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역임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중의원|[[파일:shuugiin_logo.png|width=100px]]]] {{{#000000,#e5e5e5 '''[[일본|{{{#000000,#e5e5e5 일본}}}]] [[중의원|{{{#000000,#e5e5e5 중의원}}}]] ([[야마구치현 제2구|{{{#000000,#e5e5e5 야마구치 2구}}}]])'''}}} || || '''제41대'''[br]사토 신지 || → || '''제42·43대[br]히라오카 히데오''' || → || '''제44대'''[br]후쿠다 요시히코 || || '''제44대'''[* 이와쿠니시 시장 선거 출마로 임기 중 사퇴.][br]후쿠다 요시히코 || → || '''제44·45대[br]히라오카 히데오''' || → || '''제46-49대'''[br][[기시 노부오]] || ---- [include(틀:역대 일본 법무대신)] ---- [include(틀:노다 내각의 국무대신)] ---- ||<-5>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3%" ||<)>[[일본 총무성|[[파일:MIC_Wlogo.png|width=59]]]]||}}}{{{#!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7%" ||[[일본 총무성|{{{+1 {{{#fff '''일본국 총무부대신'''}}}}}}]] ||}}}}}} || || [[하토야마 유키오|{{{#ffffff '''하토야마 내각''' }}}]] ||<-3> [[간 나오토|{{{#ffffff '''간 내각''' }}}]] || [[노다 요시히코|{{{#ffffff '''노다 내각''' }}}]] || ||<:>'''제15-16대'''[br][[와타나베 슈(정치인)|와타나베 슈]][br]나이토 마사미쓰||<:>→||<:>'''제17-18대[br]스즈키 가쓰마사[br]히라오카 히데오'''||<:>→||<:>'''제19-20대'''[br][[기카와다 토오루]][br]마쓰자키 기미아키 || }}} || ||<-2> '''{{{#fff 일본국 제87대 법무대신[br]{{{+1 히라오카 히데오}}}[br]平岡秀夫 | Hiraoka Hideo}}}''' || ||<-2><#ffffff,#191919>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히라오카 히데오군.jpg|width=100%]]}}} || ||<|2> '''{{{#ffffff 출생}}}''' ||<(><#ffffff>[[1954년]] [[1월 14일]] ([age(1954-01-14)]세)[* 불과 하루 후인 [[1월 15일]] [[오키나와 사회대중당]] 참의원인 [[다카라 데츠미]]가 태어났다.] || ||[[야마구치현]] [[이와쿠니시]] || || '''{{{#ffffff 학력}}}''' ||야마구치현립 이와쿠니 고등학교 {{{-2 (졸업)}}}[br][[도쿄대학]] 법학부 {{{-2 (법학 / 학사)}}} || || '''{{{#ffffff 정당}}}''' ||[include(틀:무소속)] || || '''{{{#ffffff 의원 선수}}}''' ||'''4''' (중) || || '''{{{#ffffff 의원 대수}}}'''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3]],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4]][* 선거 당시에는 야마구치 2구 지역구에서 낙선 후 비례 부활을 했는데, 당선된 의원이 시장 선거 출마로 사퇴하여 열린 재보궐선거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5]] || || '''{{{#ffffff 지역구}}}''' ||[[야마구치현 제2구|야마구치 2구]] || || '''{{{#ffffff 현직}}}''' ||[[변호사]] || || '''{{{#ffffff 약력}}}''' ||1975년 사법시험 합격[br]제28기 사법수습 수료[br][[대장성]] 관료[br]주인도 일본대사관 일등서기관[br]내각법제국 참사관[br]히라오카 히데오 법률사무소 변호사[br][[중의원]] 의원 {{{-2 (제42-45대 / [[야마구치현 제2구]])}}}[br]내각부 부대신 겸 국가전략실장[br]총무부대신[br][[일본 법무성|법무대신]] {{{-2 (제87대 / [[노다 내각]])}}}[br][[민진당(일본)|민진당]] 야마구치현 연합 고문[br][[입헌민주당(2017년)|입헌민주당]] 야마구치현 연합 고문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정치인, 변호사. == 생애 및 정치 활동 == [[야마구치현]] [[이와쿠니시]] 출신으로, 야마구치현립 이와쿠니 고등학교, [[도쿄대학]] 법학부를 졸업했다. 대학 재학 중 사법시험에 합격했으며, 대학 졸업 후 대장성에 들어가 관료로 근무했다. 도카이재무국, 국세청, 도쿄국세국 등을 거쳐 주 인도 일본대사관 일등서기관을 근무했다. 이후 내각법제국 참사관으로 근무한 뒤 관료를 그만두고 고향인 야마구치현 이와쿠니시에 법률사무소를 차리고 변호사로 활동했다. 이후 1999년, 고향인 야마구치현 이와쿠니시 시장 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하면서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하지만 시장 선거에서 낙선했다. 낙선 이후 2000년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2회 중원선]]에서 고향인 이와쿠니시가 속한 [[야마구치현 제2구|야마구치 2구]]에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 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되었다. 당시 상대가 '''[[사토 에이사쿠]]의 차남인 사토 신지였다.''' 야마구치현이 ‘자민번’이라고 불릴 정도로 정치적으로 자민당의 텃밭 중의 텃밭 지역인데다 야마구치 2구에는 '''사토 에이사쿠의 출신지인 [[타부세초]]가 속해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굉장히 놀라운 결과였다.'''[* 이는 지역구 내 일부 보수 인사들이 히라오카를 지지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사토 신지와 달리 자수성가한 엘리트라는 점에서 인물 경쟁력이 더 좋았던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후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3회 중원선]]에서도 연속으로 당선되었다. 그러나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4회 중원선]]에서는 자민당이 압승하면서 히라오카도 자민당 정치 신인인 후쿠다 요시히코에게 낙선해 비례대표로 부활해 당선되었다. 그리고 얼마 안 가 지역구에서 당선되었던 후쿠다 요시히코가 이와쿠니시 시장 선거에 출마하면서 의원직을 사퇴해 보궐선거가 열리고, 비례부활로 당선됐던 히라오카는 이 보궐선거에 출마해 당선되면서 다시 지역구 국회의원이 되었다.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5회 중원선]]에서도 당선된 이후 [[간 나오토]] 내각에서 내각부 부대신 겸 국가전략실장, 총무부대신 등을 맡았으며, [[노다 요시히코]] 내각에서는 법무대신을 맡았으나 4개월 만에 개각으로 물러났다. 이때부터 정치 인생에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해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6회 중원선]]에서는 [[기시 노부오]]에게 밀려 낙선했다. 이후에도 2013년 참의원 재보궐 선거,[* [[기시 노부오]]가 참의원직을 사임하고 중의원 선거에 출마하면서 공석이 되었다.]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7회 중원선]]에 재도전했으나 낙선했다. 이제는 개인기로도 먹히지 않는다고 판단했는지 47회 중원선 이후 변호사로 일하다가 2023년, [[기시 노부오]]가 의원직에서 사퇴해 [[2023년 일본 국회의원 보궐선거|보궐선거]]가 열리자 3월 20일, 무소속 출마를 선언하며 정계복귀했다.[[https://news.yahoo.co.jp/articles/6b4f6130cd229ca2339466b4df6ff512eb1b3b2c|#]][* 정확히는 무소속 출마를 의도한 것은 아니고, 입헌민주당과 공천을 조율 중이었으나 당 차원에서의 공천에 부담을 느껴 입장을 보류하면서 히라오카 전 법무상 측에서 무소속 출마를 강행하고 당에서는 이를 묵인하기로 한 것이다.] 3월 25일, 공산당에서 후보 공천을 철회하면서 야권 단일후보가 되었다. 야권 단일 후보로서 42대 총선에서 사토의 차남과 붙었던 시절에서 23년이 지난 이번에는 사토의 종증손(從曾孫)[* 사토의 형 [[기시 노부스케]]의 장증손이다.]이자 [[기시 노부오]]의 장남, 그리고 '''[[아베 신조]]'''의 조카인 [[기시 노부치요]]와 붙게 되었다. 선거 결과 52.5%를 득표한 기시를 47.5%를 득표한 히라오카가 5%p 차이로 추격하는 결과가 나와 꽤 선전했으나, 결과적으로는 국회 복귀에 실패했다. [[https://www.nhk.or.jp/senkyo/database/touitsu/35/19888/skh54159.html|#]]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무소속)] || 1999 - 2000 || 정계 입문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000 - 2013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2013 || 야마구치 선거구 보궐선거 출마를 위한 탈당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013 - 2016 || 복당 || || [include(틀:민진당(일본))] || 2016 - 2018 || 당명 변경 || || [include(틀:국민민주당(2018년))] || 2018 || 합당[* [[희망의 당(2017년)|희망의 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18 || 탈당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17년))] || 2018 - 2020 || 입당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2020 - 2023 || 합당[* [[국민민주당(2018년)|국민민주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23 - || [[2023년 일본 국회의원 보궐선거|야마구치 2구 보궐선거]] 출마를 위한 탈당 || == 선거 이력 == || {{{#fff '''연도'''}}} || {{{#fff '''선거 종류'''}}} || {{{#fff '''선거구'''}}} || {{{#fff 소속 '''정당'''}}} || {{{#fff '''득표수 (득표율)'''}}} || {{{#fff '''당선 여부'''}}} || {{{#fff '''비고'''}}} || || 1999 || 이와쿠니시장 선거 || [[야마구치현]] [[이와쿠니시]] || [include(틀:무소속)] || 19,852 (36.94%) || 낙선 (2위) || || || 2000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6> [[야마구치현 제2구|야마구치 2구]] ||<|6> [include(틀:민주당(일본))] || '''104,372 (47.49%)''' || '''당선 (1위)''' || '''초선''' || || 2003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09,647 (51.61%)''' || '''당선 (1위)''' || '''재선''' || || 2005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03,734 (46.82%)''' || '''당선 (2위)'''[*석 석패율제 당선] ||<|2> '''3선''' || || 2008 || 일본 국회의원 보궐선거 || '''116,348 (55.21%)''' || '''당선 (1위)''' || || 2009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17,571 (51.65%)''' || '''당선 (1위)''' || '''4선''' || || 2012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53,493 (28.01%) || 낙선 (2위) || || || 2013 || 일본 국회의원 보궐선거 || [[야마구치현 선거구]] || [include(틀:무소속)] || 129,784 (28.62%) || 낙선 (2위) || || || 2014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2> [[야마구치현 제2구|야마구치 2구]] || [include(틀:민주당(일본))] || 57,814 (34.88%) || 낙선 (2위) || || || 2023 || [[2023년 일본 국회의원 보궐선거|일본 국회의원 보궐선거]] || [include(틀:무소속)] || 55,601 (47.53%) || 낙선 (2위) || || == 기타 == * [[중의원]] 시절인 [[2009년]]에 한국의 [[조승수]] 당시 국회의원과 북핵 문제에 대해 대담을 가진 적이 있다. [[http://naver.me/55XIsQy4|관련 기사]] [각주] [[분류:일본의 변호사]][[분류:일본의 외교관]][[분류:일본의 남성 정치인]][[분류:노다 내각 국무대신]][[분류:일본 법무대신]][[분류:민주당(일본) 국회의원]][[분류:제42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3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4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5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법조인 출신 정치인]][[분류:공무원 출신 정치인]][[분류:외교관 출신 정치인]][[분류:1954년 출생]][[분류:이와쿠니시 출신 인물]][[분류:도쿄대학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