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아시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감독)]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FFF 100%, #FFFFFF)" {{{+1 [[요르단 축구 국가대표팀|{{{#d31a19 '''요르단 축구 국가대표팀'''}}}]]}}}}}} || ||<-3> {{{#FFFFFF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후세인 아모타.jpg|width=100%]]}}} || ||<-2> {{{#d31a19 ''' 이름 ''' }}} || '''{{{+1 후세인 아무타}}}[br]Hussein Ammouta''' || ||<-2><|2> {{{#d31a19 '''출생 ''' }}} ||[[1969년]] [[10월 24일]] ([age(1969-10-24)]세) || ||[[모로코]] 케미세트 || ||<-2> {{{#d31a19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모로코)] || ||<-2> {{{#d31a19 '''직업''' }}} ||[[축구 선수]] (미드필더 / ^^은퇴^^)[br][[축구 감독]] || ||<|2> {{{#d31a19 '''소속''' }}} || '''선수''' ||IZ 케미세트 (1988~1990)[br]'''[[FUS 라바트]]''' (1990~1996)[br][[알 리야드 SC]] (1996~1997)[br]'''[[알 사드 SC]]''' (1997~2001)[br][[샤르자 FC]] (2001~2003)[br][[카타르 SC]] (2002)[br]젬무아 SC (2003) || || '''감독''' ||젬무아 SC (2003)[br]IZ 케미세트 (2005~2008)[br][[FUS 라바트]] (2008~2011)[br][[알 사드 SC]] (2011~2012 / ^^테크니컬 디렉터^^)[br][[알 사드 SC]] (2012~2015)[br][[위다드 AC]] (2017~2018)[br]모로코 A' 대표팀 (2020~2022)[br][[위다드 AC]] (2022~2023)[br][[AS FAR]] (2023)[br]'''[[요르단 축구 국가대표팀|요르단 대표팀]]''' '''(2023~ )''' || ||<-2> {{{#d31a19 '''국가대표''' }}} ||5경기 1골 ^^([[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모로코]] / 1991~1994)^^ || [목차] [clearfix] == 개요 == [[요르단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 == 선수 경력 == 고향 팀인 IZ 케미세트에서 데뷔하여 자국 명문팀인 [[FUS 라바트]]에서 6시즌간 활동하였다. 이후 [[알 리야드 SC]]에 진출했으나 1시즌 만에 떠났고 [[알 사드 SC]]에 합류하였는데 여기서 '''45경기 24골'''을 기록하며 맹활약하였다. 이후 2003년 자국으로 돌아와 은퇴하였다. 국가대표로는 자국 클럽인 [[FUS 라바트]] 소속일 때 5경기 출장해 1골을 기록하였다. 또한 U-23 대표팀 시절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축구|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축구]]에 출전해 대한민국과 맞대결을 벌이기도 했다. == 감독 경력 == 2003년 은퇴한 팀인 젬무아 SC의 감독직을 맡으면서 감독 경력을 시작하였다. 이후 2005년 고향팀인 IZ 케미세트을 맡다가 2008년 [[FUS 라바트]]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2011년 [[알 사드 SC]]의 테크니컬 디렉터로 임명된 이후 2015년까지 카타르에서 활동하였다. 2017년 [[모로코]]로 복귀한 이후 클럽팀들을 맡았지만 1년을 넘기지 못하였다. 하지만 [[CAF 챔피언스 리그]]를 위다드를 이끌고 제패하며 '''아프리카 챔스 우승을 달성한 역사상 첫 모로코인 감독''' 기록도 세웠다.[* 두 번째 우승을 달성한 모로코인 감독이 바로 현 모로코 대표팀 감독 [[왈리드 레그라귀]]다.] 2023년 6월부터 [[요르단 축구 국가대표팀|요르단 대표팀]] 감독으로 부임하게 되었고,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조별리그 첫 경기에서 [[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말레이시아]]를 4-0으로 완파한 데에 이어 조별리그 2차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전에서도 예상 외로 선전하며 한국을 밀어붙이며 역전에 성공했고, 비록 후반 추가시간에 자책골이 나오는 불운으로 다 잡은 승리를 놓치긴 했지만 2-2 무승부를 거두며 선전했다. 비록 조별리그 3차전에서는 [[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바레인]]에게 패해 조3위로 떨어지긴 했지만 16강 진출에는 성공했다. 16강전에서는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이라크]]를 상대를 1:2로 뒤지던 후반 막판 극적으로 두 골을 성공시키며 역전승을 거두었으며, 8강에서는 타지키스탄을 만나 1:0 무난한 승리를 거뒀고, 4강에서는 대한민국을 압도하고 2:0으로 승리하고 결승까지 진출. 요르단 대표팀 역대 최고 기록을 갱신하였다.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결승|결승]]에서는 카타르에 1대3으로 패하며 준우승으로 대회를 마쳤지만, 그래도 요르단의 역대 [[AFC 아시안컵]] 최고 성적을 기록시켜 준 것만 해도 업적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참가 감독)] [[분류:1969년 출생]][[분류:1988년 데뷔]][[분류:2003년 은퇴]][[분류:라바트살레케니트라 지방 출신 인물]][[분류:모로코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모로코의 남자 축구 감독]][[분류:FUS 라바트/은퇴, 이적]][[분류:알 리야드 SC/은퇴, 이적]][[분류:알 사드 SC/은퇴, 이적]][[분류:샤르자 FC/은퇴, 이적]][[분류:카타르 SC/은퇴, 이적]][[분류:FUS 라바트/역대 감독]][[분류:알 사드 SC/역대 감독]][[분류:위다드 AC/역대 감독]][[분류:AS FAR/역대 감독]][[분류:요르단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분류:모로코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참가 감독]][[분류:AFC 아시안컵 준우승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