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함경남도]][[분류:북한의 항구]][[분류:1960년 설립]] [include(틀:북한의 항구)] ||<-2> {{{-2 '''[[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강원도(북한)|{{{#000 강원도}}}]]의 [[항구|{{{#000 항구}}}]]'''}}}[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1 흥남항}}}'''[br]興南港[br]Hungnam Port || }}} || || '''설립''' ||[[1960년]] || || '''기능''' ||무역항 || || '''부두수''' ||''미상'' || || '''주소''' ||{{{#!wiki style="margin: -3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흥남항, 너비=100%, 높이=250)]}}} ---- {{{#!wiki style="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D1C27; color: white" '''흥남항'''}}} {{{-2 ([[함경남도]] [[함흥시]] [[흥남구역]] 금빛동)}}}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 [[함경남도]] [[흥남시]]의 [[항구]]이다. == 상세 == 흥남항은 영화 [[국제시장]]에서 [[흥남 철수작전]]의 배경이기도 하며, [[문재인]] 대통령의 아버지의 고향이기도 하다. 흥남 철수 작전 때 월남하여 [[거제도]]에 뿌리를 내린 [[실향민/대한민국|실향민]]의 자손인 문재인 대통령과 간접적으로 연관되는 곳이라고 볼 수 있다. == 역사 == 역사적으로는 개항이래, 흥남의 발전과 함께하였다. 일제강점기 당시 이북 최대 공업도시 중 하나였던 흥남의 입지와 더불어, 많은 공산품이 흥남에서 만들어져서 흥남항을 통해 일본으로 흘러갔다. 광복 후 북한정권 치하에서 여러 차례 개건확장공사를 통하여 현재 동해안의 중요한 무역항구의 하나로 부상하였다. == 북한치하 == 그러나 일제강점기 때 성장을 지속한 흥남항은 [[6.25 전쟁]] 동안 초토화되었다. 중공군의 개입과 1.4 후퇴를 겪으며 [[흥남 철수작전]]이 진행되면서 미군은 흥남항과 흥남시를 함포 사격과 공중 폭격을 동원하여 잿더미로 만들어 버렸다. 이후 흥남항은 북한체제 하에서 무역항으로서의 기능은 상실하고, 어항·군항으로서의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현재는 간간이 러시아와 중국에게 항구 조차권을 판 상태로 보이며, 대북제재를 피해서 들어오는 러시아와 중국 배가 포착된다고 보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