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네이버 웹툰의 완결작/토요일)] ||<-2>
{{{#ffffff,#dddddd '''{{{+1 후레자식}}}'''[br]Bastar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53c5ffd7747914761bd4b63b580e0a69.png|width=100%]]}}} || || '''{{{#ffffff,#dddddd 장르}}}''' ||[[범죄물|범죄]], [[스릴러]], [[고어물|고어]] || || '''{{{#ffffff,#dddddd 작가}}}''' ||스토리: [[김칸비]][br]작화: 황영찬 || || '''{{{#ffffff,#dddddd 연재처}}}''' ||[[네이버 웹툰]] [[http://comic.naver.com/webtoon/list.nhn?titleId=628997|▶]][br][[네이버 시리즈]] [[https://series.naver.com/comic/detail.nhn?productNo=1563900|▶]] || || '''{{{#ffffff,#dddddd 연재 기간}}}''' ||2014. 07. 04. ~ 2016. 04. 29. || || '''{{{#ffffff,#dddddd 연재 주기}}}''' ||토 || || '''{{{#ffffff,#dddddd 단행본 권수}}}''' ||5권 ,,(2017. 06. 05. 完),, || || '''{{{#ffffff,#dddddd 이용 등급}}}''' ||[[청소년 이용불가]][* 연재 당시에는 [[전체 이용가]]였으나, 완결 이후 [[청소년 이용불가]]로 바뀌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의 웹툰. 스토리는 [[김칸비]], 작화는 황영찬이 담당했다.[* 김칸비는 기존에 연재 중이던 <[[죽은 마법사의 도시]]>와 함께 연재를 했으며, 황영찬은 <[[비흔]]>을 완결시키고 작품에 참여하게 되었다.] == 줄거리 == >'내 집안에 살인마가 산다.' >'''본격 세대갈등 잔혹 스릴러''' >---- >― 네이버 웹툰 살인자인 '''아버지'''로부터 '''아들'''이 진정한 세상에 나아가기까지의 이야기. == 연재 현황 == 2014년 7월 4일부터 연재를 시작해서 매주 토요일에 올라왔고 2016년 4월 29일에 완결되었다. 마감 이후 18세 이상 제재와 [[네이버 시리즈|시리즈]]로 업로드가 되며, [[청소년]]과 무과금 이용자는 더 이상 감상할 수 없다. 그러나 네이버 추천 완결에 올라오면서 1일마다 [[무료]]로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물론 [[미성년자]]는 못 본다. == [[/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후레자식(웹툰)/등장인물)] == 단행본 == ||
'''{{{#ffffff,#dddddd 01권}}}''' || '''{{{#231816,#231816 02권}}}''' || '''{{{#ffffff,#dddddd 03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ㅎㄹㅈㅅ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ㅎㄹㅈㅅ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ㅎㄹㅈㅅ3.jpg|width=100%]]}}} || || '''{{{#ffffff,#ddddd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7년 04월 20일}}}''' || '''{{{#ffffff,#ddddd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7년 04월 20일}}}''' || '''{{{#ffffff,#ddddd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7년 05월 25일}}}''' || ||<-3> || || '''{{{#000000,#000000 04권}}}''' || '''{{{#ffffff,#dddddd 05권}}}''' ||<|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ㅎㄹㅈㅅ4.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ㅎㄹㅈㅅ5.jpg|width=100%]]}}} || || '''{{{#ffffff,#ddddd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7년 06월 05일}}}''' || '''{{{#ffffff,#ddddd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7년 06월 05일}}}''' || 출판사는 소담출판사이며, 총 5권으로 완결되었다. == 미디어 믹스 == === 드라마 === 2018년 05월 22일 [[임필성]] 감독 주도하에 영화화된다는 기사가 떴다. 2020년에 개봉한다고 하였으나 거짓으로 밝혀졌다. 2021년 기준 아무 소식이 들리고 있지 않다. 그러던 중 임필성 감독이 [[Apple TV+]] 오리지널 드라마인 [[Dr. 브레인(드라마)|Dr. 브레인]]의 일부 에피소드 연출을 담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으로도 한참은 더 기다려야 할 듯 보인다.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396/0000633870|2023년 1월 16일]] 주인공 역으로 [[박지훈]]이 물망에 올랐다. 초기 구상은 영화였으나 이후 OTT 드라마로 변경된 것으로 보인다. == 기타 == * 제목에 대한 논란이 빗발쳤던 적이 있다. [[후레자식]]이 비속어이기 때문에 웹툰의 제목으론 부적합하다는 의견들이 나왔던 것. 후레자식은 '''표준어'''(!)지만, 분명 경멸적인 용도로 쓰이는 것도 맞다. 하지만 이게 단순 관심을 끌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작품을 관통하는 합당한 제목일 수 있으니 앞으로를 지켜보잔 의견도 나왔다. 그런데 3화가 공개되고 나니 '''사실은 후레자식이 아니라 후레애비였다.''' 혹은 '''후레놈의''' 자식, (애비 입장에서) 후레자식이란 이야기도 있다. * 24화에서 진이 '부모 말 안 듣는 자식이 후레자식이라면 나는 후레자식이 되겠다'고 결심하는 장면이 나온다. * 86화에서 아버지 입에서 후레자식이란 말이 나왔다.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07183&mobile&cid=3111&categoryId=3448|출처]] 프롤로그에 등장하는 그림은 18세기 프랑스의 화가 토마스 쿠튀르의 회화 작품 '''<아버지와 아들>'''(Un père et son fils)이다. 어째서 들어갔는지는 그야말로 [[제곧내]]. * 네이버 시리즈 소개말이 '''온 가족이 즐기는 스릴러'''. --뭐요?-- * 22화에선 선우 진의 아버지 선우 동수가 나오지 않는 것만으로도 만화가 청춘 성장물 같다는 의견이 많다. 그리고 26화에선 김재혁이 스스로 선우 진이 친구임을 인정한 것에 선우 진이 감동하는 장면으로 결정타. * 아들과 아버지가 서로 죽일 듯 사이가 안 좋은 것은 [[암살교실]]의 [[아사노 가쿠호|이사장]]과 [[아사노 가쿠슈|그 아들]]과 닮았다는 의견이 있다. 물론 그쪽은 서로 사이가 나아지고 있지만 여긴 정말로 죽이려고 하는 게 함정이다. * [[라인 웹툰]]에서의 제목은 Bastard이다. 정확히 "Bastard"는 [[사생아]]의 비하적인 표현이니 알맞는 번역이다. 별점은 '''9.69'''로 상위권이다. 또한 웹툰의 실질적인 인기도를 알려주는 매 에피소드당 추천수가 전 웹툰들 중에서도 최상위권을 달리고 있으며, 대개 웬만한 웹툰들의 매 에피소드의 추천수는 첫 화에서 가장 높고 뒤로 갈수록 점점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 웹툰은 놀랍게도 뒤로 가면 갈수록 추천수 최고 기록을 갱신하는 에피소드가 나오고 있다. 59화까지 연재된 시점을 기준으로 추천수가 가장 높은 화는 [[http://www.webtoons.com/en/thriller/bastard/ep-56/viewer?title_no=485&episode_no=57|56화]], 2위는 [[http://www.webtoons.com/en/thriller/bastard/ep-46/viewer?title_no=485&episode_no=47|46화]]. 결국 대호평 아래 [[2017년]] [[3월 20일]]로 완결됐다. * 만화 중간쯤에 나왔던 네이버 지식인 사이트는 실제로 링크가 있다.[[http://m.kin.naver.com/mobile/qna/detail.nhn?d1id=8&dirId=80101&docId=209121787&qb=7Jik7KSM7Iu86rGOIOyvhouLjouNSOyalA==&enc=utf8§ion=kin&rank=1&search_sort=o&spq=o|성지]] * 작중 시간대는 91년생인 윤현경보고 선우동수가 24살이라고 했으므로 [[2014년]]이다. * 한 학부모에 의해 [[청소년 보호법]] 위반으로 [[http://bbs3.agora.media.daum.net/gaia/do/petition/read?bbsId=P001&articleId=187769|고소당했다.]] 그리고 이것 때문인지 현재 완결칸에 있는 후레자식 웹툰 [[프로필]] 이미지에 19금 마크가 걸렸다.[[http://www.webtooninsight.co.kr/Forum/Content/3283|성인등급 변경 기사]] 네티즌의 반응은 지지한다, 작성자가 [[꼰대]]다, 잔인한 건 맞지만 재심사를 요청하면 되지 고소할 필요까지 있나 등으로 나뉘었다. [[http://fstory97.blog.me/220752944378|#]] 참고로 웹툰산업협회 대표도 이 문제에 불만을 품고 있다. 이에 대해 김칸비 작가는 다음과 같은 반응을 보였다. [[https://twitter.com/teamgetname/status/749798697106419712|#]] [[파일:rlazksql.png]] 작품 등급 소송에 대해 [[웹툰산업협회]] 임성환 대표 기고문이 [[웹툰인사이트]]에 등록되었다. [[http://www.webtooninsight.co.kr/Forum/Content/3299|'후레자식 소송'에 대한 웹툰산업협회 임성환 대표 기고문]]. 이후 이 건에 대해 [[http://www.webtooninsight.co.kr/Forum/Content/3647|무죄판결]]이 났다. 그런데 LG U+ 가입자가 이 웹툰을 보려고 들어가면 유해 사이트라며 자동 차단이 뜬다. 가입자가 성인이어도 얄짤없다. * 의도친 않았지만 위 사건 때문에 방심위에서 심의 기준을 다시 정하겠다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448&aid=0000172344|방침을 발표했고]] 때마침 [[클로저스 티나 성우 교체 논란]]으로 웹툰 작가들의 인성과 부조리들이 드러나자 독자들이 이를 근거로 [[웹툰 규제 찬성 운동|노쉴드 운동]]을 벌이는 근간이 되었다. * 기리보이의 노래 후레자식에서 피처링으로 참여한 [[우원재]]가 이 웹툰에 대해 언급한 바 있다.[* 니가 좋아하는 웹툰 제목 맞지 난 잘 모르겠어 내가 이걸 본 이유가 단지 너 하나뿐인 게 (가사中)] * [[스위트홈]] 초반부에서 [[차현수]]가 보고 있던 것이 후레자식에서 선우진과 선우동수가 대치하는 장면이다. * 시리즈로 옮긴 후로 휴재 공지와 후기 등을 볼 수 없게 되었으나, [[2019년]] [[11월 12일]]이 되어서 네이버 시리즈에 올라왔다. * [[스위트홈(드라마)|드라마판 스위트홈]]에서 [[이은유(스위트홈)/드라마|이은유]]가 후레자식 단행본 시리즈를 읽고 있는 장면이 등장하기도 했다. * 후에 작가가 윤견의 여성 접대부, 여자만 죽이는 선우동수 등을 근거로 '지금 기준 상당히 언PC한 작품'이라고 자평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김칸비 & 황영찬 합작)] [[분류:후레자식(웹툰)]][[분류:웹툰/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