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술 문화]] {{{+2 [[後]][[來]][[者]][[三]][[杯]]}}} [목차] == 개요 == 나중에 온 사람은 술 석 잔. '후래삼배(後來三杯)'라고도 한다. 술자리에서, 먼저 온 사람들은 이미 술을 어느 정도 마셨으므로 분위기를 맞추기 위해서는 나중에 온 사람이 석 잔 정도를 얼른 마셔줘야 한다는 뜻이다. 즉 일종의 벌주이다. == 역사 == 1930년대에 나온 [[홍명희]]의 소설 <[[임꺽정(소설)|임꺽정]]>에서도 "뒤에 오면 석 잔이라니 자네가 더 먹어야 하네."라는 대목이 있으며, 경성(서울)을 배경으로 한 다나카 히데미쓰의 1948년 소설 '취한 배'에도 나오는 것으로 봐선 적어도 1930년대에서 쓰던 말로 보인다. 일본에도 가케쓰케산바이(駆付け三杯)라는 똑같은 뜻의 말이 있는데 이에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도 있다. == 기타 == 보통은 늦게 온 사람에게 농담조로 하는 말인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진짜로 먹이는 경우도 있다. [[치고박고 무한상사]]에서, 주인공 캐릭터인 나구직, A등급 캐릭터인 SS등급 일본지사장의 스킬 중 '후래자삼배타'라는 기술이 있다. 후래자삼배에 공격스킬이라 타(打)를 붙인듯 하며, 주인공 캐릭터인 나구직 말고도 굳이 일본지사장의 스킬에 있는 이유가 상술한 같은 의미의 일본어가 있어서 영향을 받은듯 하다. [[술꾼도시여자들]]에서 주인공 중 한 명인 강지구는 등장하자마자 후래자삼배를 권유 --아니 강요--하며 큰 첫인상을 남겼다. [youtube(F1BXgWV8OB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