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횡성군의 교통]] [include(틀:상위 문서, top1=횡성군)] [목차] [clearfix] == 개관 == [include(틀:횡성군의 교통)] [[횡성군]] 교통에 대해 정리한 문서. == 철도 == [include(틀:횡성군의 철도역)] 2017년 12월 22일 [[경강선]] 철도가 개통되면서 [[횡성역]]과 [[둔내역]]이 신설됐다. 서울이나 양평으로 갈 때에 불편한 걸 경강선 철도가 해결해줄 걸로 기대하고 있다. 횡성역은 평일 10회, 주말 11회, 둔내역은 평일 9회, 주말 10회가 정차한다. 이제는 서울 방면으로 나갈때 무조건 [[강릉선 KTX]]를 이용하는게 답이라고 할 수 있겠다. 별개로 남북노선인 춘천 - 홍천 - 원주를 잇는 [[원주춘천선]] 철도에도 강원도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추진중에 있다. == 도로 == ===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 === [[중앙고속도로]]([[횡성IC]])가 군을 남북으로 통과하며 [[영동고속도로]]([[새말IC]], [[횡성휴게소]], [[둔내IC]], [[동둔내IC]])도 여기를 지나 [[원주시]], [[평창군]]으로 간다.[* 다만 두 고속도로는 횡성군 내에서 만나지 않고, 원주시 내의 [[만종JC]]에서 만난다.] 강릉 방면 기준, 영동고속도로 연선상 최초의 군이다.[* 개통 초기에는 강릉시와 원주시를 제외하면 모두 군이었으나, 용인 등이 시로 승격하고 옛 [[서해안고속도로]] 일부 및 신갈안산고속도로 구간(인천광역시~시흥시~안산시~수원시)이 영동고속도로에 편입되면서 횡성이 영동고속도로 연선상에 있는 최초의 군이 되었다.] === [[국도]] === [[5번 국도]], [[6번 국도]], [[19번 국도]], [[42번 국도]]가 있다. 읍면별로 지나가는 국도가 다른데, 자세히는 다음과 같다. *[[5번 국도]]: 원주에서 북상하여 [[횡성읍]]내를 우회한 뒤 [[공근면]]을 거쳐 홍천군으로 넘어간다. 원주를 잇는 도로니만큼 교통량도 가장 많고 전구간 왕복 4차로로 확장되어 있다. *[[6번 국도]]: 양평군에서 넘어와 [[서원면]]을 거쳐 공근면에서 5번 국도와 만난다. 잠시 중첩되었다가 횡성읍에서 다시 분기하여 [[우천면]], [[둔내면]]을 거쳐 평창군으로 넘어간다. [[영동고속도로]]를 보조하는 역할이지만 교통량은 많지 않은 편. *[[19번 국도]]: 5번 국도와 중첩되어 횡성으로 넘어왔다가, 다시 6번 국도와 중첩된다. 영영포교차로에서 분기하여 [[갑천면]], [[청일면]]을 거쳐 홍천군 [[서석면]]으로 넘어가는 국도. *[[42번 국도]]: 원주시 [[소초면]]에서 넘어와 [[우천면]], [[안흥면]]을 거쳐 평창군으로 넘어가는 국도. === [[지방도]] === *[[406번 지방도]], [[409번 지방도]], [[411번 지방도]], [[420번 지방도]], [[442번 지방도]], [[494번 지방도]]등이 있다. == 버스 == === 농어촌버스 === [include(틀:횡성군 농어촌버스)] 군내 교통은 2017년도까지는 [[원주시]]에 완전히 의존해 왔다.[* 원주시내에서 횡성읍까지 20km가 약간 안 돼서 거의 같은 동네처럼 왕래할 수 있다. [[원주 버스 2]]의 배차간격도 짧은 편.] 2018년에 [[횡성군 농어촌버스]]가 노선분리가 되었으나, 농어촌버스도 [[명성교통]]이 생기기 전까지는 [[원주시 시내버스]] 회사들이 역할을 대신했다. [[태창운수]]가 2019년에 2월에 횡성노선에서 철수하면서 횡성군의 군내 교통이 원주시와 완전히 분리되었다. 횡성에 위치한 군부대도 대부분 위수지역으로 횡성과 원주를 같이 잡는다. 자세한 내용은 [[원주 버스 2]], [[횡성군 농어촌버스]] 참조. === 시외.고속버스 === [[서울특별시|서울]]로 나가는 버스편이 은근히 까다로운데, [[동서울터미널]][[시외버스 동서울-횡성|행 버스]]가 하루 4번, [[6번 국도]] 경유 완행이며 풍수원, 용두, 단월, 용문, 양평 등을 거치기 때문에 요금도 11,900원으로 비싸며 주말에는 [[6번 국도]] 양수리 일대 정체까지 투하. 오히려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 [[북부정류장|대구(북부)]] 방면 [[시외버스]]를 타기 더 편하다. 동서울행 한정 [[횡성시외버스터미널|횡성터미널]]보다 새말 정류소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새말 정류소를 이용하면 중간 경유지 없이 [[새말IC]]를 통해 바로 동서울로 가기 때문. 다만, 새말 정류소는 정선발 동서울행 버스의 마지막 경유지로 평창, 안흥 등 이전 경유 구간에서 매진 시 승차불가능할 수 있어 무턱대고 가는 것은 리스크가 있다. 승차 후 교통카드 결제도 가능하지만 모바일앱을 통한 잔여좌석 확인 및 예매 가능하므로 새말 정류소를 이용할 고객은 모바일앱을 이용하자. [[횡성휴게소]]가 [[환승휴게소]]로 지정된 덕분에 [[강릉고속버스터미널|강릉]], [[동해고속버스터미널|동해]], [[삼척고속버스터미널|삼척]],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 [[동서울터미널|동서울]], [[고양종합터미널|고양]], [[수원버스터미널|수원]], [[대전복합터미널|대전]] 방면 [[고속버스]]가 꽤 자주 있지만 주요 시가지에서 먼 [[안흥면]] 소사리에 있어서 주로 소사리에 있는 [[민족사관고등학교]] 학생들이 귀가할 때나 애용한다. 한 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횡성에서도 포항, 대구(북부), 울산, 부산행 시외버스[* 홍천착발인 대구 [[북부정류장]]행을 제외하고는 전부 춘천착발 노선들이다. 대구에서 춘천 가는 버스는 아예 따로 있다. 홍천 넘어와서 공근면 및 횡성터미널, [[원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중간 승하차한다.]가 다니는데 서울행보다 자주 다닌다. == 항공 == 항공 교통의 경우, [[원주공항]]이 횡성읍 곡교리에 있다. 하지만 그것도 하루에 딱 두 번만 운항하는 제주행 노선이 전부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횡성군, version=5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