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금 추존 및 비정통 황제)]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8223D 0%, #b82647 20%, #b82647 80%, #98223D); color: #ece5b6" '''금 추존 황제[br]{{{+1 휘종 경선제 | 徽宗 景宣帝}}}'''}}} || ||<|2> '''출생''' ||연대 미상 || ||[[여진]] [[헤이룽장성|회령부]] [[하얼빈시|회령현]][br](現 [[헤이룽장성]] [[하얼빈시]] 아청구) || ||<|2> '''사망''' ||[[1124년]] [[7월]] || ||[[금나라|금]] [[하얼빈시|상경 회령부]][br](現 [[헤이룽장성]] [[하얼빈시]] 아청구) || || '''능묘''' ||흥릉(興陵)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성씨''' ||완안(完顔) || || '''휘''' ||{{{-2 '''중국식 :'''}}} 종준(宗峻)[br]{{{-2 '''여진식 :'''}}} 승과(繩果) || || '''부모''' ||부황 [[태조(금)|태조]][br]모후 [[성목황후 당괄씨|성목황후]] || || '''형제자매''' ||16남 3녀 중 5남 || || '''배우자''' ||혜소황후 || || '''자녀''' ||3남 2녀 || || '''작호''' ||변왕(汴王) → 풍왕(豐王) || || '''묘호''' ||'''[[휘종]](徽宗)''' || || '''시호''' ||윤공극양효덕현공우성경선황제[br](允恭克讓孝德玄功佑聖景宣皇帝)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여진족이 세운 왕조인 [[금나라]]의 황족이자 추존황제로, 금나라의 제3대 황제인 [[희종(금)|희종]]의 생부이다. == 생애 == 완안승과는 금나라의 초대 황제인 [[태조(금)|태조]] 완안아골타의 적자로 모후는 [[성목황후 당괄씨]]이다. 천보 5년(1121년)에 금나라가 요나라를 공격할 때 완안승과 요나라의 서경을 취하여 함락시키는 공적을 세웠다. 이후 1123년에 태조가 세상을 떠나자, 완안승과는 태조의 아우이자 자신의 삼촌인 완안오걸매를 황제로 세우니, 이가 제2대 황제인 [[태종(금)|태종]]이다. 완안승과는 태종이 즉위하고 1년 뒤인 1124년에 세상을 떠났는데, 생전의 자세한 기록은 알 수 없다. == 황제 추존 == 제2대 황제였던 태종이 자신의 자식들에게 제위를 물려주려다가 여진족 부족장들의 반발로 실패하여, 1132년에 태조의 적장손이자 완안승과의 아들인 완안합라를 황태자로 책봉하였다. 1135년 태종이 세상을 떠나고, 완안합라가 금나라 황제의 자리에 올랐으니, 이가 제3대 황제인 희종이다. 희종은 생부인 완안승과에게 휘종(徽宗)이라는 묘호를 올리고, 경선황제(景宣皇帝)라는 시호를 올렸다가 이후 윤공극양효덕현공우성경선황제(允恭克讓孝德玄功佑聖景宣皇帝)로 시호를 고쳤다. 1150년에 완안적고내가 희종을 시해하고 즉위하였는데 이가 금나라의 제4대 황제가 되는 [[해릉양왕]]이다. 해릉양왕은 희종을 동혼왕(東昏王)으로 강등시키며 완안승과도 풍왕(豐王)으로 강등시켰고 묘호와 시호를 모두 삭탈하였다. 이후 1161년에 해릉양왕이 폐위되었고 완안옹이 추대를 받아 즉위하니, 이가 금나라의 제5대 황제인 [[세종(금)|세종]]이다. 세종은 희종과 완안승과의 묘호와 시호를 복위시켜, 완안승과는 다시 묘호와 시호를 받았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금사)] [[분류:금나라의 추존 황제]][[분류:1124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