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고려의 인물]][[분류:고려(무신정권)]][[분류:몰년 미상]] [목차] == 개요 == 孝心 생몰년도 미상 [[고려]] [[무신정권]] 때 [[농민]] 봉기인 [[김사미·효심의 난]]의 주도자. == 생애 == 1193년 7월에 [[경상도]]의 초전에서 [[반란]]을 일으켰다가 운문에서 세력을 일으킨 [[김사미]]와 합세했으며 [[이의민]]과 내통을 하면서 8월에 [[이지순]]으로부터 물자와 기밀 등을 제공받고 전존걸이 이끄는 군사를 여러 차례 패배시켰다. 그러나 상장군 [[최인]], 대장군 고용지 등이 이끄는 토벌군의 공격을 받고 타격을 입어 김사미가 항복했다가 참수된 이후에 군사들을 지휘했지만 12월에 사로잡히면서 진압되었는데 이후 행방은 알 수 없다. == 대중매체에서 == === 징기스칸4 === || [[파일:attachment/효심/효심.png]] || || '''[[징기스칸 4]] 일러스트''' || [[KOEI]]의 게임 [[징기스칸 4]]의 시나리오 1에서 고려 장수로 등장한다. 능력치는 정치 57, 전투 53, 지모 48로 그저 그런 편. 반란자인 걸 고증했는지 충성도가 초반에 낮지만 [[최충헌]]과 함께 등용 특기가 있어서 인재 등용에 쓸 수 있다. 옆동네 일본의 충성도 낮고 능력치 좋은 [[미나모토 요시츠네]], [[무사시보 벤케이]]를 등용특기 있는 얘들로 빼오는 건 시나리오 1 고려의 필승 전략이다. 물론 둘 중 최충헌은 능력치가 좋아서 다른 방면에 쓸 일이 많다. 병과 특성은 보병 C, 궁병 C, 기병 C, 수군 D. 특징적인건 [[한글]] 정식발매판에서는 다른 능력치는 다 똑같고 지모가 45로 [[일본]]판의 능력치가 더 뛰어난 유일한 고려 인물이며 [[태조(조선)|이성계]]와 더불어 한글판, 원판 [[일러스트]]가 같은 고려 인물이다. === 김사미와 효심 === [[소설]] 《김사미와 효심》에서는 인물 소개에 따르면 평민으로 괴력의 장사이고 글을 배우지 못했으며 김사미와 함께 농민 봉기군을 일으켰고 김정열로부터 농민군의 [[장군]]이 될 것을 권유받았다. 봉기가 진압된 이후에는 신불산 억새평원에서 [[자결]]했으며 [[가족]]에 대한 것이 상세하게 나와 산동, 어머니는 반구댁, 형은 목심, 처는 복순, 이모는 반구대의 복덩이, 여동생은 수심, 삼촌은 초전 이천옥 주인 전동이라고 한다. == 같이보기 == * [[김사미]] * [[김사미·효심의 난]] * [[무신정권]] * [[신라부흥운동]] * [[이의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