극복하지 못하고 30% 넘는 격차로 참패했다.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0증10감 선거구 개편으로 인해 [[에타지마시]] 분할이 해소되어 에타지마시 전역이 신 [[히로시마현 제4구|히로시마 4구]]로 이출되었다. 명칭이 바뀌고 행정구역이 유지된 [[히로시마현 제7구|히로시마 6구]]를 제외하곤 기존 선거구에서 관할 지역이 줄어드는 지역이 되었다. 현직인 히라구치 히로시 의원의 출신지인 에타지마시가 히로시마 4구로 이전되었지만 출마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 유신회(2016년)|일본 유신회]]에서는 [[NTT 도코모]]에서 근무했던 가네시로 마사타카를 후보로 옹립했다.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히로시마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