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능침사찰)] ---- ||<-2> [[파일:대한불교조계종 상징.svg|width=22]] '''[[조계종|{{{#000 대한불교조계종}}}]]''' || ||<-2> '''{{{+2 흥천사}}}'''[br] 興天寺 | Heungcheonsa || || '''설립일''' ||1397년 || || '''소속국가'''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대한민국]]''' || || '''주지 스님''' ||각밀 || ||<|2> '''위치'''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시 성북구 흥천사길 29, 높이=200px, 너비=100%)]}}} || || [[서울특별시]] [[성북구]] [[돈암동]] 595 || || '''외부 링크''' || [[http://www.heungcheonsa.ne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channel/UCSHaeKU8QG1vTyv72EQ-hp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흥천사 전경.png|width=100%]]}}} || || {{{#fff ''' 흥천사 전경[*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206076|사진 출처 - 《불교신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7n0Z6qBKwlU)]}}} || || {{{#fff ''' BBS에서 제작한 흥천사 다큐멘터리 영상 '''}}}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성북구]] 흥천사길 29 ([[돈암동]] 595)에 위치한 [[조선시대]]의 사찰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총본산 [[조계사]]의 말사이다. == 연혁 == 흥천사는 원래 [[한양도성]] 내에 있었다고 한다. [[1396년]]([[태조(조선)|태조]] 5년)에 [[조선]] 태조의 정비였던 [[신덕왕후]] [[강씨]]가 죽자, 태조는 강씨의 능인 [[정릉(서울 성북)|정릉]]을 도성 안에 만들고, 정릉 동쪽에 원찰을 지었으니 이 절이 흥천사이다. 이후 1398년(태조 7년) 7월에 열린 우란분재[* 盂蘭盆齋. 영혼을 기리기 위해 스님들에게 음식을 바치는 의식.]에 직접 참여하기도 하고, 8월에는 직접 신덕왕후의 천도회[* 薦度會. 사망한 사람의 영혼을 극락으로 보내고자 실시하는 불교 의례.]를 열면서 스님들을 몸소 만나 시주하는 등 관심을 보였다. 그러나 계모 [[신덕왕후]]를 거의 증오하다시피 했던[* 정확히는 신덕왕후처럼 왕실의 권위를 등에 업고 정치를 좌지우지하려는 외척들에 대한 경계였다.] [[태종(조선)|태종]]은 즉위한 뒤인 [[1403년]](태종 3년)에 사찰에 딸린 전답과 [[노비]]의 수를 줄이고, [[1408년]](태종 8년)에는 절의 건물 170칸을 뜯어서 [[명나라]] 사신들의 객사인 태평관을 짓는데 사용했다. 그나마 태조의 체면 때문인지, 사찰 자체를 없앤 것은 아니어서 [[1410년]](태종 10년)에는 절을 수리하고 이듬해에는 사리각을 고쳐지었다. [[1424년]]([[세종(조선)|세종]] 6년)에 선종과 교종을 통합할 당시 [[선종(불교)|선종]]에 속하게 되었다. [[1437년]](세종 19년)부터 4년 간 왕명으로 사찰을 고쳐 지었고, 공사가 끝나자 5일 동안 경찬회[* 慶讚會. 불전 공사를 마치고 나서 여는 일종의 기념 의식. 불상, 불탑 등을 완성하거나 불경을 펴낸 후에도 연다.]를 개최했으며, [[1443년]](세종 25년) 4월에는 [[회암사]][* 태조가 한때 머무르던 곳이기도 하다.]의 주지스님이었던 만우를 데려다 이 절에 머무르게 했다. 또한, [[1447년]](세종 29년)에는 [[안평대군]]을 시켜 사리각에 [[부처님]]의 [[사리(불교)|사리]]를 모시게 했다. [[1462년]]([[세조(조선)|세조]] 8년)에는 [[흥천사명 동종|구리로 만든 범종]]을 만들고 이곳에 달았으며, 옛 흥천사 부지에 [[의경세자]]의 부인이자 며느리인 [[소혜왕후|한씨]]의 사저를 지어주기도 했다. [[1469년]]([[예종(조선)|예종]] 1년)에는 [[명나라]]의 [[성화제]]와 효정순황후가 지어 보낸 표기를 여기에 걸었다.[[http://sillok.history.go.kr/id/kha_10102122_002|#]] [[1480년]]([[성종(조선)|성종]] 11년) 절을 다시 고쳐 지었고, [[1504년]]([[연산군]] 10년)에는 [[창덕궁]] 안에 있던 내원당(內願堂)을 이 절로 옮겼다. 그러나 그 해 12월에 화재로 절이 전부 불 타 사리각만 남았고, [[1510년]]([[중종(조선)|중종]] 5년)에는 이 사리각까지 불타 완전히 폐허가 되어버렸다. 이후 [[1569년]]([[선조(조선)|선조]] 2년)에는 절이 정릉과 너무 가깝다는 이유로 왕명으로 함취정(含翠亭) 옛 터로 옮겨 지었다. 어찌어찌 명맥은 질기게도 이어져 온 셈이다. [[1794년]]([[정조(조선)|정조]] 18년)에 성민 스님과 경신 스님 등이 지금의 자리로 옮겨 짓고 절 이름을 '신흥사(神興寺)'라 고쳤다. 그 뒤 [[1846년]]([[헌종(조선)|헌종]] 12년)에 구봉 스님이 칠성각을 지었고, [[1849년]]([[철종(조선)|철종]] 1년)에 성혜 스님이 적조암을 새로 건립했으며, [[1853년]](철종 4년)에는 대웅전(지금의 극락전)을, 2년 뒤에는 [[1855년]](철종 6년) 명부전을 세웠다. [[고종(대한제국)|고종]] 즉위 직후인 [[1865년]](고종 2년)에는 신도들이 숙식하며 수행하는 공간인 대방과 스님들의 생활 공간인 요사채를 건립하면서 이름을 창건 당시의 이름인 '흥천사(興天寺)'로 되돌렸다. == 문화재 == 역사 깊은 절이니만큼, 문화재가 많이 있는 절이기도 하다. 현재까지 존재하는 전각으로는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계(多包系) 팔작지붕 건물인 극락보전(極樂寶殿)을 비롯하여 명부전(冥府殿)[* 명부전의 현판은 붉은 바탕에 금자로 쓴 것으로 [[흥선대원군]]의 글씨라고 한다.] · 용화전(龍華殿) · 칠성각 · 독성각(獨聖閣) · 만세루(萬歲樓) · 승방(僧房) · 대방 · 일주문(一柱門) · 종각(鐘閣) 등이 있다. 세조가 봉안했던 범종은 [[흥천사명 동종]]이라는 이름으로 1938년에 일제가 [[덕수궁]] 광명문으로 옮겨 전시하다가, 2019년에 광명문이 원 위치로 이전함에 따라 현재는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에 소장되어 있으며 2006년에 [[대한민국의 보물]] 제1460호로 지정받았다. ||<-7> [[파일:대한불교조계종 상징.svg|width=28]] '''{{{#000 흥천사 문화재 목록}}}''' || ||<:><-2>{{{#fff '''분류'''}}} ||<:>{{{#fff '''번호[* 번호가 적히지 않은 것은 2021년 11월 19일에 개정한 〈문화재보호법 시행령〉 이후 번호없이 지정받은 유물, 유적이다.[[https://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jsessionid=KBOocj2ljnxeKqyD3rF8Mg2LxhfZvFLPQMzmv05aeEQFGN8TpYV9nCml6C0Oic7Z.cha-was01_servlet_engine1?newsItemId=155703102§ionId=b_sec_1&pageIndex=1&pageUnit=10&strWhere=&strValue=&sdate=&edate=&category=&mn=NS_01_02|#]]] '''}}} ||<:>{{{#fff '''이름'''}}} ||<:>{{{#fff '''수량'''}}} ||<:>{{{#fff '''소재지'''}}} ||<:>{{{#fff '''비고'''}}} || ||<:><|3><-2>[[대한민국의 보물|보물]] ||<:> 1460호 ||<:>[[흥천사명 동종]][br](興天寺銘 銅鍾) ||<:>1구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서울)|사직로]][br]161 (세종로, 경복궁) ||<:> || ||<:> 1891호 ||<:>서울 흥천사 금동천수관음보살좌상[br](서울 興天寺 金銅千手觀音菩薩坐像) ||<:>1구 ||<|35><:>[[서울특별시]] [[성북구]] 흥천사길[br]29 (돈암동, 흥천사) ||<:> || ||<:> ||<:>서울 흥천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br](서울 興天寺 毘盧遮那佛 三身掛佛圖) ||<:>괘불도 1폭[br]복장낭 1건 3점[br]괘불함 1점 ||<:> || ||<:><-2>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대한민국의[br]국가등록문화재]] ||<:> 583호 ||<:>서울 흥천사 대방[br](서울 興天寺 大房) ||<:>1동[br]521㎡ ||<:> || ||<:><|28><-2>[[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서울특별시[br]유형문화재]] ||<:> 66호 ||<:>[[흥천사 극락보전]][br](興天寺 極樂寶殿) ||<:>건물 1동[br]토지 344.3㎡ ||<:> || ||<:> 67호 ||<:>[[흥천사 명부전]][br](興天寺 冥府殿) ||<:>건물 1동[br]토지 111.1㎡ ||<:> || ||<:> 367호 ||<:>흥천사 아미타불도[br](興天寺 阿彌陀佛圖) ||<:>1점 ||<:> || ||<:> 368호 ||<:>흥천사 지장시왕도[br](興天寺 地藏十王圖) ||<:>1점 ||<:> || ||<:> 379호 ||<:>흥천사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판[br](興天寺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板) ||<:>1건 60판 ||<:> || ||<:> 380호 ||<:>흥천사 현왕도[br](興天寺 現王圖) ||<:>1점 ||<:> || ||<:> 405호 ||<:>흥천사 극락보전 극락구품도[br](興天寺 極樂寶殿 極樂九品圖) ||<:>1점 ||<:> || ||<:> 406호 ||<:>흥천사 흥천사 극락보전 도량신도[br](興天寺 極樂寶殿 道場神圖) ||<:>1점 ||<:> || ||<:> 407호 ||<:>흥천사 극락보전 신중도[br](興天寺 極樂寶殿 神衆圖) ||<:>1점 ||<:> || ||<:> 408호 ||<:>흥천사 천룡도[br](興天寺 天龍圖) ||<:>1점 ||<:> || ||<:> 409호 ||<:>흥천사 만세루 아미타불회도[br](興天寺 萬歲樓 阿彌陀佛會圖) ||<:>1점 ||<:> || ||<:> 410호 ||<:>흥천사 만세루 신중도[br](興天寺 萬歲樓 神衆圖) ||<:>1점 ||<:> || ||<:> 411호 ||<:>흥천사 만세루 제석천도[br](興天寺 萬歲樓 帝釋天圖) ||<:>1점 ||<:> || ||<:> 412호 ||<:>흥천사 도량장엄번[br](興天寺 道場裝嚴幡) ||<:>16점 ||<:> || ||<:> 413호 ||<:>흥천사 목조여래좌상[br](興天寺 木造菩薩坐像 ||<:>1구 ||<:> || ||<:> 414호 ||<:>흥천사 목조보살좌상[br](興天寺 木造菩薩坐像) ||<:>1구 ||<:> || ||<:> 415호 ||<:>흥천사 명부전 석조지장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br](興天寺 冥府殿 石造地藏三尊像 및 十王像 一括) ||<:> 27구 ||<:> || ||<:> 415 - 1호 ||<:>석조지장보살좌상[br](石造地藏菩薩坐像) ||<:> ||<:> || ||<:> 415 - 2호 ||<:>석조무독귀왕상[br](石造道明尊者像) ||<:> ||<:> || ||<:> 415 - 3호 ||<:>석조도명존자상[br](石造道明尊者像) ||<:> ||<:> || ||<:> 415 - 4호 ||<:>시왕상[br](十王像) ||<:> ||<:> || ||<:> 415 - 5호 ||<:>귀왕상[br](鬼王像) ||<:> ||<:> || ||<:> 415 - 6호 ||<:>판관상[br](判官像) ||<:> ||<:> || ||<:> 415 - 7호 ||<:>사자상[br](使者像) ||<:> ||<:> || ||<:> 415 - 8호 ||<:>금강역사상[br](金剛力士像) ||<:> ||<:> || ||<:> 415 - 9호 ||<:>동자상[br](童子像) ||<:> ||<:> || ||<:> 416호 ||<:>흥천사 목조관음보살삼존상 및 복장유물[br](興天寺 木造觀音菩薩三尊像 및 腹藏遺物) ||<:>3구 ||<:> || ||<:> 423호 ||<:>흥천사 시왕도[br](興天寺 十王圖) ||<:>4점 ||<:> || ||<:><|3><-2> 서울특별시[br]문화재 자료 || 66호 ||<:>흥천사 약사불도[br](興天寺 藥師佛圖) ||<:>1점 ||<:> || ||<:> 70호 ||<:>흥천사 조왕도[br](興天寺 竈王圖) ||<:>1점 ||<:> || ||<:> 74호 ||<:>흥천사 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br](興天寺 石造藥師如來坐像 및 腹藏遺物) ||<:>붕상 1구[br]복장유물 1건 ||<:> || == 여담 == * 사찰 뒤편으로 구립 흥천어린이집과 느티나무어린이집 두 곳의 [[어린이집]]이 있다. 두 곳 모두 [[성북구]]에서 건립한 '''공립유치원'''이고 흥천사에서 어린이집 부지를 제공했으며 [[서울특별시]]에서 최초로 세워진 [[한옥]] 양식의 어린이집 건축물이기도 하다.[[http://weekly.donga.com/3/all/11/1429566/1|#]][[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141441|#]] * [[일제강점기]]의 시인 [[이상(작가)|이상]]이 1936년에 이곳에서 수필가 김향안(본명 변동림)과 결혼식을 올렸다. 그러나 결혼식을 올리고 1년 만에 이상은 사망했다. [[https://archive.sb.go.kr/isbcc/home/u/story/view/328.do;jsessionid=4F47FAB90C14A842378F0527C924EF4D|#]] 이후 김향안은 화가 김환기와 재혼했다. == 교통 == [[서울 지하철 4호선]]/[[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성신여대역]], 돈암2동주민센터입구.흥천사 정류장과 가깝다. 6번 출구로 나와서(혹은 [[서울 버스 162|162번]], [[서울 버스 1014|1014번]], [[서울 버스 1162|1162번]], [[서울 버스 2115|2115번]], [[서울 버스 성북20|성북20번]]을 타고 돈암2동주민센터.흥천사 정류장에 내려서) 천천히 걸어도 10분 정도면 도착할 수 있고, 아니면 [[마을버스(서울)|마을버스]] [[서울 버스 성북22|22번]]을 타고 흥천사입구까지 가도 좋다. 다만 올라가는 길이 경사로이고 이 길이 좀 가팔라서 경사로가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버거울 수도 있다. 흥천사 입구에는 350년 된 고목과 절까지 나 있는 가교가 놓여 있다. == 같이보기 == * [[정릉(서울 성북)|정릉]]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흥천사명 동종, version=4)] [[분류:성북구]] [[분류:대한불교조계종 말사]] [[분류:대한불교조계종 직할교구]][[분류:한국의 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