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전년도에 처음으로 공개되거나 완결된 [[SF]] 및 [[판타지]] 작품들 중 [[만화|코믹북]]이나 [[그래픽 노블]], [[웹코믹]] 등 그래픽 형태로 표현된 작품들을 대상으로 하는 [[휴고상]]의 한 부문. 2009년 시상식부터 시작했다. == 수상작 목록 == '''굵은 글씨'''로 되어있는 것은 수상작, 나머지는 후보작들이다. === 2000년대 === {{{+2 '''Best Graphic Story'''}}} * 제56회 (2009년) '''카자 포글리오, 필 포글리오 《Girl Genius Vol. 8: Agatha Heterodyne and the Chapel of Bones》'''[*a 웹코믹 시리즈 《Girl Genius》의 단행본. 웹코믹은 [[https://www.girlgeniusonline.com/index.php|여기]]서 읽어볼 수 있다.] * [[조스 웨던]], 브렛 매튜스, 윌 콘라드 《[[세레니티(2005년 영화)|세레니티: 베터 데이즈]]》 * 짐 버처, 아르디안 샤프 《[[드레스덴 파일즈|드레스덴 파일즈: 웰컴 투 더 정글]]》 * 빌 윌링험, 마크 버킹험 《[[페이블즈]] Vol. 11: 전쟁과 평화》 * [[브라이언 K. 본]], 피아 구에라 《[[Y: 더 라스트 맨]] Vol. 10: '왜' 그리고 '무슨 이유로'》[* 국내에 정발된 《[[Y: 더 라스트 맨]] 디럭스 에디션 5》에 수록] * 하워드 테일러 《Schlock Mercenary: The Body Politic》[*c 웹코믹 시리즈 《Schlock Mercenary》의 단행본. 웹코믹은 [[https://www.schlockmercenary.com/|여기]]서 읽어볼 수 있다.] === 2010년대 === * 제57회 (2010년) '''카자 포글리오, 필 포글리오 《Girl Genius Vol. 9: Agatha Heterodyne and the Heirs of the Storm》'''[*a] * [[닐 게이먼]], 앤디 쿠버트 《[[배트맨 시리즈|배트맨: 망토 두른 십자군에게 무슨 일이 생겼나?]]》 * 빌 윌링험, 마크 버킹험 《[[페이블즈]] Vol. 12: 암흑시대》 * [[폴 코넬]], 레너드 커크 《[[캡틴 브리튼|캡틴 브리튼과 MI13]] Vol. 3: Vampire State》 * 하워드 테일러 《Schlock Mercenary: The Longshoreman of the Apocalypse》[*c] * 제58회 (2011년) '''카자 포글리오, 필 포글리오 《Girl Genius Vol. 10: Agatha Heterodyne and the Guardian Muse》'''[*a] * 빌 윌링험, 마크 버킹험 《[[페이블즈]] Vol. 14: 마녀들》 * 하워드 테일러, 트래비스 월턴 《Schlock Mercenary: Massively Parallel》[*c] * 브라이언 탈보트 《Grandville Mon Amour》 * 마이크 캐리, 피터 그로스 《The Unwritten Vol. 2: Inside Man》 * 제59회 (2012년) '''어슐라 버논 《Digger》'''[* 2003년부터 2011년까지 연재한 웹코믹으로, [[http://diggercomic.com/|여기]]서 읽어볼 수 있다.] * 빌 윌링험, 마크 버킹험 《[[페이블즈]] Vol. 15: 빨간장미》 * [[조 힐(작가)|조 힐]], 가브리엘 로드리게스 《[[로크 앤 키]] Vol. 4: Keys To The Kingdom》 * 하워드 테일러, 트래비스 월턴 《Schlock Mercenary: Force Multiplication》[*c] * 마이크 캐리, 피터 그로스 《The Unwritten Vol. 4: Leviathan》 * 제60회 (2013년) '''[[브라이언 K. 본]], 피오나 스테이플스 《[[사가(만화)|사가]] Vol. 1》''' * [[조 힐(작가)|조 힐]], 가브리엘 로드리게스 《[[로크 앤 키]] Vol. 5: Clockworks》 * 하워드 테일러, 트래비스 월턴 《Schlock Mercenary: Random Access Memorabilia》[*c] * 브라이언 탈보트 《Grandville Bête Noire》 * [[폴 코넬]], 라이언 켈리 《Saucer Country Vol. 1: Run》 * 제61회 (2014년) '''랜들 먼로 《[[xkcd]]: "[[xkcd/에피소드#1190화|Time]]"》''' * [[브라이언 K. 본]], 피오나 스테이플스 《[[사가(만화)|사가]] Vol. 2》 * 카자 포글리오, 필 포글리오 《Girl Genius Vol. 13: Agatha Heterodyne & The Sleeping City》[*a] * [[폴 코넬]], 지미 브록스턴 《[[닥터후]]: "The Girl Who Loved Doctor Who"》[* 《[[닥터후|2013 닥터후 스페셜]]》에 수록. [[IDW]]에서 출간한 마지막 닥터후 만화라고 한다.] * 라야 골든 《The Meathouse Man》[* [[조지 R.R. 마틴]]의 동명의 단편 《미트하우스맨》을 원작으로 하는 Jet City Comics의 만화] * 제62회 (2015년) '''G. 윌로우 윌슨, 애드리언 알포나 《[[카말라 칸|미즈 마블]] Vol. 1: 비정상》''' * [[브라이언 K. 본]], 피오나 스테이플스 《[[사가(만화)|사가]] Vol. 3》 * 커티스 J. 위베, 록 웁처치 《Rat Queens Vol. 1: Sass and Sorcery》 * 맷 프랙션, [[칩 즈다스키]] 《Sex Criminals Vol. 1: One Weird Trick》[*e 이 아래로는 "수상작 없음"보다 적은 표를 받았다.] * 카터 리드 《The Zombie Nation Book #2: Reduce Reuse Reanimate》[* 웹코믹 시리즈 《The Zombie Nation》의 단행본으로, 웹코믹은 [[https://www.thezombienation.com/|여기]]서 읽어볼 수 있다.] * 제63회 (2016년) '''[[닐 게이먼]], J. H. 윌리엄스 3세 《[[샌드맨(만화)|샌드맨: 서곡]]》'''[*e] * 코리나 베치코, 가브리엘 하드맨 《Invisible Republic Vol. 1》 * 보아즈 라비에, 아사프 하누카, 토머 하누카《The Divine》 * 아론 윌리엄스 《Full Frontal Nerdity》[* 2003년부터 연재를 시작한 웹코믹 시리즈로, [[http://ffn.nodwick.com/|여기]]서 읽어볼 수 있다.] * 그레이 카터, 코리 라이델 《Erin Dies Alone》[* 2015년부터 연재를 시작한 웹코믹 시리즈로, [[https://v1.escapistmagazine.com/articles/view/comicsandcosplay/comics/erin-dies-alone|여기]]서 읽어볼 수 있다. 2017년에 완결되었다.] * 제64회 (2017년) '''마저리 류, [[타케다 사나]] 《몬스트리스 Vol. 1: 깨어남》''' * G. 윌로우 윌슨, 미야자와 타케시 《[[카말라 칸|미즈 마블]] Vol. 5: Super Famous》 * [[브라이언 K. 본]], 피오나 스테이플스 《[[사가(만화)|사가]] Vol. 6》 * [[브라이언 K. 본]], 클리프 챙 《Paper Girls Vol. 1》 * 타네히시 코츠, 브라이언 스텔프리즈 《[[블랙 팬서]] Vol. 1: A Nation Under Our Feet》 * [[톰 킹]], 가브리엘 에르난데스 왈타 《[[비전(2015)|비전]] Vol. 1: 인간보다 못할 것 없는》 * 제65회 (2018년) '''마저리 류, [[타케다 사나]] 《몬스트리스 Vol. 2: The Blood》''' * [[브라이언 K. 본]], 피오나 스테이플스 《[[사가(만화)|사가]] Vol. 7》 * 켈리 수 디코닉, 발렌타인 드 랜드로 《Bitch Planet Vol. 2: President Bitch》 * 살라딘 아메드, 크리스티안 워드 《[[블랙 볼트]] Vol. 1: Hard Time》 * [[브라이언 K. 본]], 클리프 챙 《Paper Girls Vol. 3》 * 에밀 페리스 《몬스터홀릭》 * 제66회 (2019년) '''마저리 류, [[타케다 사나]] 《몬스트리스 Vol. 3: Haven》''' * 은네디 오코라포르, 아론 코빙턴, 안드레 아라우조, 마리오 델 페니노 《[[블랙 팬서|블랙 팬서: 롱 리브 더 킹]]》 * 살라딘 아메드, 사미 키벨라 《Abbott》 * [[브라이언 K. 본]], 피오나 스테이플스 《[[사가(만화)|사가]] Vol. 9》 * [[브라이언 K. 본]], 클리프 챙 《Paper Girls Vol. 4》 * 틸리 월든 《햇살을 타고》 === 2020년대 === {{{+2 '''Best Graphic Story or Comic'''}}} * 제67회 (2020년) '''은네디 오코라포르, 타나 포드 《LaGuardia》''' * 마저리 류, [[타케다 사나]] 《몬스트리스 Vol. 4: The Chosen》 * 웬디 쑤, 수잔 워커 《Mooncakes》 * [[브라이언 K. 본]], 클리프 챙 《Paper Girls Vol. 6》 * 키에론 길렌, 제이미 맥켈비 《The Wicked + The Divine Vol. 9: Okay》 * 키에론 길렌, 스테파니 한스 《Die Vol. 1: Fantasy Heartbreaker》 * 제68회 (2021년) '''[[옥타비아 E. 버틀러]](원작), 데미안 더피, 존 제닝스 《Parable of the Sower: A Graphic Novel Adaptation》''' * 셰넌 맥과이어, 미야자와 타케시, 로지 캄페 《[[스파이더 그웬|고스트 스파이더]] Vol. 1: Dog Days Are Over》 * 마저리 류, [[타케다 사나]] 《몬스트리스 Vol. 5: Warchild》 * 키에론 길렌, 댄 모라 《Once & Future Vol. 1: The King Is Undead》 * G. 윌로우 윌슨, 크리스천 워드 《Invisible Kingdom Vol 2: Edge of Everything》 * 키에론 길렌, 스테파니 한스 《Die Vol. 2: Split the Party》 * 제69회 (2022년) '''[[N. K. 제미신]](글), 자말 캠벨(그림) 《Far Sector》''' * 키에론 길렌(글), 스테파니 한스(그림) 《Die Vol. 4: Bleed》 * 레이첼 스마이스 《[[로어 올림푸스]] Vol. 1》 * 마저리 류(글), [[타케다 사나]](그림) 《몬스트리스 Vol. 6: The Vow》 * 키에론 길렌(글), 댄 모라(그림) 《Once & Future Vol. 3: The Parliament of Magpies》 * [[톰 킹]](글), 미치 게라즈, 에반 "독" 쉐이너(그림) 《Strange Adventures》 * 제70회 (2023년) '''바르토시 슈티보르 외 《[[사이버펑크 2077|사이버펑크 2077: 빅 시티 드림즈]]》''' * 릴라 스터지스, 드류 존슨, 지드 《[[듄(2021)|듄: 공식 영화 그래픽 노블]]》 * 마저리 류, [[타케다 사나]] 《몬스트리스 Vol. 7: Devourer》 * 키에론 길렌, 댄 모라 《Once & Future Vol. 4: Monarchies in the UK》 * [[브라이언 K. 본]], 피오나 스테이플스, 포노그래픽스 《[[사가(만화)|사가]] Vol. 10》 * [[톰 킹]], 빌키스 이블리, 마테우스 로페스 《[[슈퍼걸]]: 우먼 오브 투모로우》 === 레트로 휴고상 === * 1939년 (2014년 수상) '''수상작 없음'''[*f 후보 불충분] * 1941년 (2016년 수상) '''빌 핑거, 밥 케인 《[[배트맨(만화)|배트맨]] #1》''' * 알렉스 레이몬드, 돈 무어 《[[플래시 고든]]: "The Ice Kingdom of Mongo"》[* 신문사 King Features Syndicate에서 1939년부터 1940년까지 연재] * [[윌 아이스너]] 《[[스피릿#s-3]]: "The Origin of the Spirit"》[* 신문사 Register and Tribune Syndicate의 신문의 1940년 6월 2일호에 수록] * 빌 파커, C. C. 벡 《[[샤잠(DC 코믹스)|캡틴 마블]]: "Introducing Captain Marvel"》[* 《Whiz Comics #2》에 수록] * 제리 시걸, 버나드 베일리 《[[스펙터(DC 코믹스)|스펙터]]: "The Spectre" / "The Spectre Strikes!"》[* 《More Fun Comics #52 / #53》에 수록] * 1943년 (2018년 수상) '''수상작 없음'''[*f] * 1944년 (2019년 수상) '''윌리엄 몰턴 마스턴, 해리 G. 피터 《[[원더우먼(만화)|원더우먼]] #5: Battle for Womanhood》''' * 필립 놀란, 딕 칼킨스 《[[벅 로저스]]: "Martians Invade Jupiter"》[* 신문사 National Newspaper Service에서 1941년부터 1943년까지 연재] * 알렉스 레이몬드 《[[플래시 고든]]: "Fiery Desert of Mongo"》[* 신문사 King Features Syndicate에서 1942년부터 1943년까지 연재] * 스티브 다울링 《Garth》[* 영국의 신문 《Daily Mirror》에서 1943년부터 연재를 시작한 만화. 1997년에 완결되었다.] * 잭 콜 《[[플라스틱 맨]] #1: The Game of Death》 * [[에르제]] 《[[땡땡의 모험]]: [[땡땡의 모험/시리즈 일람#s-11|유니콘호의 비밀]]》 * 1945년 (2020년 수상) '''제리 시걸, 조 슈스터 《[[슈퍼맨 시리즈|슈퍼맨]]: "The Mysterious Mr. Mxyztplk"》'''[* 《[[슈퍼맨 시리즈|슈퍼맨]] #30》에 수록] * 칼 바크스 《[[도날드 덕]]: "The Mad Chemist"》[* 《Walt Disney's Comics and Stories #44》에 수록] * 맨리 웨이드 웰만, 루 파인, 돈 코미사로우 《[[스피릿#s-3]]: "For the Love of Clara Defoe"》[* 신문사 Register and Tribune Syndicate의 신문의 1944년 7월 9일호에 수록] * 딕 칼킨스 《[[벅 로저스]]: "Hollow Planetoid"》[* 신문사 National Newspaper Service에서 1944년에 연재] * 알렉스 레이몬드 《[[플래시 고든]]: "Battle for Tropica"》[* 신문사 King Features Syndicate에서 1943년부터 1944년까지 연재] * 알렉스 레이몬드 《[[플래시 고든]]: "Triumph in Tropica"》[* 신문사 King Features Syndicate에서 1944년에 연재] == 기타 == 그래픽 스토리 부문이 생기기 이전에는 [[휴고상/최우수 관련작업|관련작업 부문]]에 만화 작품들이 몇 차례 후보로 오른 적이 있었다. 후보에 오른 작품들로는 《[[배트맨: 다크 나이트 리턴즈|다크 나이트 리턴즈]]》, 《[[스콧 맥클라우드|만화의 이해]]》, 《[[샌드맨(만화)|샌드맨: 꿈 사냥꾼]]》 등이 있었다. 휴고상을 수상한 작품으로는 1988년 《[[왓치맨]]》이 [[휴고상/중단된 부문#기타 유형|기타 유형 부문]]을 수상한 것이 유일했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휴고상, version=115, paragraph=5.7)] [[분류:휴고상]][[분류:만화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