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옛한글 자모)] [목차] == 개요 == 중국 한자음에 존재하는 두 가지 계열의 치음(齒音, sibilants), 즉 치두음(齒頭音)과 정치음(正齒音)을 구분하기 위해 만든 [[한글 자모]]. [[훈민정음 해례본]]에는 등장하지 않으나, 훈민정음 언해본(1459년), 사성통고(1447)의 서문[* 본문은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사성통해]](1517), 번역[[노걸대]] 및 번역박통사(16세기 초)[* 이 두 책과 사성통해는 [[훈몽자회]]로 유명한 최세진이 지은 것이다.], 그리고 이 두 책의 형식을 따른 [[노걸대언해]] 및 박통사언해(17세기)에서 그 존재가 확인된다. 물론 한국어에는 치두음과 정치음의 구분이 없기 때문에, 위와 같이 중국음 표기가 주 목적이었던 일부 문헌을 제외하고는 자연스럽게 사장되었다. == 문자 == 치음에 해당하는 다섯 글자(ㅅ, ㅆ, ㅈ, ㅉ, ㅊ)의 좌우획 중 한 쪽을 늘여서 표시한다. 왼쪽을 늘인 ᄼ, ᄽ, ᅎ, ᅏ, ᅔ는 치두음을 나타내고, 오른쪽을 늘인 ᄾ, ᄿ, ᅐ, ᅑ, ᅕ는 정치음을 나타낸다. == 소리와 실제 사용 == 훈민정음 언해의 설명에서 '''치두음'''은 '혀가 윗니 끝에 닿는다'라고 되어 있다.[* 언해의 설명만 보면 [[치음]]에 더 가깝긴 하나 표기하던 중국어에는 치음이 없었기 때문에, 현재는 음성학의 [[치경음]] 계열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참고로 치경음은 윗니 말고 윗 [[잇몸]]에 붙인다. 즉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ㅅ, ㅆ, ㅈ, ㅉ, ㅊ과 '''음가가 같았다(중복되었다)는 추측이다.'''][* 치음자는 당대 조선어 표기 시에, 치두음자, 정치음자는 당대 중국 한자음을 정밀히 표기할 때 썼으므로 그저 동일 음가에 대한 표기 맥락이 달랐다고 보면 된다. 예를 들면 일본의 [[가타카나]]처럼.] 그러나 왜 이미 있는 ㅅ, ㅆ, ㅈ, ㅉ, ㅊ을 놔두고 굳이 치두음자를 썼는지는 아직 알 수 없다.[* 치음이 치두음과 정치음의 간음(중간 소리)이라는 설도 있긴 하다. 이를 따르는 소수설에서는 "치두음-치음-정치음'의 조음 위치를 각각 각각 '치경-후치경-치경구개~권설'로 본다. 'ᅎ-ㅈ-ᅐ'의 경우 '[ts\]-[tʃ\]-[tɕ~tʂ\]'. 관련 논문이 있긴 하나 주류 정설은 아니므로 맹신하진 말자.] 발음법은 혀끝을 윗잇몸에 붙이고 '스, 쓰, 즈, 쯔, 츠'소리를 낸다. 한마디로 ᄼ은 그냥 ㅅ과 같은데 구개음화는 하지 않는다. 덧붙여 ᅔ은 일본어의 ‘つ’와 유사하다. '''정치음'''은 '혀가 아랫잇몸에 닿는다'라고 되어 있다.[* 혀끝이 아랫잇몸에 닿게끔 혀를 굽히면 혓바닥이 경구개, 즉 센입천장에 닿으므로 현대 음성학의 [[치경구개음]] 혹은 [[권설음]] 계열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혀끝을 아랫잇몸에 대고 '샤, 쌰, 쟈, 쨔, 챠'를 발음하면 된다. 현대 국어의 ㅈ, ㅉ, ㅊ 소리와 같다. 그런데 혀를 뒤로 말아서 발음하는 권설음과는 발음법이 정반대이다. 치두음과 정치음 자모를 중국 [[중고음]] 체계인 [[https://ko.wikipedia.org/wiki/%EC%82%BC%EC%8B%AD%EC%9C%A1%EC%9E%90%EB%AA%A8|36자모]] 중 일부에 대당시키면 아래와 같다. ||<-2> 오음[* 아·설·순·치·후음(牙·舌·脣·齒·喉音)을 이른다. 설음은 설두음(舌頭音)과 설상음(舌上音), 순음은 중순음(重脣音)과 경순음(輕脣音), 치음은 치두음(齒頭音)과 정치음(正齒音)으로 세분하였다.] || [[청탁|전청]] || [[청탁|차청]] || [[청탁|전탁[* 이 열에서의 각자 병서(같은 자음을 옆으로 나란히 쓴 자모)는 한국어의 된소리가 아니라 중국 중고음의 유성무기음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야 한다.]]] || [[청탁|차탁]] || ||<|4> 치음[br]齒音 ||<|2> 치두음[br]齒頭音 || 精(정)[br]/ts/[br]ᅎ || 淸(청)[br]/tsʰ/[br]ᅔ || 從(종)[br]/dz/[br]ᅏ || || || 心(심)[br]/s/[br]ᄼ || || 邪(사)[br]/z/[br]ᄽ || || ||<|2> 정치음[br]正齒音 || 照(조)[br]/tɕ/[br]ᅐ || 穿(천)[br]/tɕʰ/[br]ᅕ || 牀(상)[br]/dʑ/[br]ᅑ || || || 審(심)[br]/ɕ/[br]ᄾ || || 禪(선)[br]/ʑ/[br]ᄿ || || || 설음[br]舌音 || 설상음[br]舌上音 || 知(지)[br]/ʈ/[br]ᅐ || 徹(철)[br]/ʈʰ/[br]ᅕ || 澄(징)[br]/ɖ/[br]ᅑ || 娘(낭)[br]/ɳ/[br]ㄴ || 설음은 설두음(舌頭音)과 설상음(舌上音)으로 나뉘는데, 설두음은 [t, tʰ, d, n]였다. 설상음은 엄밀히 따지자면 설음에 속하므로, 이를 구별해서 쓸 때는 (치음자의 변형으로 치두음과 정치음을 구별했듯이) 설음자인 ㄴ 계열 자모의 변형을 써야 더 합당하겠으나[* 북한에서 유니코드에 추가를 요구한 설상음 자모들은 ㄴ, ㄷ, ㅌ, ㄸ의 가장 왼쪽 세로획을 위로 연장한 형태였다. 다만 실제로 쓰인 적이 없었기 때문에 반려됐다.], 훈민정음 창제시에는 대체로 설두음만을 설음으로 처리하고 설상음은 치음 중 정치음에 준하여 해석한 듯하다. 훈민정음의 만들어질 당시 중국어에서는 중고한어의 설상음 知모, 徹모, 澄모가 치음으로, 娘모가 설음 泥모로 합류했다. 현대 중국어에서도 설상음과 정치음을 구별하지 않고 zh, ch로 통합해 쓴다. 현재 [[한자문화권]] 언어 중 설상음과 정치음을 구별하는 언어는 의외로 [[일본어]] 뿐이다. [[근대 한국어]]도 설상음과 정치음을 구별했으나 한국어의 음운 변동으로 인한 맞춤법 변경으로 인해 운두가 -i-인 경우 정치음에 합류했다. [[분류:옛한글]][[분류:훈민정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