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도호쿠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후쿠시마현 제4구}}}}}}'''[br]{{{-1 {{{#ffffff 福島県第4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Fukushima4.svg|width=100%]][br]}}}|| ||<-2><:>'''선거인 수'''||<-2><:>408,290명 (2022)|| ||<-2><:>'''상위 도도부현'''||<-2><:>[[후쿠시마현]]|| ||<-2><:>'''하위 행정구역'''||<-2><:>{{{#!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와키시]], [[소마시]], [[미나미소마시]],[br][[후타바군]], [[소마군]]}}}|| ||<-2><:>'''국회의원'''||<:>[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오구마 신지]]|| [목차] [clearfix] == 개요 == [[후쿠시마현]]의 동부 해안 지역 전체를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로, '''[[이와키시]], [[소마시]], [[미나미소마시]], [[후타바군]], [[소마군]]'''을 관할하고 있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 소속 [[오구마 신지]]. == 상세 == === 신 후쿠시마 4구 (2022~현재) === 2022년 선거구 조정에 따른 [[후쿠시마현 제5구]]의 폐지로 인해 옛 5구 관할 지역과 1구에 속하던 소마시, 미나미소마시, 소마군 등이 포함되어 새로운 후쿠시마현 제4구로 편성되었다. 관할 지역을 보면 알겠지만, 이 선거구는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가 위치한 [[후타바마치]], [[오쿠마마치]]가 속한 선거구다.''' 여기에 더해 후쿠시마 원전 반경 30km 이내의 방사능 위험 지역인 [[이와키시]], [[미나미소마시]], [[소마군]] 등도 관할구역으로 포함되어 있다. 다시말해 '''관할 지역 대부분이 방사능 위험 지역인 선거구다.''' ===# 옛 후쿠시마 4구 (1996~2022) #=== [[메이지 유신]] 이전에 존재하던 [[아이즈 번]]의 관할지역 대부분이 이 선거구에 속해있다. 원래는 [[후쿠시마현 제3구|3구]]처럼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이 고전하는 곳이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보수 성향이 강한 선거구이다. 자민당이 고전한 이유는 자민당을 탈당해 [[신생당]] - [[신진당]] - 무소속회를 거쳐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에 입당한 와타나베 고조 의원의 기반이 워낙 강력해서였다. 와타나베의 은퇴 이후 치러진 제 46회 총선부터는 민주당이 몰락하고 오히려 [[일본 유신회(2012년)|일본 유신회]] [[오구마 신지]][* 한국계 중의원이었던 [[아라이 쇼케이]]의 비서 출신이다.] 후보가 2등을 차지했다. 오구마 신지는 석패율 제도를 통해 첫 당선되었다. 현역 의원인 오구마 신지는 일본 유신회의 후신인 [[유신당]]이 민주당과 합치자 [[민진당(일본)|민진당]] 소속이 되었고, 현재는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 소속 4선 의원이다. 역시 4선 현역 의원이고 지난 총선에서 비례대표로 당선된 자민당 간케 이치로와는 [[2012년]] 제46회 총선때부터 계속 대결했다. 최근 세 번의 총선은 두 후보가 2% 이내의 초박빙 승부를 벌였다. 2022년 선거구 조정 전까진 후쿠시마현 내에서 '''방사능에서 가장 안전한 지역구'''였다. 원전은 동부에 있지만, 이 지역구는 현의 서부 지역을 관할한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후쿠시마현 제4구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5> 와타나베 고조 || [include(틀:신진당)]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2>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808080,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무소속회)]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2>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 간케 이치로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오구마 신지]] || [include(틀:유신당)]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간케 이치로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오구마 신지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후쿠시마현 제4구}}}}}}'''[br]{{{#fff 아이즈와카마츠시, 키타카타시, 미나미아이즈군,[br]키타아이즈군, 야마군, 카와누마군, 오누마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cf0a2c> [[신진당|[[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width=50]]]] || '''와타나베 고조''' || '''93,960표''' || '''1위''' || || [include(틀:신진당)] || '''48.73%'''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사이토 후미아키 || 87,643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5.45%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하라다 도시히로 || 11,226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5.8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92,829표 ||<|2> '''투표율''' || || 선거인 수 ||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후쿠시마현 제4구}}}}}}'''[br]{{{#fff 아이즈와카마츠시, 키타카타시, 미나미아이즈군,[br]키타아이즈군, 야마군, 카와누마군, 오누마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808080> {{{#fff '''無所会'''}}} || '''와타나베 고조''' || '''102,631표''' || '''1위'''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808080,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무소속회)] || '''50.70%'''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야마우치 히데오 || 88,501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3.72%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하라다 도시히로 || 11,312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5.59%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02,444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후쿠시마현 제4구}}}}}}'''[br]{{{#fff 아이즈와카마츠시, 키타카타시, 미나미아이즈군,[br]키타아이즈군, 야마군, 카와누마군, 오누마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808080> {{{#fff '''無所会'''}}} || '''와타나베 고조''' || '''97,014표''' || '''1위'''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808080,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무소속회)] || '''52.26%'''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야마우치 히데오 || 78,059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2.05%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하라다 도시히로 || 10,581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5.70%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85,654표 ||<|2> '''투표율'''[br]74.29% || || 선거인 수 ||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후쿠시마현 제4구}}}}}}'''[br]{{{#fff 아이즈와카마츠시, 키타카타시, 미나미아이즈군,[br]키타아이즈군, 야마군, 카와누마군, 오누마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와타나베 고조''' || '''91,440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8.48%'''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와타나베 아쓰시 || 84,803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4.96% || 비례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하라다 도시히로 || 12,356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6.5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88,599표 ||<|2> '''투표율'''[br]76.15% || || 선거인 수 || 252,177인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후쿠시마현 제4구}}}}}}'''[br]{{{#fff 아이즈와카마츠시, 키타카타시, 미나미아이즈군,[br]키타아이즈군, 야마군, 카와누마군, 오누마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와타나베 고조''' || '''91,695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9.40%'''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와타나베 아쓰시 || 49,349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26.59% || 낙선 || ||<|2> [[모두의 당|[[파일:다함께당 로고.png|width=50]]]] || [[오구마 신지]] || 42,824표 || 3위 || || [include(틀:모두의 당)] || 23.07% || 낙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50]]]] || 스즈키 노리오 || 1,735표 || 4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0.93%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85,603표 ||<|2> '''투표율'''[br]77.42% || || 선거인 수 || 244,469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후쿠시마현 제4구}}}}}}'''[br]{{{#fff 아이즈와카마츠시, 키타카타시, 미나미아이즈군,[br]키타아이즈군, 야마군, 카와누마군, 오누마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간케 이치로''' || '''71,751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9.01%''' || '''당선''' || ||<|2><#fff> [[일본 유신회(2012년)|[[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width=50]]]] || [[오구마 신지]] || 50,036표 || 2위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2년))] || 34.18% || 비례당선 || ||<|2><#01a8ec> [[사회민주당(일본)|[[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width=50]]]] || 오가와 우젠 || 15,718표 || 3위 ||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10.74%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하라다 도시히로 || 8,903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6.08%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46,408표 ||<|2> '''투표율'''[br]63.99% || || 선거인 수 || 237,918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후쿠시마현 제4구}}}}}}'''[br]{{{#fff 아이즈와카마츠시, 키타카타시, 미나미아이즈군,[br]야마군, 카와누마군, 오누마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유신당|[[파일:유신당 로고.png|width=50]]]] || '''[[오구마 신지]]''' || '''56,856표''' || '''1위''' || || [include(틀:유신당)] || '''42.80%'''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간케 이치로 || 56,440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include(틀:신당 개혁)] 추천] || 42.48% || 비례당선 || ||<|2><#01a8ec> [[사회민주당(일본)|[[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width=50]]]] || 오가와 우젠 || 10,139표 || 3위 ||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7.63%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다나카 와카코 || 9,413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09%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32,848표 ||<|2> '''투표율'''[br]58.10% || || 선거인 수 || 233,320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후쿠시마현 제4구}}}}}}'''[br]{{{#fff 아이즈와카마츠시, 키타카타시, 미나미아이즈군, 야마군,[br]카와누마군, 오누마군, 니시시라카와군 일부}}}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간케 이치로''' || '''68,282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4.66%''' || '''당선''' || ||<|2><#046240> [[희망의 당(2017년)|[[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width=50]]]] || [[오구마 신지]] || 67,073표 || 2위 || || [include(틀:희망의 당(2017년))] || 43.86% || 비례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후루카와 요시노리 || 9,492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6.21% || 낙선 || ||<|2><#00a7db> [[사회민주당(일본)|[[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width=50]]]] || 와타나베 도시오 || 8,063표 || 4위 ||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5.27%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52,910표 ||<|2> '''투표율'''[br]63.12% || || 선거인 수 || 247,621인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후쿠시마현 제4구}}}}}}'''[br]{{{#fff 아이즈와카마츠시, 키타카타시, 미나미아이즈군, 야마군,[br]카와누마군, 오누마군, 니시시라카와군 일부}}}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50]]]] || '''[[오구마 신지]]''' || '''76,683표''' || '''1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후쿠시마현 연합 추천] || '''50.96%''' || '''당선'''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간케 이치로 || 73,784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9.04% || 비례당선 || ||<|2> '''계''' || 유효표 수 || 150,467표 ||<|2> '''투표율'''[br]64.68% || || 선거인 수 || 237,353인 || 두 현역 의원인 자민당 간케 이치로와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 오구마 신지가 재대결을 벌인다. 이번 선거가 두 후보 사이의 4번째 맟대결이며, 현재까지의 승패는 간케 이치로 후보가 2승 1패로 앞서 있다. 오구마 신지 의원의 경우, [[2010년]] [[참의원(일본)|참의원]] 선거에서 처음으로 전국단위 선거에 출마했으며, 이번 총선이 5번째 출마한 전국단위 선거가 된다 (중의원 4회, 참의원 1회). 5번 모두 소속정당 명칭이 다른데,[* [[모두의 당|민나노당]]-[[일본 유신회(2012년)|일본유신회]]-[[유신당]]-희망의 당-입헌민주당] 이는 지난 10년간 야당이 매우 혼란스러운 이합집산을 겪었음을 보여준다. 지난 총선과 달리 공산당에서 후보를 내정하지 않았다. 야권 단일화를 위해 끝까지 후보를 내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지난 총선에서는 [[사회민주당(일본)|사회민주당]]도 후보를 냈는데, 이번에는 사민당 후보 역시 나오지 않았다. 최종적으로는 다른 후보 없이 자민당 간케 후보와 입헌민주당 오구마 후보의 1대1 승부가 펼쳐지게 되었다. 2번 연속 1% 이내의 박빙 승부를 벌였기에, 오구마 신지에게는 다른 야당 후보 없이 선거를 치르는 유리한 조건이 마련되었다. 투표 결과, 이번에도 접전이었으나 승자는 뒤바뀌었다. 입헌민주당 오구마 신지 후보가 2% 차로 당선되었다. 지역구에서 패한 자민당 간케 이치로 후보는 석패율제를 통한 비례대표 의원으로 당선되었다.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2년에 공직선거법 개정안(일명 10증10감법)이 통과되면서 이 지역구는 기존 4구와 정반대로 기존 5구 지역과 1구에 있던 해안가 지역을 관할하게 되면서 완전히 다른 지역구가 되었고, 신 3구가 기존 4구의 뒤를 잇는 지역구가 되었다. 자민당에서는 기존 5구 현역인 [[요시노 마사요시]] 의원이 지부장으로 선임되었고 9선에 도전한다. 공산당에서는 지난 총선때 5구에 출마해 요시노 의원과 맞붙었던 구마가이 도모를 다시 공천했다.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후쿠시마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