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말레이시아 총리)] ---- ||<-2> '''말레이시아 제3대 총리 [br] {{{+1 후세인 온 }}}[br] حسين اون''' || ||<-2> {{{#!wiki style="margin: -5px -11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un_Hussein_Onn_portrait.jpg|width=100%]]}}} || || '''이름''' ||후세인 온[br]Tun Dato' Hussein bin Dato' Onn[br]حسين اون || ||<|2> '''출생''' ||[[1922년]] [[2월 12일]] || ||[[말레이시아]] [[조호르 주]] [[조호르바루]] || ||<|2> '''사망''' ||[[1990년]] [[5월 29일]] (향년 68세)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 || '''학력''' ||인도 군 협회 || || '''약력''' ||말레이시아의 제3대 총리 || || '''정당''' ||[[통일말레이국민조직|통일말레이국민조직(UMNO)]] → [[무소속]] || || '''종교''' ||[[이슬람교]] || [목차] [clearfix] == 개요 == [[말레이시아]]의 제3대 총리. [[툰쿠 압둘 라만|다]][[압둘 라작|른]] [[마하티르 모하마드|사람]][[나집 라작|들]]과는 달리 이쪽은 그렇게 독재자로 분류되는 편은 아닌데 후에 등장하는 [[압둘라 아마드 바다위]]와 더불어 '''그나마 정상적인 총리'''였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독재자가 아니라고 할 수는 없지만... == 생애 == 1922년 2월 12일 [[조호르바루]]에서 태어났다. 유력 정치가문 출신인데 아버지 온 자파르는 [[통일말레이국민조직]](UMNO)의 창시자이며 독립운동가이고 할아버지 자파르 무하마드는 [[조호르]]의 초대 총리대신이었다. 독재자 부자(父子)인 [[압둘 라작]]과 [[나집 라작]]과는 친척 관계이다. 혼혈인 출신인데 [[러시아]], [[터키]], [[말레이]] 혼혈이다.[* 다만 말레이시아는 이슬람 국가이므로 아랍이나 터키 등 중동 이슬람권 조상을 둔 사람들도 적지 않다.] 얼굴에서도 그 이국적인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싱가포르]]의 틀록쿠라우 초등학교에서 재학했고 [[조호르군]]에 입대하여 군 생활을 한다. 당시 [[제2차 세계대전]]이었는데 [[영국]]령인 말라야의 군대에서 활동했던 그는 영국의 지시에 따라 [[인도]]로 건너가 거기서 잠시 활동했다. 전시 후에는 [[파키스탄]]의 [[라왈핀디]]에서 경찰로 재직하다가 본국으로 귀국한다. 당시 조국인 말라야가 영국의 지배를 받는 것에 큰 서러움을 느낀 그는 아버지가 창당한 UMNO의 청년대표로 일했다. 하지만 정작 창당의 주역인 아버지가 탈당하고 말라야 독립당을 창당하자 본인도 당적을 옮겼다. 후에 말라야 독립당은 국가당으로 개편되었고 해산될 때까지 그 당에 남아있게 되지만, 1968년 부총리이자 사촌인 [[압둘 라작]]의 권유를 받고 UMNO로 복귀한다. 라작의 전적인 지원으로 그는 당 지도부에서 큰 힘을 발휘하다가 1973년 부총리 이스마일 압둘 라만이 급서하자 부총리직을 승계한다. 이어 총리로 재직하던 라작마저 급서하자 총리직을 계승했다. == 총리 == 물론 말레이시아 독립의 일원인데다가 사실상의 최고권력자인 총리로 재직했음에도, 그는 타 총리들에 비해서 가장 존재감이 없다. 이것은 사후 집권한 총리들이 그를 다소 격하시키려 했던 것 때문. 독재를 강행한 다른 총리들과는 달리 이 사람은 독재자인가 아닌가에 대해서는 다소 논란상에 있는데 그래도 세습까지 강행한 [[압둘 라작|친]][[나집 라작|척]]들보다는 낫다. 그렇지만 그가 온전히 민주인사인 건 아니고, 여러모로 독재자들과 큰 차이는 없다는 점을 볼 때는 확실히 [[호치민]]이나 [[니키타 흐루시쵸프]]에 가깝다. 후세인은 재직 중 민족의 단결을 위한 정책을 펼쳤는데, 이미 이전부터 특히 [[말레이인]]과 [[중국인]]을 중심으로 한 갈등이 매우 심각했고 그는 이것을 해결하고자 했다. 하지만 전직 총리이자 독재자였던 [[압둘 라작]]이 만들어 놓은 인종차별 정책인 [[부미푸트라 정책]]을 바로 통과시켰고 이것이 과연 민족의 단결을 위해 노력한 것인가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다. 또한 개인우상화도 여느 총리들과 마찬가지로 강행되었는데 스스로를 "단결의 아버지"라고 칭했다. 자신의 치적을 바탕으로 한 것인데 정작 자신의 치적 자체가 논란거리이니 이러한 호칭이 올바르냐는 쉽게 내릴 수 있는 결정이 아니다. 여하튼 그의 우상화 정책 덕분에 여기저기 그의 이름이 나붙게 되었다. 물론 스스로를 우상화하는 것 자체가 민주국가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그리고 다소 반목관계였던 [[마하티르 모하마드]]가 권력순위에 오르게 되었는데 말레이시아의 독재자로 유명한 마하티르는 이미 라작 시절부터 학생운동 탄압을 주도했던 사람이었다. 물론 라작은 독재자였으니 그렇다 쳐도, 후세인마저 이를 묵인하면서 학생운동가들의 비판을 받게 되었다. 그가 인권 문제에는 별 관심이 없었던 건 사실이었다. 아무튼 1981년 건강악화로 사임했는데 후계자인 마하티르가 권력을 승계했고 이후 '''22년'''의 장기독재가 시작되었다. 여담으로 후세인과 마하티르는 반목관계였는데 이런 비주류가 후계를 하게 된 것은 그가 [[영어]]에 능통하고 충분히 리더십이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 당연히 퇴임 후 마하티르와 잦은 갈등을 겪었는데 1987년 헌법위기 때도 주류계열을 지지했으며 이후 UMNO는 정당해산 크리를 먹게 된다. 마하티르는 이후 자신의 세력들을 축으로 한 신UMNO를 창당하지만, 그는 여기에 가담하지 않았고, 이후 1990년 [[미국]]의 [[샌프란시스코]]에서 조용히 숨을 거두게 된다. [[분류:말레이시아의 독립운동가]][[분류:말레이시아 총리]][[분류:1922년 출생]][[분류:1990년 사망]][[분류:조호르 주 출신 인물]][[분류:말레이시아의 무슬림]][[분류:러시아계 말레이시아인]][[분류:튀르키예계 말레이시아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