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조선 선조의 손자이자 영성군의 아들, rd1=회원군(1636))] ||<-3><#94153E> {{{#gold '''조선 세종의 증손'''[br]{{{+1 '''회원군[br] 會原君'''}}}}}} || ||<-2><#94153E> '''[[봉호|{{{#gold 봉호}}}]]''' ||<(> 회원군(會原君)[*A 봉호는 [[경상남도]] [[창원시]]의 별호인 '회원(會原)'에서 따왔다.[[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5550|#]]] || ||||<:><#94153E> '''[[시호|{{{#gold 시호}}}]]''' ||<(> 정간(貞簡) || ||||<:><#94153E> '''[[본관|{{{#gold 본관}}}]]''' ||<(> [[전주 이씨]] || ||||<:><#94153E> '''[[이름|{{{#gold 이름}}}]]''' ||<(> 쟁(崢) || ||||<:><#94153E> '''[[자(이름)|{{{#gold 자}}}]]''' ||<(> 쟁지(諍之) || ||||<:><#94153E> '''{{{#gold 양부}}}''' ||<(> [[구성군]] || ||||<:><#94153E> '''{{{#gold 양모}}}''' ||<(> 천안군부인 [[청주 한씨]] (天安郡夫人 淸州 韓氏) || ||||<:><#94153E> '''{{{#gold 생부}}}''' ||<(> 영순군 || ||||<:><#94153E> '''{{{#gold 생모}}}''' ||<(> 김제군부인 [[전주 최씨]] (金堤郡夫人 全州 崔氏) || ||||<:><#94153E> '''{{{#gold 부인}}}''' ||<(> 하동현부인 [[하동 정씨]] (河東縣夫人 河東 鄭氏) || ||||<:><#94153E> '''{{{#gold 자녀}}}''' ||<(> 3남 1녀 || ||||<:><#94153E> '''{{{#gold 묘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 || ||||<:><#94153E> '''{{{#gold 생몰 기간}}}''' ||<(> [[1464년]] ~ [[1493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제4대 왕 [[세종(조선)|세종]]의 적5남 [[광평대군]]의 [[손자]]이자 영순군의 3남이다. == 생애 == 1464년([[세조(조선)|세조]] 10년)에 태어났다. 1470년([[성종(조선)|성종]] 1년)에 아버지 영순군을 잃었고, 영순군 사망 직전에 6촌 형 성종에게서 중의대부 품계와 회원군 봉호를 받았다.[[https://ko.wikipedia.org/wiki/%ED%9A%8C%EC%9B%90%EA%B5%B0_(1464%EB%85%84)|#]][[http://www.rfo.co.kr/view_party.php?list_mode=people1&refnum=051&party_name=|#]] 10살 때부터 [[한시]](漢詩)를 짓기 시작했다는데, 그 실력이 수준급이었다고 한다. 1493년(성종 24년) 5월에 별세했다. 향년 29세.[* 당시 나이 셈법인 [[세는나이]]로는 30세.] 묘는 지금의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 있다. 사후 380여 년 뒤인 1872년([[고종(대한제국)|고종]] 9년)에 [[고종(조선)|고종]]이 회원군을 [[구성군]]의 [[양자(가족)|양자]]로 입계시켰다.[[http://sillok.history.go.kr/id/kza_10912003_001|실록 기사]] [[구성군]]은 [[세종(조선)|세종]]의 4남 [[임영대군]]의 차남으로 회원군에게는 [[오촌|당숙]]이며, 후사없이 죽었다. 앞서 단 링크 속 실록 기사에서는 회원군이 [[무안대군|무안대군 이방번]]의 [[현손]]이라고 적혀있다. 왜냐하면 회원군의 할아버지 [[광평대군]]이 무안대군의 봉사손으로 들어갔기 때문이다. == 가족 관계 == * 친조부 : [[광평대군]] 이여(廣平大君 李璵, 1425 ~ 1445) * 친조모 : 영가부부인 [[평산 신씨]](永嘉府夫人 平山 申氏) * 생부 : 영순군 이부(永順君 李溥, 1444 ~ 1470) * 생모 : 김제군부인 [[전주 최씨]](金堤郡夫人 全州 崔氏, 1441 ~ 1493) - 창승 최도일(倉丞 崔道一)의 딸, [[공빈 최씨]]의 자매 * 양조부 : [[임영대군]] 이구(臨瀛大君 李璆, 1420 ~ 1469) * 양조모 : 제안부부인 [[전주 최씨]][* [[광평대군]]의 처인 영가부부인과 내외종 4촌간이다.](齊安府夫人 全州 崔氏) - 봉례 증 우의정 최승녕(奉禮 贈 右議政 崔承寧)의 딸, 숙부 [[함녕군]]의 부인과 동생 [[금성대군]]의 부인의 조카, 최도일(崔道一)의 여동생 * 양부 : [[구성군]] 이준(龜城君 李浚, 1441 ~ 1479) * 양모 : 천안군부인 [[청주 한씨]][* [[안순왕후]]의 동생. 즉, [[구성군]]과 [[예종(조선)|예종]]은 사촌 형제간이면서, 동서간이다.](天安郡夫人 淸州 韓氏) - 청천부원군 [[한백륜]](淸川府院君 韓伯倫)의 2녀 * 부인 : 하동현부인 [[하동 정씨]](河東縣夫人 河東 鄭氏) - 하남군 정승조(河南君 鄭崇祖)의 딸 * 장남 : 승평부정 이형(昇平副正 李泂, 1479 ~ ?) * 며느리 : [[거창 신씨]](居昌 愼氏) - 거창부원군 [[신승선]](居昌府院君 愼承善)와 [[중모현주]](中牟縣主)의 딸 * 며느리 : [[순흥 안씨]](順興 安氏) - 부사 안장(府使 安璋)의 딸 * 차남 : 가평부정 이징(加平副正 李澄, 1484 ~ ?) * 3남 : 서성부정 이옹(瑞城副正 李滃, 1487 ~ ?) * 장녀 : [[청주 한씨|한수충]](韓守忠)에게 출가 [[분류:조선의 왕자군]] [[분류:1464년 출생]] [[분류:1493년 사망]] [[분류:전주 이씨 임영대군파]]