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부총리 (제7ᆞ8ᆞ9ᆞ10ᆞ11ᆞ12ᆞ13기))] ---- || '''{{{#ffff00 후춘화 관련 틀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허베이성 영도인)] ---- [include(틀:역대 광둥성 영도인)] ---- [include(틀:역대 내몽골 자치구 영도인)] ---- }}} || ---- ||<-2>
'''{{{#ffff00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부주석}}}[br]{{{#ffff00 {{{+1 후춘화}}}[br]胡春华 | Hu Chunhua}}}'''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후춘화_TbET-fyskeuc4206711.jpg|width=100%]]}}} || || '''{{{#ffff00 이름}}}''' ||[[간체자]]: 胡春华 / [[번체자]]: 胡春華 ([[한어병음|병음]]: Hú Chūnhuá)[br][[한국 한자음]]: 호춘화 || || '''{{{#ffff00 국적}}}''' ||[[파일:중국 국기.svg|width=28]] [[중화인민공화국]] || || '''{{{#ffff00 출생}}}''' ||[[1963년]] [[4월]] ([age(1963-04-01)]세)[br][[중화인민공화국]] [[후베이성]] 이창시 우펑 투자족 자치현 || || '''{{{#ffff00 학력}}}''' ||[[베이징대학]] 중문학과 학사 (1979-1983년) || || '''{{{#ffff00 종교}}}''' ||[[무종교]] ([[무신론]]) || || '''{{{#ffff00 정당}}}''' ||[include(틀:중국공산당)] || || '''{{{#ffff00 현직}}}'''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부주석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자 [[중국공산당의 파벌]] 중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 파의 인물로 보시라이와 리위안차오, 리커창과 함께 [[시진핑]]을 견제하고 후진타오를 돕는 역할을 해온 북경대 출신의 정치인이다. 2012년 중국공산당 18차 당대회에서 당 중앙정치국 위원에 올랐고 2017년 19차 당대회에서도 정치국 위원직을 유임, 2018년 3월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상업무역담당 부총리 직을 맡았다. 그러나 시진핑의 3기 집권이 확정된 2022년 20차 당대회에서는 당 중앙정치국 위원에서 탈락하며 중앙위원으로 강등되었고, 이듬해 중앙 정부인 국무원에서 자문기관이며 사실상 은퇴를 앞둔 간부들의 양로원격인 전국정협 부주석으로 자리를 옮기며 사실상 정치 인생이 마무리되었다. == 생애 == [[1963년]] 후베이성의 우펑현의 농민 가정에서 출생했다. [[1983년]] 베이징대학에 전체 수석으로 입학해 중문학과를 졸업하고 [[티베트 자치구]]로 건너가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 조직부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하게 된다. [[2006년]]까지 티베트 지역에 있었는데, 외부의 평가로는 한족의 티베트 정착을 돕고 티베트 독립운동과 민족운동을 탄압했다는 평가를 받는다고. [[후진타오]]가 시짱 자치구 당서기를 지낼 당시 그 밑에서 능력을 인정받았다. 2006년 12월 베이징으로 돌아와 2008년 3월까지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 제1서기를 지냈다. 2008년 4월 중국 최연소로 허베이성장(省长) 권한대행을 맡았고 2009년 허베이성장에 정식으로 취임했다. 2012년 11월 제18대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으로 선임되었다. 이 때 이른바 격대지정 원칙[* [[덩샤오핑]]은 [[장쩌민]]에게 권력을 넘기면서 차차기로 후진타오를 지명했고, 장쩌민은 후진타오에게 권력을 넘기면서 차차기로 시진핑을 지명했다고 알려져 있다.]에 따라, 후진타오에 의해 차차기 최고지도자로 지명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17년까지 광둥성 당서기직을 맡으면서 그는 [[매춘]]과의 전쟁에 나섰는데 2014년 초, '''동방의 매춘 도시''' 란 별명이 있는 [[둥관시]]를 시작으로 전국구로 매춘 단속을 벌이게 하여 수많은 범죄자들을 소탕한바가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221181?sid=104|#]] === 2017년 이후 === 2017년 10월 제19대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에 연임되었으나 상무위원으로 진입하지는 못했다. 리위안차오, 링지화, [[쑨정차이]] 등과 함께 북경대 정경유착 비리 사건의 주모자로 중국공산당 중앙기율검사위원회의 조사를 받았다. 이 사건으로 광둥성 당서기에서 해임되고 중앙정치국에서 정직 5개월 무보직 관찰 처분을 받았다고 한다. [[2018년]] 3월 국무원 부총리에 임명되었다. [[시진핑]]이 적어도 3기 집권까지는 갈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는 가운데, 시진핑의 후임이 되지는 못하더라도 [[2023년]] 임기가 끝나는 [[리커창]] 총리의 뒤를 이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중국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20차 당대회]] 결과 중국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은 물론 중앙정치국 위원 25인 명단에도 들지 못했다. 결국 '비운의 황태자'가 되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되었다. [[https://www.news1.kr/articles/4841777|기사{{{-2 (뉴스1)}}}]] 후춘화의 중앙정치국 위원 탈락은 [[후진타오 강제 퇴장 논란|후진타오 전 주석의 퇴장 사건]]과 함께 시진핑 1인 체제의 확립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2023년 3월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정협 자체가 실권이 없는 조직인데다 시진핑의 최측근 [[왕후닝]]이 정협 주석이어서, 큰 의미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분류:이창시 출신 인물]][[분류:1963년 출생]][[분류: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부총리]][[분류:베이징대학 출신]][[분류:중국의 무종교인]][[분류:중국공산당 17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중국공산당 18기 중앙정치국 위원]][[분류:중국공산당 19기 중앙정치국 위원]][[분류:중국공산당 20기 중앙위원회 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