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목차] == 흡수천아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AbsorbingKidfromtheSky-EE2-JP-C.jpg|width=400]]||[[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AbsorbingKidfromtheSky-DR2-EN-C-UE.jpg|width=400]]|| ||<:> 내수판 ||<:> 해외판 || || 한글판 명칭 ||||||||'''흡수천아'''|| || 일어판 명칭 ||||||||'''吸収天児(きゅうしゅうてんじ) '''|| || 영어판 명칭 ||||||||'''Absorbing Kid from the Sky'''||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속성|빛]] || [[천사족]] || 1300 || 1000 || ||||||||||이 카드가 전투에 의해서 상대 몬스터를 파괴해 묘지에 보냈을 때, 파괴한 몬스터의 레벨 × 300 만큼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를 회복한다.|| 일본판은 파라오의 유산, TCG는 [[천공의 성역]]에서 발매되었다. 일단 라이프 회복 효과는 유발 효과이고, 상대 몬스터와 같이 동반 사망한 경우에는 효과가 발동되지 않으니 확실하게 때려잡아야만 한다. 게다가, [[엑시즈 소환|엑시즈 몬스터]]나 [[링크 소환|링크 몬스터]]는 [[카치도키 이사오|레벨을 갖지 않기 때문]]에 잡아도 의미 없다. 일단 아래의 로열 나이트와는 경쟁상대이기는 한데, 공격력이나 속성, 종족은 같아도 레벨이 다르고, 회복하는 양도 다르다. 그쪽은 수비력을 참고하고 이쪽은 레벨을 참고한다. 어느쪽이 상위호환이냐 하는 문제가 아니라 상호호환쯤 되는 관계. 서로 일장일단이 있는 것이다. 하지만, 그 녀석이랑 마찬가지로 이녀석도 공격력 1300이라서 어태커로 그냥 쓰기에는 무리가 있다. 장착 카드라던가 필드 마법 등의 백업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름의 모티브는 흡수(吸収)의 규슈(九州)의 일본어 발음이 같다는 것을 활용한 언어 유희. == 로얄 나이트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RoyalKnight-SD11-JP-C.png|width=400]] || 한글판 명칭 ||||||||'''로얄 나이트'''|| || 일어판 명칭 ||||||||'''ロイヤルナイツ '''|| || 영어판 명칭 ||||||||'''Royal Knight'''||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유희왕/속성|빛]] || [[천사족]] || 1300 || 800 || ||||||||||이 카드가 전투에 의해서 상대 몬스터를 파괴해 묘지에 보냈을 때, 파괴한 몬스터의 수비력분만큼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를 회복한다.|| [[정의의 적]]에서 발매된 천사족 몬스터. 특이하게도 수비력을 참고해서 라이프를 회복하는 몬스터이다. 수비력만 높은 벽 몬스터를 때려잡는 것이 이 카드의 이상적인 플레이일 것이다. 그러나 어태커로 써먹기에는 1300이라는 공격력은 형편없이 낮기 때문에, 장착 마법카드들을 이용해 열심히 보조를 해 줄 필요가 있다. [[다그라의 검]]이라거나, [[거대화(유희왕)|거대화]] 등등. 아니면, 벽 몬스터를 공격표시로 표시형식을 바꾸게 한 후에 이 카드로 때려잡으면 될 것이다. [[빙결계|빙결계의 로얄 나이트]]와의 관계는 아마 없을 것이다. 오히려 같은 팩에서 나온 라이트닝 기어-섬공과 디자인이 매우 유사하다. [[분류:유희왕/OCG/천사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