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긴키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효고현 제10구}}}}}}'''[br]{{{-1 {{{#ffffff 兵庫県第10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Hyogo10.svg|width=100%]]}}}|| ||<-2><:>'''선거인 수'''||<-2><:>347,835명 (2021)|| ||<-2><:>'''상위 도도부현'''||<-2><:>[[효고현]]|| ||<-2><:>'''하위 행정구역'''||<-2><:>[[카코가와시]], [[타카사고시]], [[카코군]]|| ||<-2><:>'''국회의원'''||<:>[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도카이 기사부로]]|| [목차] == 개요 == [[효고현]] [[카코가와시]], [[타카사고시]], [[카코군]]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이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소속 [[도카이 기사부로]]. == 상세 == 효고현의 남부 해안가에 위치한 선거구이며, [[고베시]]의 서쪽 경계와도 인접해 있다. 카코카와시, 타카사고시, 카코군은 공장들이 많이 몰려있었으나, 최근에는 고베시의 교외 주거지로 일부 변모하고 있다. 도카이 모토사부로(10선)-[[도카이 기사부로]](10선) 부자가 도합 20선 의원을 지내는 등 도카이 집안의 정치적 영향력이 막강한 선거구다. 도카이 기사부로 의원은 [[제4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를 앞두고 자민당을 탈당해 [[신당 사키가케]]로 옮겼다가 다시 자민당으로 복당하는 등 정치적 부침을 겪기도 했다. [[2009년]]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도카이 의원을 꺾은 오카다 야스히로 의원은 카코가와시장으로 재직 중이다. == 역대 국회의원 == ||<:>선거||<:>연도||<:>의원명||<:>소속정당||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96년]]||<:>시오타 스스무||<:> [include(틀:신진당)]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0년]]||<|3><:>[[도카이 기사부로]]||<|3><:>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3년]]||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5년]]||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9년]]||<:>오카다 야스히로||<:> [include(틀:민주당(일본))]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2년]]||<|4><:>도카이 기사부로||<|4><:>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4년]]||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7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21년]]|| == 역대 선거 결과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6><#E50038> '''{{{+1 {{{#fff 효고현 제10구}}}}}}'''[br]{{{#fff 카코가와시, 타카사고시, 카코군}}} || || 이름 || 소속정당 || 득표수[br](득표율) || 순위 || 당선 여부 || 비고 || ||<#E50038> '''{{{#fff 도카이 기사부로[br](渡海紀三朗)}}}''' || [[자유민주당(일본)|{{{#E50038 자유민주당}}}]] || '''94,205[br](59.9%)''' || '''1위''' ||<#ffcc00> '''{{{#000 당선}}}''' || [[공명당]] 추천 || ||<#046240> {{{#fff 하타나카 미쓰나리[br](柘植厚人)}}} || [[희망의 당(2017년)|{{{#046240 희망의 당}}}]] || 38,072[br](24.2%) || 2위 || 낙선 || || ||<#DB001C> {{{#fff 우에다 사치코[br](金田峰生)}}} || [[일본 공산당|{{{#DB001C 일본 공산당}}}]] || 24,885[br](15.8%) || 3위 || 낙선 || || ||<|2> 계 || 유효표 수 || 157,162 ||<|2><-3> 투표율 45.95% || || 유권자 수 || 352,291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효고현 제10구|{{{#fff 효고현 제10구}}}]]}}}'''[br]{{{#fff 카코가와시, 타카사고시, 카코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e50038>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도카이 기사부로''' || '''79,061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45.0%''' || '''당선''' || ||<|2><#1dac42> [[일본 유신회(2016년)|[[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width=40]]]] || 호리 겐지 || 57,874표 || 2위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6년))] || 32.9% || 비례당선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40]]]] || 오키 게이코 || 38,786표 || 3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22.1%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75,721표 ||<|2> '''투표율'''[br]51.55% || || 선거인 수 || 347,835인 || 현역 자민당 도카이 기사부로 의원이 재출마한다. 이번에 당선되면 10선 의원이 된다.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은 개호복지사(介護福祉士) 출신인 오키 게이코 후보를 공천했다. [[일본 유신회(2016년)|일본 유신회]]는 효고현의회 의원을 지낸 호리이 겐지 후보를 공천했다. 지난 총선과 달리 [[일본공산당|공산당]]은 후보를 공천하지 않았다. 투표 결과, 자민당 도카이 기사부로 후보가 당선되었다. 이번 당선으로 10선 의원이 되며 역시 10선의원인 부친과 동률을 이뤘다. 하지만 만 73세의 고령이고, 다선 의원인지라, 세대 교체 여론의 영향을 받아 득표율이 59.9%에서 45%로 추락했다. 유신회 호리이 겐지 후보는 비록 지역구에서 패했지만 선전했다는 평가를 들었고, 석패율제를 통해 비례대표로 당선되면서 초선 의원이 되었다.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효고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