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BDDED 15%, #FFFFFF 15%, #FFFFFF 30%, #ABDDED 30%, #ABDDED 70%, #FFFFFF 70%, #FFFFFF 85%, #ABDDED 85%, #ABDDED )" {{{#002643 ''' 후안 마르베시의 수상 이력 ''' }}} }}} || || {{{#!folding ▼ ---- || '''{{{#white 1941 코파 아메리카 득점왕}}}''' || || '''후안 마르베시''' || }}} || ||<-2> [[파일:Juan Marvezzi.jpg|width=100%]] || || 이름 ||후안 안드레스 마르베시[br](Juan Andrés Marvezzi) || || 생년월일 ||[[1915년]] [[11월 16일]] || || 사망년월일 ||[[1971년]] [[4월 4일]] (향년 55세) || || 국적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8]] [[아르헨티나]] || || 출신지 ||[[산미겔 데투쿠만]] || || 포지션 ||포워드 || || 신체조건 ||불명 || || 소속팀 ||아르헨티노 데로사리오 (1934)[br]베야 비스타 데투쿠만 (1935-1936)[br][[CA 티그레]] (1937-1941)[br][[라싱 클루브 데 아베야네다]] (1942)[br][[CA 티그레]] (1946) || || 국가대표 ||9경기 9골 (1937-1941)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르헨티나]]의 전 축구 선수 == 생애[* 출처: 위키피디아, 11v11] == === 선수 생활 === ==== 클럽 ==== 마르베시는 어릴때부터 종이공과 사탕수수 줄기로 골대를 만들어 슈팅 연습을 했다. 1937년, [[CA 티그레]]에 입단한 마르베시는 득점으로 티그레의 아이돌이 되었다. 5시즌 중 3시즌을 티그레 최다 득점자가 되었던 그는 1942년에 잠시 [[라싱 클루브 데 아베야네다]]로 팀을 옮겼다. 하지만 별 활약을 못 보이고 1년 만에 다시 티그레에 복귀, 그곳에서 은퇴했다. ====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 ==== 마르베시는 1937년 10월 10일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가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우루과이]]를 3대0으로 이긴 경기에서 선제골을 넣으며 대표팀에 데뷔했다. 마르베시가 대표팀에서 최고의 활약을 펼친 무대는 [[1941 남아메리카 챔피언십 칠레|1941년 남아메리카 챔피언십]]이었다. 그는 3경기에 출전, 5골을 넣어 대회 득점왕이 되었는데 이 5골은 모두 [[에콰도르 축구 국가대표팀|에콰도르]]전 한 경기에서 나왔다.[* 마르베시는 아르헨티나 대표팀 역사상 최초의 1경기 5골 기록자가 되었으며 뒤에 [[호세 마누엘 모레노]]와 [[리오넬 메시]]가 타이기록을 세웠다. 이 5골은 코파 아메리카 역사상으로도 [[엑토르 스카로네]], 모레노와 더불어 한 경기 최다 득점 기록이다.] 그리고 아르헨티나도 대회 우승을 차지해 마르베시에게 최고의 한 해가 되었다. == 플레이 스타일 & 평가 == 강력하고 정확한 슈팅과 뛰어난 공중전 능력을 갖춘 공격수였다. == 수상 == === 선수 === ==== 국가대표 ==== * 남아메리카 챔피언십 우승 1회: [[1941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칠레|1941]] ==== 개인 ==== * 남아메리카 챔피언십 득점왕 1회: [[1941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칠레|1941]] [각주] [[분류:1915년 출생]][[분류:1971년 사망]][[분류:1934년 데뷔]][[분류:1943년 은퇴]][[분류:투쿠만 주 출신 인물]][[분류:아르헨티나의 축구선수]][[분류:공격수]][[분류:CA 티그레/은퇴, 이적]][[분류:라싱 클루브/은퇴, 이적]][[분류:아르헨티나의 코파 아메리카 참가 선수]][[분류:1941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칠레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